• 제목/요약/키워드: Leaf injury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6초

Notoginseng leaf triterpenes ameliorates mitochondrial oxidative injury via the NAMPT-SIRT1/2/3 signaling pathways in cerebral ischemic model rats

  • Weijie, Xie;Ting, Zhu;Ping, Zhou;Huibo, Xu;Xiangbao, Meng;Tao, Ding;Fengwei, Nan;Guibo, Sun;Xiaobo, S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7권2호
    • /
    • pp.199-209
    • /
    • 2023
  • Background: Due to the interrupted blood supply in cerebral ischemic stroke (CIS), ischemic and hypoxia results in neuronal depolarization, insufficient NAD+, excessive levels of ROS, mitochondrial damages, and energy metabolism disorders, which triggers the ischemic cascades. Currently, improvement of mitochondrial functions and energy metabolism is as a vital therapeutic target and clinical strategy. Hence, it is greatly crucial to look for neuroprotective natural agents with mitochondria protection actions and explore the mediated targets for treating CIS. In the previous study, notoginseng leaf triterpenes (PNGL) from Panax notoginseng stems and leaves was demonstrated to have neuroprotective effects against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However, the potential mechanisms have been not completely elaborate. Methods: The model of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and reperfusion (MCAO/R) was adopted to verify the neuroprotective effects and potential pharmacology mechanisms of PNGL in vivo. Antioxidant markers were evaluated by kit detection. Mitochondrial function was evaluated by ATP content measurement, ATPase, NAD and NADH kits. And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d pathological staining (H&E and Nissl) were used to detect cerebral morphological changes and mitochondrial structural damages. Western blotting, ELISA and immunofluorescence assay were utilized to explore the mitochondrial protection effects and its related mechanisms in vivo. Results: In vivo, treatment with PNGL markedly reduced excessive oxidative stress, inhibited mitochondrial injury, alleviated energy metabolism dysfunction, decreased neuronal loss and apoptosis, and thus notedly raised neuronal survival under ischemia and hypoxia. Meanwhile, PNGL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nicotinamide phosphoribosyltransferase (NAMPT) in the ischemic regions, and regulated its related downstream SIRT1/2/3-MnSOD/PGC-1α pathways. Conclusion: The study finds that the mitochondrial protective effects of PNGL are associated with the NAMPT-SIRT1/2/3-MnSOD/PGC-1α signal pathways. PNGL, as a novel candidate drug, has great application prospect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schemic stroke.

벼 품종별 오존 피해 저항성 차이 (Varietal Difference of Resistance to Ozone Injury in Rice Plant)

  • 손재근;이상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38-343
    • /
    • 1997
  • 벼 품종의 오존 저항성 판단을 위한 시험에서 오존의 처리농도는 0.3 ppm이 0.1 ppm보다 뚜렷한 결과를 보였고, 처리시간은 2∼4시간이 알맞은 것으로 나타났다. 묘대일수에 따른 저항성 정도는 파종후 3주까지는 생육이 진전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3∼5주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인디카와 통일형 품종들이 자포니카 품종보다 저항성이 높은 경향이었고, 자포니카 품종 중에서 장안벼외 7 품종은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벼의 생육시기에 따른 피해엽율은 간척벼는 유묘기에서 밀양 2003외 4 품종은 최고 분열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임실율은 수잉기 처리에서 가장 낮았다.

  • PDF

Ethyl Methane Sulfonate처리 인삼종자의 생물학적 효과 (Effects of Ethyl Methane Sulphonate Treatment on Ginseng Seeds)

  • 최광태;안상득;박규진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163-169
    • /
    • 1981
  • In order to clarify the biological effects of chemical mutagen, ethyl methane sulphonate (EMS), in M, seedling(Ponax ginseng C. A. Meyer) . the dehiscent seeds of ginseng were treated with EMS for 12 hours at 20t and Post-washed for 24 to 72 hours. The differences of biological injuries in M, generation due to the concentration of EMS were quite obvious in rate and date of germination, stem length, stem diameter, leaf length, leaf width, root length, root diameter, and root weight . Especially, the seeds treated with the high concentration of EMS , above 0.8%, were not germinated The growth injury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EMS but not relative to the post-washing time of afire 25 hours. The useful range of EMS concentration and post-washing time in ginseng seeds were 0.4 % - 0.6% and above 24 hours, respectively.

  • PDF

Effect of Ash Tree Leaf Extract on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 Jeon, Jeong-Ryae;Choi, Joon-Hyu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5호
    • /
    • pp.752-755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sh tree leaf extract (ALE) on acetaminophen (APAP)-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Hepatoprotective effects were detected by biochemical analysis of hepatic enzymes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liver. BALB/c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rmal' control mice, APAP-treated control mice, and mice pretreated with ALE and treated with APAP. A single dose of APAP markedly increased levels of plasma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Light micrographs of liver cells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showed that APAP induced severe centrilobular necrosis, degeneration, and infiltration by inflammatory cells. Moreover, APAP caused the numbers of TUNEL-positive hepatocytes to increase and caused glycogen content to decrease as observed by Periodic acid-Schiff stain. However, pretreatment with ALE for 7 days prior to the administration of APAP significantly decreased plasma levels of AST and ALT. Histological findings demonstrated that ALE pretreatment alleviated APAP-induced liver damage, and induced the regeneration of liver tissue and restoration of glycoge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sh tree leaf extract exert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APAP-hepatotoxicity induced injury.

아메리카잎굴파리에 의한 거베라 피해잎의 조직학적 관찰 (Anatomical Observation of Leaf of Gerbera hybrida Hort. Injured by Liriomyza trifolii)

  • 정용모;김진기;안동춘;빈철구;이동우;손흥대;권오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4호
    • /
    • pp.485-488
    • /
    • 1999
  • 아메리카잎굴파리에 의해 피해를 입은 거베라 잎의 피해부위인 흡즙 부위 및 식해흔의 내부조직 구조를 광학현미경(LM)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아메리카 잎굴파리에 의한 피해 잎의 내부조직 관찰 결과, 피해의 진행과정은 대개 3단계로 관찰할 수 있었다. 첫째, 초기 단계로 흡즙 후 산란하는 부위는 비교적 세포조직이 치밀한 책상조직이었으며, 둘째,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주위의 책상 조직만을 식해하면서 잎조직 속에서 굴을 만들기 시작하고, 세째, 성장한 유충은 점점 굴을 크게 하면서 성장하여 잎의 표피층을 뚫고 나오기 직전에는 1층의 책상조직과 책상조직에 연결된 2층의 해면조직까지 식해하면서 잎의 내부에 피해를 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PDF

Ethylene Production and Accumulation in Leaf Sheath and Its Relation to Tillering Suppression of Deep-Irrigated Rice Plants

  • Myung Eul-Jae;Kwon Yong-Woong;Lee Byun-W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363-367
    • /
    • 2004
  • The deep irrigation of rice plants brings about some beneficial effects such as reduced tiller production which results in the formation of bigger panicles, prevention of chilling injury, reduced weed growth, etc.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involvement of ethylene in the suppression of tiller production due to deep water irrigation in rice (cv. Dongjinbyeo). The ethylene production was induced in leaf sheath within 24 hours after the deep water irrigation and has increased even until 30 days after the treatment, recording 4.5-fold increase as compared to the shallow-irrigated rice plants. In the deep water irrigated rice plants, ethylene was accumulated to a high concentration in the air space of submerged leaf sheath as the irrigated water deterred the diffusion of ethylene out of the leaf sheath and ethylene biosynthesis was accelerated by the deep irrigation as well. The ethylene concentration recorded 35-fold increase in the deep-irrigated rice plants for 35 days. The tiller production was reduced significantly by the deep irrigation with water, the tiller bud, especially tertiary tiller bud differentiation being suppressed by the deepwater irrigation treatment, whereas the rice plants deep-irrigated with solutions containing $10^{-5}$ M or $10^{-6}$ M silver thiosulfate (STS), an action inhibitor of ethylene, showed the same or even higher production of tillers than those irrigated shallowly with water. This implies that the ethylene is closely linked with the suppression of tiller production due to deep water irrigation. In conclusion, ethylene, which was induced by hypoxic stress and accumulated in the leaf sheath due to submergence, played a key role in suppressing the tiller production of the deepwater irrigated rice.

저농도 오존처리에 따른 다섯 가지 유묘의 기공 변화, 엽록소 함량 및 항산화 효소 활성 (Antioxidant Enzyme, Chlorophyll Contents and Stomatal Changes of Five Tree Species under Ozone Stress)

  • 양수진;우수영;제선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4호
    • /
    • pp.470-476
    • /
    • 2007
  • 튜립나무, 산수유, 은행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등, 총 다섯 수종을 대상으로 phytotron에서 저농도 오존을 처리한 후 이에 따른 식물의 반응을 고찰하였다. 엽록소함량, 잎 기공저항, 잎 증산량, 항산화효소인 APX(Ascorbate peroxidase)를 통해 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결과는 수종마다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본 실험기간동안 가시피해현상이 나타난 수종은 튜립나무와 산수유 뿐이었지만 가시피해현상이 없는 수종도 포함, 전 수종이 저농도 오존에 의해 엽록소함량, 기공저항, 기공전도도, 항산화효소 활성에서 낮은 생리적 활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냉해지대의 수도생육과 임,불임 인각의 양분흡수에 관한 연구 제2보 재배시기 이동이 수도지엽과 인각의 양분흡수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Flag Leaf and Chaff of Rice Plant in Cold Injury Location II. Influence of Different Transplanting Date on Nutrient Uptake of Flag Leaf and Chaff of Rice Plant)

  • 김연진;최수일;나종성;이종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6-217
    • /
    • 1982
  • 지대별 이앙기의 차이가 수도의 지엽과 인각의 양분흡수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출수지연은 지엽중 전질소함유율을 높이고 규산의 흡수를 저해하여 불임을 야기 시키는데 그 경향은 만식과 고지대일수록 뚜렷하다. 2. 지엽에 축적된 전질소함유율과 규산함유의 다소는 수량을 좌우하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이룬다. 3. 만식과 등숙이 불량한 인각일수록 전질소함유율은 높으나 규산의 흡수는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4. 인각의 무기성분함유율은 출수후 등숙기온에 영향을 받는데 등숙기온이 높을수록 인각의 인산, 가리, 칼슘, 규산의 함유율은 증가하나 전질소 함유율은 낮아져 인각의 무기성분조성이 불임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암시하여 준다.

  • PDF

수도의 유초기 냉해에 관한 연구 1. 유묘기 엽령별 냉해발현 및 회복양태 (Studies on the Chilling Injury of Rice seedlings. 1. Characterization of Chilling Injury & Recovery Different Leaf Stages)

  • 권용웅;김주헌;안수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24
    • /
    • 1979
  • 수도 유초의 초분별 냉해발견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품종 진흥, 철원 001, 통일, 유신을 재료로 주간 $26^{\circ}C$ 13시간 (광도 20,000 lux) / 야간 $18^{\circ}C$11시간의 인공기상실에서 생장한 유초를 초령 1, 2, 3, 4, 5 엽기에 각각 처리기간을 2, 4, 6, 8 일간으로 달리하여 주간 11$^{\circ}C$ 13시간 (광도 20,000lux) / 야간 6$^{\circ}C$11시간의 저온처리를 한 후 주간 26$^{\circ}C$/ 야간 18$^{\circ}C$ 조명실로 옮겨 파종일로부터 30일간 생장시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온처리 후 냉해에 의한 유초의 고사 현상은 처리후 3일간에 종료되었으며 초령별 유초생존율은 Japonica 품종 진흥은 모두 100%, 철원 001는 2엽기와 3엽기에 각각 8일간 저온 처리구에서만 95% 정도이었고 그 밖에는 100%이었으며, $Indica{\times}Japonica$교배품종들은 품종, 초령, 기간별로 내냉성이 달랐는데 제 1, 2, 3, 4, 5 엽기 별로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는 저온처리 최장기간은 통일의 경우 4, 6, 1, 4, 8 일이었고 유신은 6, 6, 1, 4, 2일이었다. 2. 저온처리 종료후 과온에 3일간 냉해를 발견시켰을 때 진흥과 철원 001는 1~5 엽기 모두에서 8일간 처리를 하여도 냉해로 인해 엽신이 고사하지 않고 6~8일간 처리할 경우 극미한 백반이 다소 형성될 뿐이었으나 통일과 유신은 엽신의 황적변고사현상이 심하였는데 처리기간이 길수록, 노엽일수록 심하였고 완전전개한 신엽이 처리후 엽면적의 10% 이하 고사하는 범위의 내냉한계는 4일 미만의 저온이었다. 3. 저온처리기간중에는 모든 품종이 각엽기 모두 초장의 신장이 거의 정체 되었으며 처리종료 후에는 신장을 재개하였으나 각엽기 모두 저온기간이 길수록 신장속도가 감소되었으며, 진흥은 1, 4, 5 엽기, 철원 1 호는 1, 4 엽기, 유신은 1 엽기에 2일간 처리할 경우에만 무처리구와 같은 정도로 회복되었고, 그밖에는 저온기간중 생장이 정체된 차이를 보상하지 못하였다. 4. 파종후 30일간 생장한 묘의 건물중은 저온처리후 엽신이 정상이었고 표생존율도 95% 이상이었던 처리구의 묘에서도 감소가 있었으며 건물중이 무처리구묘의 90% 이하가 되지 않는 저온처리한계기간 (최대가역장해기간)은 제 1, 2, 3, 4, 5 엽기별로 진흥 2, 3, 4, 4, 4 일간, 철원 001 4, 1, 1, 2, 1 일간, 통일 2, 0.5, 0.5, 1, 2 일간, 유신 4, 1, 0.5, 1, 1 일간이었다. 5. 냉해에 의한 엽신변색고사와 초장신장억제는 실용상 중요한 묘고사율 및 묘건물중과의 관계가 뚜렷하지 않았고 품종 및 묘령별 내냉성의 차이를 분화시키지 못하였으나 묘고사율은 뭄종간 내냉성의 차이를 충분히 분화시켰으며 묘건물중은 외견상 냉해치상이 없을 경우에도 감소되고 품종간 차이를 보였으므로 유묘내냉성검정은 고사율과 건물중증가억제율 두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6. 저온처리 및 내냉발견 후에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는 최장처리기간과 생존묘의 묘대말기 건물중이 무처리구의 90% 이하가 되지 안흔ㄴ 최장처리기간은 품종별 묘령별로 각각 달랐음로 이둘 두 요인의 값을 곱하여 내냉성종합평점으로 표시하면 진흥은 1, 2 엽기, 철원 001는 2, 3 엽기 통일과 유신은 3엽기에 약하였고 최저기온 $0^{\circ}C$, 최고기온 $15^{\circ}C$, 평균기온 $8^{\circ}C$의 온도조건하에서 육묘할 경우 비가역적 생장조해를 받을 위험이 없는 최장저온기간으 대체로 보아 진흥 3일, 철원01 2일, 통일과 유신 각각 1일이었다. 7. 주간 $11^{\circ}C$/야간 $6^{\circ}C$의 저온조건하에서 유묘기내냉서의 품종간 차이를 가장 잘 분화시키는 방법은 묘령 2~3 엽기에 6일간 저온처리한 후 10일간 상온에서 발견시키고 고사율과 건물생장억제율을 조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