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 Fort I osteotomy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3초

악교정 수술환자의 술전후 하악운동 양상변화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MANDIBULAR MOVEMENT AFTER ORTHOGNATHIC SURGERY)

  • 백상흠;장현중;이상한;김현수;차두원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7권3호
    • /
    • pp.239-249
    • /
    • 2001
  • 저자는 1999년 6월부터 2000년 4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하악골 후퇴를 위해 SSRO 혹은 LeFort I 골 절단술을 동반한 SSRO를 시행받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술전, 술후 1개월, 술후 6개월에 각각 MKG를 이용하여 하악운동량 및 양상을 조사하고 이를 몇 가지 요소에 따라 군으로 나누어 계측치를 측정, 연구한 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녀 성별에 따른 두 군 사이에서, 좌측운동량의 변화 및 최대 개구속도의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그 외의 항목은 차이가 없었다. 2. SSRO만을 시행 받거나 혹은 LeFort I을 동반하여 SSRO를 시행받을 경우, 수술방법에 따른 하악운동량의 변화는 유의성이 없었다.(p>0.05) 3. 하악골이동량에 따른 세 군에서 각 군사이의 하악운동량의 변화는 좌측 측방운동량에서는 $6{\sim}10mm$의 이동군이 가장 우수하였으며(p<0.05), 그 외의 항목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4. 하악골의 개폐구 양상은 전두면 상에서 술전이 복잡편향형, 단순편향형, 복잡편위형, 단순편위형, 직선형 순이었고 술후 1개월에서는 단순편향형, 단순편위형, 복잡편위형, 직선형, 복잡편향형 순이며, 술후 6개월에서는 술전과 같은 순서였다. 또한 시상면상에서는 술전에 비일치형이, 술후 1개월에서는 일치형이 술후 6개월에서는 다시 비일치형이 우세하였다. 5. 술전 관절증의 증상유무에 따른 두 군사이의 하악운동량의 변화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p>0.05). 6. 과두재위치장치를 적용한 군과 적용하지 않은 군에서, 두 군사이의 하악운동량의 변화에는 유의성이 없었다(p>0.05). 7. 술전 관절증이 있었던 환자중 술후 관절증의 완화가 나타난 경우가 63% 였으며, 과두재위치장치를 적용하지 않은 군에서 술후 관절증의 완화가 더 유의성있게 나타났다(p<0.05).를 보였으며 복합 레진은 유의차가 없었다. 상악 견치 (8%), 하악 제 1소구치 (5%) 순이었다. 10. I군에서 추정되는 낭의 발생 원인으로는 치수절단술을 받은 유치가 59.2%로 가장 많았고 이외에 심한 우식 및 치료 받지 않은 외상 병력등 기타 가능한 원인들이 있었다. 11.함치성 낭의 치료법으로는 I군의 경우 61.2%에서 조대술이 시행되었고, II군과 III군의 경우 61.1%, 80.0%에서 적출술이 시행되었다.mH I처치시 SM1과 SM2는 4조각의 절편으로 절단되어 같은 양상을 보였고, GS톤의 경우는 3조각의 절편으로 절단되었다. Kpn I, Sma I, Xho I 그리고 Pst I에는 절단되지 않았다.s subsp. salicinius와 유전자 유사치가 99.60%, 99.73%를 보여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로 동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치아우식증이 없는 소아의 타액에서 분리된 유산균 중 과산화수소를 분비하여 인공치태 형성과 휘발성 유황화합물 생성을 억제하는 분리균주는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로 동정되었다.적으로 낮은 수축률과 우수한 물성을 보였으며, 나노필러를 사용한 복합레진의 경우, 기존의 hybrid 필러를 이용한 레진에 비하여 수축응력을 감소시키지는 못하였다. 나노필러를 이용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인한 타액분비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gap junction은 흰쥐 악하선 세포로부터의 타액분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gap junction이 세포막 $Ca^{2+}$ 통로를 조절함으로써 수용체 자극으로 유발된 세포내

  • PDF

한국인에서의 상악골 교정수술후 안면중부 연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MID-FACIAL SOFT TISSUE CHANGES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OF THE MAXILLA IN KOREANS)

  • 박형식;최진호;김영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3호
    • /
    • pp.278-290
    • /
    • 1991
  • Prediction of the sop tissue changes following hard tissue movements is very important in the preoperative analysis of surgical changes of the patient who have orthognathic surgery. This study examined post operative changes of the mid-facial sop tissues in Koreans depending upon two major positional changes of the maxilla following Le Fort - I type osteotomy for orthognathic purposes. Sixty patients(41 males and 19 females) of Korean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directional change of movement of anterior bony structures of the Maxilla as follows : Group I (44 patients) was mooed anteriorly and/or inferiorly, and Group II (16 patients) was mooed posteriorly and/or superioly. Postoperative changes of the sop tissue measurements following hard tissue changes were examined on pre - and post - operative cephalometrics by means of computerized digitation methods and the ratios of changes were analyse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In Group I, all of the sop tissue measures except the Pn was closely followed by the changes of the hard tissue measures in the horizontal plane, but the Sn and the Cm were only correlated to the vertical changes(p<0.001). In group II, all of the sop tissue measures excluding of the N' and the P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hard tissue measures in horizontal plane(p<0.001), but the Ls and Stm were only correlated relatively to the vertical changes of the ANS(p<0.01). 2. Predictable ratio of the Sn was 66% of the ANS or 56% of the A in the horizontal plane and 89% of the A in the vertical plane in Group I. In Group II, the Sn was predictable as 85% of the ANS or 70% of the A in the horizontal plane but was not predictable in vertical plane. 3. Predictable ratio of the Cm was 28% of the ANS or 50% of the A in the horizontal plane and 56% of the ANS or 36% of the A in the vertical plane in Group I. In Group II, the Cm was predictable horizontally as 74% of the A. Predictable ratio of the Pn was 30% of the ANS or 38% of the A in horizontal plane in Group I, but it was not predictable bot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 Group II. 4. Predictable ratio of the Ls was 52% of the Pr in Group I and 77% in Group II in the horizontal plane. The Stm was predictable as 34% of the pr or 22% of the I in the horizontal plane in Group I, and was also predictable as 55% of the pr or 68% of the I horizontally and 21% of the pr or 65% of the I vertically in Group II. 5. All ratios of change in the thickness. length and area of the upper lip following maxillary movement were statiscally correlated, however, mangitudes of them were meaningful clinically.

  • PDF

외과적 급속상악확장술시 익돌상악 접합부의 분리 유무에 따른 치열궁 변화 (EFFECTS OF PTERYGOMAXILLARY SEPARATION ON SKELETAL AND DENTAL CHANGES FOLLOWING SURGICALLY-ASSISTED RAPID MAXILLARY EXPANSION)

  • 한인호;안진석;구홍;국민석;박홍주;오희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4호
    • /
    • pp.320-328
    • /
    • 200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terygomaxillary separation on dimensional changes of dental arch following surgically-assisted rapid maxillary expansion (SARME). Patients and Methods: Eighteen adults who had been treated by SARME for transverse maxillary deficiency from May 2000 to August 2005 were evaluated. Thirteen patients (Group 1) were treated with subtotal Le Fort I osteotomy including pterygomaxillary separation and anterior midpalatal osteotomy. The same operation was performed in five patients (Group 2) except pterygomaxillary separation. Dental study casts were taken before operation and after removal of expansion device. And then, skeletal and dental parameters were measured pre- and post-operatively. Results: 1. Changes of mean interdental width 1) In group 1, mean maxillary interdental width was increased 70%($47{\sim}99%$), 95%($84{\sim}115%$), and 77%($57{\sim}94%$) of total expansion on canine, first premolar, and first molar region, respectively after retention. 2) In group 2, mean maxillary interdental width was increased 77%($59{\sim}100%$), 78%($45{\sim}107%$), and 86%($57{\sim}116%$) of total expansion on canine, first premolar, and first molar region, respectively after retention. 3)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change of interdental width of group 1 and group 2 at first premolar(p<0.05). 2. Changes of mean interalveolar width 1) In group 1, mean maxillary alveolar bone width was increased 66%($42{\sim}84%$), 74%($42{\sim}104%$), and 57%($31{\sim}78%$) of total expansion on canine, first premolar, and first molar region, respectively after retention. 2) In Group 2, mean maxillary alveolar bone width was increased 73%($55{\sim}98%$), 67%($36{\sim}89%$), and 59%($48{\sim}73%$) of total expansion on canine, first premolar, and first molar region, respectively after retention. 3)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group 1 and group 2 at each teeth area.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RME without pterygomaxillary separation may allow the relatively equal expansion at both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area and most amounts of maxillary interdental expansions were acquired with the expansion of the maxilla by SARME.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가진 양악 수술 환자의 술후 측모 예측을 위한 Video imaging (Power $Ceph^{\circledR}$ Ver 3.3)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of profile change Prediction by video imaging (Power Ceph $^{\circledR}Ver$ 3.3) in Class III two jaw surgery patients)

  • 권미정;백형선;이원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5-301
    • /
    • 1999
  • 악교정 수술의 계획에 있어서 수술 후 경조직의 이동에 따른 연조직 변화 양상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과 실제 측모 사진을 병합하여 수술 후 측모 변화에 대한 가시성을 높인 여러 종류의 video imaging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프로그램의 정확도를 판단하는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며 특히 국내에서 많이 시행되고 있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수술 후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가 임상적인 활용에 앞서 선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video imaging프로그램의 하나인 Power $Ceph^{\circledR}$ (Power Soft Co. Ver 3.3)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양악수술을 시행 받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 30명(남 14명, 여 16명)을 대상으로 예측도와 실제 술후의 측모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으며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동량 및 술식별로 분류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의 비교에서 24개의 계측항목 중 14개 항목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2. 계측항목 중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대부분 상악에 관련된 연조직으로 하악에 관련된 연조직에 비해 다양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3.상악 및 하악의 이동량에 따른 비교에서 이동량이 적은 군이 이동량이 많은 군에 비하여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 비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인 항목이 적게 나타났다. 4. 이부 성형술 여부에 따른 비교에서 이부 성형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 이부 성형술을 시행한 군에 비하여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 비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인 항목이 적게 나타났다. Video imaging(Power $Ceph^{\circledR}$ Ver 3.3)프로그램에 의한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 비교시 그 차이는 대부분 2mm 이내로써 임상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 PDF

외과적 급속상악확장술 후 악골 및 치아의 위치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F SKELETAL AND DENTAL CHANGES AFTER SURGICALLYASSISTED RAPID MAXILLARY EXPANSION)

  • 한창훈;국민석;박홍주;오희균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1권5호
    • /
    • pp.390-398
    • /
    • 200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keletal and dentoalveolar dimensional changes following surgically-assisted rapid maxillary expansion (SARME). Patients & methods: Thirteen adults who had been treated by SARME for transverse maxillary deficiency from May 2000 to December 2003 were evaluated. The SARME procedure was the subtotal Le Fort I osteotomy combined with pterygomaxillary separation and anterior midpalatal osteotomy. Dental study casts and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taken before operation, after removal of expansion device, and follow up period. Nasal cavity width, skeletal and dentoalveolar parameters were measured pre- and post-operatively. Results: 1. Mean nasal cavity width was increased 12%$(0{\sim}21%)$ of total expansion after retention. 2. Mean maxillary interdental width was increased 70%$(47{\sim}99%)$, 95%$(84{\sim}115%)$, and 77%$(57{\sim}94%)$ of total expansion in the canine, the first premolar, and the first molar region, respectively after retention. 3. Mean maxillary alveolar bone width was increased 66%$(42{\sim}84%)$, 74%$(42{\sim}94%)$, and 57%$(31{\sim}78%)$ of total expansion in the canine, the first premolar, and the first molar region, respectively after retention. 4. Mean palatal vault depth was decreased 1.3 mm ($0.5{\sim}2.0$ mm) after retention. 5. Mean interdental and alveolar bone width of the mandibular canine and intermolar width of mandible were slight increased as maxilla was expanded after retention. 6.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values of nasal cavity, all maxillary interdental and interalveolar widths, palatal vault depth, mandibular interdental and interalveolar width of canine(paired t-test, p<0.05). 7. The maxillary interdental and alveolar bone width were decreased approximately 25% of total expansion by relapse at follow up period. Conclusion: In conclusion, most amounts of maxillary interdental expansions were acquired with the expansion of the maxilla by SARME. For preventing the relapse, approximately 25% of the overexpansion was needed.

Trans-sinusoidal maxillary distractor($TS-MD^{(R)}$)를 이용한 구순구개열 환자에서의 상악골 골신장술 (Maxillary Distraction Osteogenesis Using $TS-MD^{(R)}$ (Trans-sinusoidal Maxillary distractor) on Cleft Patients)

  • 팽준영;이일구;명훈;황순정;서병무;최진영;이종호;정필훈;김명진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1-79
    • /
    • 2005
  • Purpose: Maxillary hypoplasia is a common developmental problem of cleft lip and palate. Fair results with distraction osteogenesis have been reported especially when these patients need a large amount of maxillary advancement, instead of orthognathic surg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with a relatively new distractor, $TS-MD^{(R)}$ (Trans-sinusoidal maxillary distractor, KLS Martin, Tuttlingen, Germany) which was used for the advancement of the maxilla in the cleft patients. Patients and Method: Distraction osteogenesis using $TS-MD^{(R)}$ was performed for four CLP patients (three males and one female) who had maxillary hypoplasia. All patients were over 16 years old. As three patients showed mandibular prognathism as well,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for mandibular setback was performed at the same time. After consolidation periods of 4 to 12 weeks, the distraction devices were removed and miniplates were placed for simultaneous internal fixation. Results: Three patients showed a large amount of incisal overbite but one patient did not have sufficient maxillary advancement. Le Fort I osteotomy, maxillary advancement and internal fixation should have been performed for the patient when removing the distraction devices. Different from the $clinician{\box}s$ expectation, the amount of maxillary advancement using $TS-MD^{(R)}$ was not sufficient, although the device has rigid mechanical property. Rotation of maxilla during distraction forward and downward was also observed. Conclusion: Even though the maxillary advancement with $TS-MD^{(R)}$ device could be achieved, the clinical control of some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the device was necessary. More clinical studies on $TS-MD^{(R)}$ should be performed.

  • PDF

견고 구외 골신장술을 이용한 구순구개열 환아의 치험례 (MAXILLARY ADVANCEMENT USING RIGID EXTERNAL DISTRACTION(RED) IN CLEFT LIP AND PALATE PATIENT : CASE REPORT)

  • 유난영;김성민;이주현;서현우;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09-716
    • /
    • 2005
  • 구순구개열 환자에서는 이른 시기에 시행된 수술로 인한 구순이나 구개부의 반흔 형성으로 섭식장애나 발음장애를 동반한 상악의 열성장이 나타나게 된다. 때로는 집중적인 교정치료 후에도 심한 상악골 저형성증을 보이며 이러한 경우성장이 완료 된 후에 골이식을 동반한 악교정 수술로 상악골을 전방이동시켜 안모의 개선을 도모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상악골의 전방이동은 연조직의 과도한 신장으로 인한 술후회귀현상, 추가적인 골이식이 필요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골신장술은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는 최신 치료방법으로 구순구개열 환자, 두개골 융합증을 나타내는 환자 등에서 상악골을 포함한 두개 안면골의 개선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구외장치를 이용하는 골신장술은 골신장기간 중에 견인 방향의 조절이 보다 쉬우며, 충분한 양의 골신장이 가능하여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열성장을 보이는 구순구개열 6세 7개월의 여자 환아로, 변형된 구내 르포씨 1형 골절단술(modified Le Fort I osteotomy) 후 두개골을 고정원으로 이용하는 견고 구외 골신장술을 통해 상악골을 전진시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상악골의 수술적 상방이동에 대한 연조직의 장기적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ong-term soft tissue changes after superior repositioning of the maxilla)

  • 이동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27-635
    • /
    • 1999
  • 하안면의 장경이 길고 웃을 때 치은이 과다 노출되거나 전치부 개방교합을 나타내는 상악골의 수직적 과성장 환자의 치료법으로 상악골의 수술적 상방이동이 고려되어질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여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오더라도 심미적 개선이 중요한 부분인 만큼 장기간에 걸친 연조직 변화를 관찰하여 임상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지는 상악골 상방이동에 대한 상, 하순의 수직적 변화 특히 안정위시의 상악전치와 상순간의 관계의 변화와 상하순간의 이개 거리의 장기간에 걸친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수술계획 시 치료결과에 대한 심미적 만족도를 높여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번연구를 통하여 상악골의 수직적 상방이동 후의 장기간에 걸친 연조직 변화를 관찰하여 상악골의 수술적 상방이동에 의한 치료계획 시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술 후 최소한 5년이 경과되고 2mm 이상의 수술적 상방이동이 이루어진 49명의 환자의 술 전, 술 후 1년, 술 후 5년의 측모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코의 하부와 상순의 연조직 계측점의 술 전과 술 후5년의 비교 시 superior labial sulcus의 상방이동과 pronasale의 전방이동만이 유의성있는 변화를 보였다. 2) 술 후 1년까지 하순의 전상방으로의 이동이 그 후 후하방으로 변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술 전과 술 후 5년의 비교시 전상방으로의 전위가 유지되었고 이부성형술을 한 군에서 변화가 더욱 뚜렷하였다. 3)상순의 길이와 홍순(upper vermilion)의 수직적 변화는 술 후 1년까지 감소되었다가 그 후 증가되어 술 전과 비교시 유의성있는 변화가 없었으나 하순의 길이의 증가와 홍순(lower vermilion)의 수직적 감소는 술 후 1년과 5년에서 계속 지속되었다. 4) 안정위시 상악전치의 노출이 지속적으로 유의성있는 감소를 나타냈고, 상하순간의 거리도 지속적 감소를 보였는데 이는 수술에 의한 상악골 상방 이동양보다 큰 감소였다. 5) 술 후 1년 이후에 나타나는 연조직의 하방 이동이 악골의 하방 이동 보다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