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Discoloration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6초

Investigation of Wood Species and Conservation Status of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and Wooden Amitabha Buddha Altarpiece of Yongmunsa Temple, Yecheon, Korea (Treasure)

  • CHOI, Jaewan;PARK, Junghae;KIM, Soochu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3호
    • /
    • pp.193-217
    • /
    • 2022
  •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and Altarpiece have not been the subjects of definitive species identification and scientific analysis. In this study, visual investigation, portable X-ray fluorescence (p-XRF), species identification, and lacquer layer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riginal materials and conservation status. Cracks, exfoliation and discoloration were detected during the visual investigation. The p-XRF data indicated that chrome oxide green, malachite, gold, cadmium red, cinnabar, minium, hematite, lead white, ink stick (Carbon), and copper were used for pigments and the coronet accessory. Tilia spp., Abies spp., and Pinus spp. were identified from both the Buddha Triad and Altarpiece. Finally, lacquer layer analyses of the base layer, lacquer layer, orange pigment layer, and gold leaf layer observed modern synthetic pigments likely used in previous conservation. As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Charter and the International Charter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Monuments and Sites clearly state that objects of cultural heritage must be conserved using their original materials, future conservation of these objects should utilize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to employ traditional materials. Furthermore, a deterioration map diagnosis can be applied together with the obtained analysis data to understand the conservation status of and inform an appropriate and authentic conservation treatment for the Buddha Triad and Altarpiece.

Hymexazole과 Metalaxyl의 혼합제처리가 수도 유묘의 생육 및 저온장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ture of Hymexazole and Metalaxyl on Growth and Low Temperature Injury in Rice Seedlings)

  • 이병규;최원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1-210
    • /
    • 1990
  • 본 시험은 입고병 방지제로 알려진 hymexazole과 metalaxyl의 혼합제(Tachigarace)가 수도 유묘의 생육 및 저온장해 경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도 체내 저온 대응의 생리적 기작을 밝히고자 작물시험장 인공기상실에서 통일형인 용문벼를 공시하여 hymexazole과 metalaxyl의 혼합제(Tachigarace)를 pot(5$\times$15$\times$10cm)당 0, 9, 18, 36mg를 토양혼화 처리하고 저온(12/12$^{\circ}C$) 처리한 후 저온반응 생리를 파악하였으며 일본형인 팔공벼를 공시하여 노화묘의 경엽을 절제한 후 hymexaazole과 metalaxyl의 혼합제(Tachigarace)를 상자(30$\times$60$\times$3cm)당 0.36g 시용하고 0, 7, 14, 21일후에 생육 양상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hymexazole과 metalaxyl의 혼합제(Tachigarace) 처리묘는 무처리묘에 비하여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 건물중, 굴기력 및 발근력이 많았으며 18mg 처리구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2. 저온(12/12$^{\circ}C$) 처리시 유묘는 hymexazole과 metalaxyl의 혼합제(Tachigarace) 처리로 적고 및 엽고사 정도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지상부와 지하부의 저온 신장성은 36mg/pot 까지는 처리양이 증가할수록 컸다. 3. 저온하에서 hymexazole과 metalaxyl의 혼합제(Tachigarace) 처리묘는 엽면적, 뿌리 용적, 엽록소 함량 및 뿌리의 산소 소모량 등 생리활성의 감소폭이 작으며 기공저항성이 크고 증산량은 작아서 유묘의 저온에 대한 내성이 강하였다. 4. 육묘일수 연장에 따라 초장, 건물중 및 엽면적이 증가하였으며 경엽 절제와 hymexazole과 metalaxyl의 혼합제(Tachigarace) 처리에서 그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 5. 발근력은 육묘일수 연장으로 방임구에서는 점감하였으나 경엽 절제구에서는 점증하였고 hymexazole과 metalaxyl의 혼합제(Tachigarace) 처리에서는 그 효과가 더욱 뚜렷하였다.

  • PDF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화에 의한 압해도 김 양식장의 해양환경과 생산 (Marine Environments and Production of Laver Farm at Aphae-do Based on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y)

  • 윤양호
    • 환경생물
    • /
    • 제32권3호
    • /
    • pp.159-167
    • /
    • 2014
  • 신안군 압해도 남서해역에 위치하는 김 양식 어장의 해양환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3년 10월부터 2014년 월까지 김 엽상체의 성육 단계인 유엽기, 중엽기 및 성엽기에 맞추어 3회에 거쳐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파악을 위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압해 김 양식장은 수심의 얕은 천해역에 위치하여 바람과 조석혼합 등 물리적 교란에 의해 해저 표층퇴적물의 재부유가 심하게 발생하고 있다. 해저 표층퇴적물의 재부유는 영양염류의 공급과 함께 높은 총부유물질량에 의해 해수 중으로 투과되는 빛을 방해하여, 겨울 김 성장시기에 김과 동일한 영양염류 흡수를 경쟁하는 식물플랑크톤 성장을 방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압해 김 양식장 해양환경은 최근 일본의 김 흉작과 변색에 의해 품질이 저하되는 원인인 김 성장기 질소원을 중심으로 하는 영양염류 부족과 투명한 해수로 인한 충분한 광 투과로 김 보다 영양흡수 효율이 좋은 대형 규조류가 겨울 규조적조를 발생시키는 환경과 대조된다. 즉 압해도 김 양식장의 물리적 교란에 따른 퇴적물 재부유로 인한 영양염 공급과 높은 부유물질량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성장 억제와 같은 해양환경이 우리나라 서해 남부 김 양식장의 높은 생산량으로 연결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고 판단되었다.

농약(제초제)(農藥(除草劑)) Paraquat에 대한 저항성(抵抗性) 식물체(植物體) 선발육성(選拔育成)- 제1보(第1報) Paraquat에 대한 식물(植物)의 내성기작(耐性機作) (Development of Herbicide(Paraquat) Tolerant Plant Through Tissue Culture- 1. Mechanism of Plant Tolerance to Paraquat)

  • 김길웅;김원웅;권순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1-200
    • /
    • 1986
  • 1. Paraquat에 대(對)한 식물체(植物體)의 반응(反應)은 상이(相異)하며 감수성(感受性) 정도(程度)에 큰 차(差)가 인정(認定)되었다. injury, discooration, leaf area 및 leaf dry weight 등(等)으로 보아 Kwanggyo, Milyang 등의 콩 품종(品種)은 Hood나 $D_4$에 비(比)하여 내성(耐性)을 보였다. Paraquat에 대(對)한 옥수수품종간(品種間)의 반응폭(反應幅)은 아주 좁았다. 2. 밭에 우점잡초(優占雜草)인 바랭이, 쇠비름, 강아지풀은 paraquat에 감수성(感受性)인데 비(比)하여 마디풀, 명아주, 반하 등(等)은 저항성(抵抗性)을 나타내어 저항성원(抵抗性源)을 제공(提供)하였다. 3. Paraquat의 무독화(無毒化)에 관련하는 peroxidase의 활성(活性)은 Kwanggyo에서 높았으나 무처리(無處理)와 차이(差異)가 작았다. Peroxidase의 동위효소(同位酵素)는 Kwanggyo에 6개(個), Hood에 4개(個)였으며 paraquat을 처리(處理)해도 Kwanggyo의 pattern의 거의 변화(變化)가 없으니 Hood에는 다소(多少) 변화(變化)가 인정(認定)되었다. 4. paraquat에 대(對)한 식물체(植物體) 저항성(抵抗性) mechanism인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活性)은 paraquat 100ppm 처리후(處理後) 48시간(時間)째 Kwanggyo는 48.6 units/$m\ell$, Hood는 34.2 units/$m\ell$이고 무처리(無處理)는 Kwanggyork 33.0 units/$m\ell$, Hoodsms 34.5 units/$m\ell$로서 SOD의 활성차(活性差)가 감수성(感受性)의 차(差)를 발현(發現)시켰다고 사료(思料)된다. 5. paraquat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카루스의 증식(增殖)이 크게 억제(抑制)되었으며 100ppm 처리(處理)에서 Kwanggyo 69.4%, Hood는 92.4%의 억제(抑制)를 보여 Hood가 Kwanggyo보다 약(約) 1.5(培)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내어 superoxide dismutase와 더불어 콩 품종간차(品種間差)를 잘 설명(說明)해 주고 있다.

  • PDF

고추 탄저병균(炭疽病菌)의 종자전염(種子傳染)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eed Transmission of Colletotrichum spp. in Red Pepper (Capsicum annuum))

  • 유승헌;박종성;이향범;김홍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16-25
    • /
    • 1987
  • 고추 종자에서 Colletotrichum acutatum, C. coccodes, C.dematium 및 C. gloeosporioides 등 4종의 탄저병균(炭疽病菌)이 검출(檢出)되었다. 그중 C.dematium과 C.gloeosporioides가 높은 비율(比率)로 검출(檢出)되었으며, 감염율(感染率)이 높은 종자시료(種子試料)는 각각(各各) 최고 84% 및 28%의 감염율(感染率)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C.acutatum과 C.coccodes는 각각 1개의 종자 시료(試料)에서 1% 및 2%의 낮은 비율(比率)로 검출(檢出)되었다. 표준습지법(標準濕紙法)이 냉동습지법(冷凍濕紙法)이나 한천배지배양법(培地培養法)에 비하여 종자상의 탄저병균(炭疽病菌) 검출(檢出)에 효과적(效果的)이었다. C.dematium과 C. gloeosporioides의 종자내 감염부위(感染部位)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종피(種皮)뿐 아니라 종자내 깊숙이 배유(胚乳)와 자엽(子葉)에 까지 감염(感染)되어 있음이 확인되었으나 종피(種皮) 감염율(感染率)이 높았다. C.dematium과 C.gloeosporioides 감염종자(感染種子)를 한천배지와 살균토양에 옮겨 발아율과 유묘생육상황(幼苗生育狀況)을 조사한 결과, 감염종자(感染種子)는 종자부패(種子腐敗), 모잘록, 유묘고사(幼苗枯死) 및 자엽(子葉)과 하배축(下胚軸)의 변색(變色)을 초래하였다. 접종실험(接種實驗) 결과 C.acutatum은 고추의 적과(赤果)에 병원성(病原性)이 있었고 C.coccodes는 고추 적과(赤果)에 강한 병원성(病原性)이, 고추 잎에 약한 병원성(病原性)이 있었다. C.dematium은 고추 잎과 청과(靑果)에 강한 병원성(病原性)이 있었고, C.gloeosporioides 는 고추 잎과 청과(靑果) 및 적과(赤果)에 병원성이 있었다. 이들 4종의 종자전염성(種子傳染性) 탄저병균(炭疽病菌)의 고추 이외의 다른 작물(作物)에 대한 병원성도 조사하였다.

  • PDF

Effect of LED Irradiation on Growth Characteristids of Ginseng Cultivated in Plastic Film House

  • Seo, Sang Young;Cho, Jong hyeon;Kim, Chang Su;Kim, Hyo Jin;Kim, Dong Won;An, Min Sil;Yoon, Du Hyeo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5-45
    • /
    • 2019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artificial clay and LED in the plastic film house (irradiation time: 08:00~18:00/day). Seedlings (n = 63 per $3.3m^2$) of ginseng was planted on May 17, 2018. LED was combined with red and blue light in a 3:1 ratio and irradiated with different light intensity. The average air temperature from April to September was $12.3^{\circ}C$ $-26.0^{\circ}C$ and it was the the highest at $26.0^{\circ}C$ in August. The test area where fluorescent lamp was irradiated tended to be somewhat higher than the LED irradiation area.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test soil are as follows. pH levels was 5.3~5.5, EC levels 0.45~0.52 dS/m and OM levels 33~37%. The total nitrogen content was 0.35~0.47% and the available $P_2O_5$ contents was 13.7~16.0 mg/kg, which was lower than the suitable level of 70~200 mg/kg. Exchangeable cations K and Mg contents were within acceptable ranges, but the Ca contents was $28{\sim}38cmol^+/kg$ levels higher than the permissible level ($2{\sim}6cmol^+/kg$). Germination of ginseng leaves took 8~9 days and the overall germination rate was 70~75%. The photometric characteristics of LED light intensity are as follows. The greater the light intensity, the higher the PAR (Photosynthetic Action Radiation) value, illuminance and solar irradiation. Photosynthetic rate was also increased with higher light intensity was investigated at $1.7{\sim}3.2{\mu}mol\;CO_2/m^2/s$. Leaf temperature ($23.7{\sim}24.8^{\circ}C$) by light intensity was the same trend. The growth of aerial parts (plant height etc.) were generally excellent when irradiated with 3 times the light intensity, the growth of the ginseng aerial parts were excellent as follows. The plant height was 42.6 cm, stem length was 25.2 cm, leaf length was 9.6 cm and stem diameter was 5.0 mm. The growth of underground part (root length etc.) was the same, and the root length was 24.4 cm, the tap root length was 6.0 cm, diameter of taproot was 18.2 mm and the fresh root weight was 17.2 g. There were no disease incidence such as Alternaria blight, Gray mold and Anthracnose. Disease of Damping off occurred 2.2~3.6% and incidence ratio of rusty root ginseng was 14.6~20.7%. Leaf discoloration rate was 13.7~48.9%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light intensity. Ginsenoside content of ginseng by light intensity is under analysis.

  • PDF

Cold Tolerance Characteristic Test of High Yield Tongil-type Rice Breeding Lines for Processing

  • Kang-Su Kwak;Sea-Kwan Oh;Kuk-Hyun Jung;Dae-Ha Se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8-278
    • /
    • 2022
  • Recently, the yield potential of high yield Tongil-type rice varieties has greatly increased, reaching 817kg/10a(Geumgang No.1). Moreover, in order to promote rice consumption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rice processing industry, the R&D of high yield Tongil-type rice varieties for each processing purpose, such as rice noodles, grain feed and industrial materials, has been continuously carried out. However, because Tongil-type rice varieties or lines are generally very vulnerable to cold damage, cold tolerance test can be said to be absolutely necessary to improve the cultivation safety. This study is the result of the seedling and field cold tolerance characteristic tests carried out in 2021 of high yield Tongil-type rice breeding lines. For the cold tolerance characteristic test of seedlings, total 303 high yield rice breeding lines for processing were treated in cold water of 13℃ and irrigation depth of 4cm for 10 days from the third-leaf age, then it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degree of discoloration and withering with the checked varieties(Boramchan, Hanahreum No.2). Also, for the test of field, total 186 high yield rice breeding lines for processing were treated in cold water of 17℃ by keeping pouring day and night from 30 days after transplanting to ripening stage, then it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degree of discoloration, delay of heading, shortening rate of stem length and percent of fertile grain etc. with the checked varieties. And the cold tolerance evaluative criteria were classified as strong(1~3), medium(4~6) and weak(7~9) in overall cold tolerance. (Seedling test) As for the degree of cold tolerance of the check variety, 'Boramchan' and 'Hanahreum No.2' showed a response of 'medium' and 'weak',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strong' line in the high yield rice breeding lines, 2 lines showed a 'medium' response, and 301 lines showed a 'weak' response. Therefore, except for a few lines(0.7%), most lines(99.3%) showed a 'weak' response. (Field test) In terms of the overall cold tolerance of the check variety, both 'Boramchan' and 'Hanahreum No.2' showed a 'medium' response. Similarly, there was no 'strong' line in the case of high yield rice breeding lines, 20 lines showed a 'medium' response, and 166 lines showed a 'weak' response. Therefore, except for some(10.8%) lines, most(89.2%) lines showed a 'weak' response. From the above results, we selected about 100 individuals with less seed shattering and degeneration of the ear tip, and with a relatively high percent of fertile grain, and are continuing to select lines with improved cold tolerance in the F4~F5 group in this year. As such, most of the Tongil-type rice varieties have poor cold tolerance and thus have low cultivation safety at low temperatures. However, it is important to select improved lines through generational progress because there are some lines that still have a certain level of cold tolerance among them.

  • PDF

밤나무 잎 추출물 함유 크림의 안정성 및 피부 보습효과에 관한 연구 (2) (A Study on the Stability and Moisturizing Effect for the Cream Containing Castanea crenata Leaf Extract)

  • 김진영;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01-30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밤나무 잎의 50 % ethanol 추출물로부터 얻은 ethyl acetate 분획을 0.2 % 함유한 제품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추출물 함유 크림을 8주 동안 태양광선에서의 노출과 다양한 온도($4^{\circ}C$, $20^{\circ}C$, $37^{\circ}C$$45^{\circ}C$) 하에서 2주 간격으로 pH, 흡광도 및 점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밤나무 잎 추출물 함유크림(시험제형)과 함유하지 않은 크림(비교제형)의 pH 및 점도 측정 결과 태양광선, $4^{\circ}C$, $20^{\circ}C$ 하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37^{\circ}C$, $45^{\circ}C$ 하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시험제형과 비교제형의 변화 양상이 같은 것으로 보아 밤나무 잎 추출물은 크림의 점도 감소에 영향을 주지 않고, 다만, 크림 제조 시 크림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의 조성 및 성분들 간의 물리 화학적 반응으로 인해 점도 변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흡광도 측정에서는 2주 후 전체적으로 감소가 있었으나, 4주 후 측정시에는 2주 후에 측정치와 거의 동일한 값을 나타내어 밤나무 잎 추출물이 안정화 된 것으로 보여진다. 첨부해서, 추출물 함유 크림과 대조군 크림은 8주 동안 동일한 실험 조건에서, 변취나 변색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크리밍이나 응집과 같은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밤나무 잎의 ethyl acetate 분획 함유 크림을 피부에 도포한 후 경표피 수분 손실량과 피부 수분 함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밤나무 잎의 ethyl acetate 분획 함유 크림은 피부에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밤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은 비교적 안정함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제품에 응용 시 사전 연구에서 나타난 항산화 및 미백과 주름개선에 대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보완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화장품의 제품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Effect of application of coffee sludge and dried food waste powder on the growth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 Jeon, Young-Ji;Hwang, Hyun-Chul;Eun, Jin-A;Jung, Samuel;Oh, Taek-Ke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1호
    • /
    • pp.193-204
    • /
    • 2020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on the growth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and the change of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The organic matter contents of coffee sludge and dried food waste powder were 44.26 and 51.18%, respectively. These values exceed the organic matter content of organic fertilizers recommend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of South Korea by more than 30%. Accordingly, they indicate the possibility of their use as organic fertilizers.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soil properties after cultivation showed that the organic matter content of coffee sludge amended soils was two-fold higher than that of dried food waste powder amended soils. However, the content of available phosphorus was two times lower in the coffee sludge amendments. It is expected that the dried food waste powder was actively used to decompose organic substances, and that phosphoric acid was added by the soil microorganisms used to decompose organic substances. In term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growth, leaf discoloration was observed for all treatments except with the standard rate of dried food waste powder. The standard rate of dried food waste powder also produced relatively better results than other treatments with regard to other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root length (34.08 cm), root diameter (0.78 cm), and fresh root weight (4.77 g plant-1). Therefore, the standard rate of dried food waste powder produced better results than other treatments and can be used as an organic fertilizer in the growth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냉수처리답에서 벼 내냉성 관련형질의 유전 (Inheritance of Some Agronomic Characters Related to Cold Tolerance under Cold Water Treatment in Rice)

  • 예종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73-480
    • /
    • 1995
  • 냉수처리답에서 적고현상, 간장, 수장 그리고 수수 등 각 형질에 대하여 내냉성이 강한 품종과 약한 품종을 교배하고, 그 후대에 대하여 각 형질의 유전분석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적고현상에 대하여 강한 품종과 약한 품종의 교배조합에서 강한 개체와 약한 개체의 F$_2$의 분리비가 7개 조합 중 4개 조합에서 저항성 쪽이 우성으로 3 : 1의 단성잡종분리비를 나타냈다. 2. F$_1$세대와 F$_2$집단에서 간장과 수장은 긴 쪽이 우성이고, 단축이 적게 되는 쪽으로 초우성 또는 불완전우성을 나타냈고, 수수는 많은 쪽이 우성이고, 냉수처리하에서 수수가 오히려 많아지는 쪽으로 초우성을 나타냈다. 3. 냉수답에서 간장, 수장 및 수수의 유전력은 형질 및 교배조합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높았으며, 자연답보다는 냉수처리답에서 유전력이 높게 나타났다. 4. 각 형질의 잡종강세정도는 간장에서 매우 높았으며, 수장과 수수에서는 대체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인디카 /통일형품종의 교배조합에서, 자연답보다는 냉수처리답에서 잡종강세가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