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 Fort III osteotomy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18초

수술 전 상악 교합평면각이 상하악 동시 수술 후 골격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OPERATIVE MAXILLARY OCCLUSAL PLANE ANGLE TO POST-OPERATIVE SKELETAL STABILITY AFTER TWO-JAW SURGERY)

  • 최윤모;류동목;오정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2호
    • /
    • pp.141-14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axillary occlusal plane angle to postoperative skeletal stability by comparative analysis after two-jaw surgery of patients with skeletal CIII malocclusion. This study was made with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of 52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that were performed to Le Fort I osteotomy and BSSRO. And 52 patients were divided to Group A(n=30) and B(n=22). Maxillary posterior impaction was not conducted in Group A, which the pre-operative maxillary occlusal plane angle was in a normal range, and for Group B, which the pre-operative maxillary occlusal plane was low, the maxillary posterior impaction was conducte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The relapse rate of Group A, which the pre-operative maxillary occlusal plane angle was in a normal range, was relatively stable compared to Group B, which the pre-operative maxillary occlusal plane was low. 2. The relapse rate of each measurement of Group B, which had the maxillary occlusal plane altered during the operation, was somewhat high, and of those, the post-operative relapse rate of overjet, overbite, mandibular plane angle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high in the statistics. The analyzed results above, was thought to be indicating that the pre-operative maxillary occlusal plane angle was closely related to the post-operative skeletal stability, and that obtaining post-operative skeletal stability only through operative normalization of occlusal plane angle may meet limitations.

구순구개열 환자에서 상악골 신장술 후 상악골의 견고고정과 하악 후방이동 수술의 동시시행 : 증례보고 (Immediate Fixation after Maxillary Distraction with Mandibular Setback Surgery in Cleft Lip and Palate Patient : Case Reports)

  • 송원욱;이효지;김성원;정진환;이슬기;정유민;김종렬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5-94
    • /
    • 2009
  •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show midface hypoplasia, maxillary hypoplasia due to scar of previous surgery, and manifest as a class III malocclusion, retruded midface and shallow palate. These deformities have been treated with traditional orthognathic surgery. Although conventional Le Fort I osteotomy was performed on most cleft patinets with midface hypoplasia, it showed limited amount of maxillary advancement and high relapse tendency. Recently, when great amount of advancement are required in severe maxillary hypoplasia, distraction osteogenesis using RED system is widely used. But, several months of consolidation period is needed after distraction osteogenesis, occlusal relationship is not stable until mandibular setback surgery has done in mandibular hyperplasia cases and during these period, patients may feel discomfort. We present clinical cases of immediate rigid internal fixation after completion of maxillary distraction using RED system and simultaneous mandibular setback procedure in adult cleft and lip patients who show both maxillary hypoplasia and mandibular prognathism.

  • PDF

외국인에서 발생한 심각한 이차 입술갈림코변형에 대한 한 단계 수술 (One Stage Correction of the Severe Secondary Cleft Lip Nasal Deformities in Foreigners)

  • 김석권;김주찬;박수성;이근철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2-106
    • /
    • 2011
  • Purpose: It is accepted universally that correction of the cleft lip nasal deformity requires multiple stages of surgery. Following primary lip repair in infancy or early childhood, secondary surgery to improve the deformity of the lip and nose is frequently necessary. A suitable surgical procedure to correct the accompanying deformity, such as cleft palate and alveolus, must be carried out at an appropriate age. In developing countries, it is common for patients with cleft lip nasal deformity to present severe secondary deformities in adolescence, because of poor follow-up and inappropriate surgery. Methods: The first patient was a 12 year old Mongolian boy. He presented prominent lip scar, short lip, wide columella, asymmetric nostril, palatal fistula, cleft alveolus, and velopharyngeal incompetence. He underwent cheilorhinoplasty, transpositional flap, alveoloplasty by iliac bone graft, and sphincter pharyngoplasty. On follow-up, a bilateral maxillary hypoplasia and a class III malocclusion developed. He underwent LeFort I osteotomy and maxillary advancement at the age of 16 years. The second patient was an 18 year old Eastern Russian girl. She presented with a deviated nose, right alar base depression, short lip, protrusion on vermilion, large palatal fistula, and severe VPI due to short palate. She underwent the combined procedure of cheilorhinoplasty, corrective rhinoplasty, tongue flap for palatal fistula, and superiorly based pharyngeal flap. And the tongue flap was detached at postoperative 3 weeks. Results: The overall results have been extremely pleasing and satisfactory to patients. There were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nclusion: We discovered the one stage operation for radical correction was sufficient procedure to provide excellent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severe cleft lip nose deformity.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가진 양악 수술 환자의 술후 측모 예측을 위한 Video imaging (Power $Ceph^{\circledR}$ Ver 3.3)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of profile change Prediction by video imaging (Power Ceph $^{\circledR}Ver$ 3.3) in Class III two jaw surgery patients)

  • 권미정;백형선;이원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5-301
    • /
    • 1999
  • 악교정 수술의 계획에 있어서 수술 후 경조직의 이동에 따른 연조직 변화 양상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과 실제 측모 사진을 병합하여 수술 후 측모 변화에 대한 가시성을 높인 여러 종류의 video imaging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프로그램의 정확도를 판단하는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며 특히 국내에서 많이 시행되고 있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수술 후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가 임상적인 활용에 앞서 선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video imaging프로그램의 하나인 Power $Ceph^{\circledR}$ (Power Soft Co. Ver 3.3)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양악수술을 시행 받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 30명(남 14명, 여 16명)을 대상으로 예측도와 실제 술후의 측모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으며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동량 및 술식별로 분류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의 비교에서 24개의 계측항목 중 14개 항목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2. 계측항목 중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대부분 상악에 관련된 연조직으로 하악에 관련된 연조직에 비해 다양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3.상악 및 하악의 이동량에 따른 비교에서 이동량이 적은 군이 이동량이 많은 군에 비하여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 비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인 항목이 적게 나타났다. 4. 이부 성형술 여부에 따른 비교에서 이부 성형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 이부 성형술을 시행한 군에 비하여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 비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인 항목이 적게 나타났다. Video imaging(Power $Ceph^{\circledR}$ Ver 3.3)프로그램에 의한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 비교시 그 차이는 대부분 2mm 이내로써 임상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 PDF

악교정 수술환자의 술전후 하악운동 양상변화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MANDIBULAR MOVEMENT AFTER ORTHOGNATHIC SURGERY)

  • 백상흠;장현중;이상한;김현수;차두원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7권3호
    • /
    • pp.239-249
    • /
    • 2001
  • 저자는 1999년 6월부터 2000년 4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하악골 후퇴를 위해 SSRO 혹은 LeFort I 골 절단술을 동반한 SSRO를 시행받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술전, 술후 1개월, 술후 6개월에 각각 MKG를 이용하여 하악운동량 및 양상을 조사하고 이를 몇 가지 요소에 따라 군으로 나누어 계측치를 측정, 연구한 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녀 성별에 따른 두 군 사이에서, 좌측운동량의 변화 및 최대 개구속도의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그 외의 항목은 차이가 없었다. 2. SSRO만을 시행 받거나 혹은 LeFort I을 동반하여 SSRO를 시행받을 경우, 수술방법에 따른 하악운동량의 변화는 유의성이 없었다.(p>0.05) 3. 하악골이동량에 따른 세 군에서 각 군사이의 하악운동량의 변화는 좌측 측방운동량에서는 $6{\sim}10mm$의 이동군이 가장 우수하였으며(p<0.05), 그 외의 항목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4. 하악골의 개폐구 양상은 전두면 상에서 술전이 복잡편향형, 단순편향형, 복잡편위형, 단순편위형, 직선형 순이었고 술후 1개월에서는 단순편향형, 단순편위형, 복잡편위형, 직선형, 복잡편향형 순이며, 술후 6개월에서는 술전과 같은 순서였다. 또한 시상면상에서는 술전에 비일치형이, 술후 1개월에서는 일치형이 술후 6개월에서는 다시 비일치형이 우세하였다. 5. 술전 관절증의 증상유무에 따른 두 군사이의 하악운동량의 변화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p>0.05). 6. 과두재위치장치를 적용한 군과 적용하지 않은 군에서, 두 군사이의 하악운동량의 변화에는 유의성이 없었다(p>0.05). 7. 술전 관절증이 있었던 환자중 술후 관절증의 완화가 나타난 경우가 63% 였으며, 과두재위치장치를 적용하지 않은 군에서 술후 관절증의 완화가 더 유의성있게 나타났다(p<0.05).를 보였으며 복합 레진은 유의차가 없었다. 상악 견치 (8%), 하악 제 1소구치 (5%) 순이었다. 10. I군에서 추정되는 낭의 발생 원인으로는 치수절단술을 받은 유치가 59.2%로 가장 많았고 이외에 심한 우식 및 치료 받지 않은 외상 병력등 기타 가능한 원인들이 있었다. 11.함치성 낭의 치료법으로는 I군의 경우 61.2%에서 조대술이 시행되었고, II군과 III군의 경우 61.1%, 80.0%에서 적출술이 시행되었다.mH I처치시 SM1과 SM2는 4조각의 절편으로 절단되어 같은 양상을 보였고, GS톤의 경우는 3조각의 절편으로 절단되었다. Kpn I, Sma I, Xho I 그리고 Pst I에는 절단되지 않았다.s subsp. salicinius와 유전자 유사치가 99.60%, 99.73%를 보여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로 동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치아우식증이 없는 소아의 타액에서 분리된 유산균 중 과산화수소를 분비하여 인공치태 형성과 휘발성 유황화합물 생성을 억제하는 분리균주는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로 동정되었다.적으로 낮은 수축률과 우수한 물성을 보였으며, 나노필러를 사용한 복합레진의 경우, 기존의 hybrid 필러를 이용한 레진에 비하여 수축응력을 감소시키지는 못하였다. 나노필러를 이용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인한 타액분비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gap junction은 흰쥐 악하선 세포로부터의 타액분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gap junction이 세포막 $Ca^{2+}$ 통로를 조절함으로써 수용체 자극으로 유발된 세포내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