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unch vehicle

검색결과 789건 처리시간 0.034초

해외 발사체 상단의 충돌 및 오염 회피 기동 분석 (Foreign Launch Vehicle Upper Stage Collision and Contamination Avoidance Maneuver Analysis)

  • 박창수;조상범;송은정;노웅래
    • 항공우주기술
    • /
    • 제7권1호
    • /
    • pp.194-201
    • /
    • 2008
  • 발사체 상단은 위성과 분리된 이후 대부분 충돌 및 오염 회피 기동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동을 통하여 위성은 안전하게 궤도에 안착되고 발사체는 위성으로부터 오염을 최소화하며 멀어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 여러 발사체들의 위성 분리와 충돌 및 오염 회피 기동을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KSLV-I 상단에 회피 기동에 의한 위성의 오염도 허용 기준을 제시하였다.

  • PDF

우주발사체 개발사업에서 신뢰성공학의 시스템엔지니어링 인터페이스 (System Engineering Interfaces of Reliability Engineering in Development of Launch Vehicle)

  • 신명호;조상연;조미옥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2권1호
    • /
    • pp.31-36
    • /
    • 2006
  • Development of launch vehicle needs a large-scale and complicated System Engineering discipline interfacing to small-quantity production with special manufacturing processes. In general, the System Engineering discipline of launch vehicle has its relationship with Production, Operations, Product Assurance and Management disciplines and its internal partitions into the functions of System Engineering Integration & Control, Requirements Engineering, Analysis, Design and Configuration and Verification. As a function of Product Assurance, reliability of launch vehicle plays an significant role in risk management, system safety, flight safety and launch certification through design assurance. Moreover, major functions of systems engineering are integrated by means of reliability in the phases of design and verification. Therefore, derailed identification of system engineering interfaces of reliability, and execution of tasks for reliability assurance is required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launch vehicle. This paper identifies specific pattern and mechanism of the interfaces between reliability and system engineering.

  • PDF

한국형발사체에 기반한 소형발사체의 스테이징 및 투입성능 분석 (Staging and Injection Performance Analysis of Small Launch Vehicle Based on KSLV-II)

  • 조민선;김재은;최정열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55-16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한국형발사체 2, 3단을 수정하여 500 kg 급 차세대 중형위성(CAS500)을 지구 저궤도(LEO)에 단독 발사할 수 있는 2단형 소형발사체를 설계하였다. 한국형발사체는 3단 발사체이므로 소형발사체로의 활용을 위해서는 단별 속도증분이 새롭게 분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설계 변수로는 단 질량비, 구조비와 1, 2단 엔진 옵션을 고려하였으며, 이에 대한 단 설계 및 궤적해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검토로부터 500 kg 급 위성의 LEO 단독 발사가 가능한 소형발사체 설계변수의 조합을 확인하였다.

공중발사체의 활용가능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Air Launch Vehicle)

  • 권기범;이강현;조예랑;지완구;김규홍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03-214
    • /
    • 2022
  • 세계적으로 500 kg 급 이하의 소형위성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전용 소형발사체에 대한 개발과 운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소형위성을 원하는 시간에 목표로 하는 궤도에 투입하는 발사체의 신속한 대응성이 주목받고 있으며, 신속한 위성군 구축 측면에서 공중발사 방식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소형위성군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 및 주변 지리적 환경을 고려하여 공중발사체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응성 측면에서 공중발사체와 지상 소형 및 대형발사체에 대해 임무 대응시간을 비교, 분석하고, 발사체의 궤도투입 성능 측면에서 공중발사체와 지상 소형발사체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중발사체는 신속한 위성군 구축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경우 실질적인 대응성은 제한되나 상대적으로 빠른 턴어라운드 시간과 낮은 경사각의 궤도 투입 시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또한, 궤도투입 성능은 지상 소형발사체의 성능에 근접할 뿐만 아니라 요구 추진제 질량 측면에서 높은 효율성을 나타내어 국내 소형위성군의 궤도투입에 효과적인 발사수단으로 평가된다.

한국형발사체 발사체고정장치용 파이로밸브 개발 소개 (Introduce for Development of Pyro Valve of Vehicle Holding Device for KSLV-II)

  • 지상연;강선일;이영호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6-29
    • /
    • 2017
  • 한국형발사체를 독자개발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중심으로 2010년 이후 수행 중에 있다. 발사대 장비 중 발사체고정장치는 발사체를 발사패드 위에 수직으로 기립시킨 후 발사체 하부를 고정하여 풍하중 등 외부 하중으로부터 발사체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장치로, 발사체 1단 엔진 점화 후 발생된 추력이 발사체의 이륙중량을 초과되어 이륙이 시작하는 발사초기에 다른 지상장비들과 마찬가지로 발사체 이륙에 간섭이 되지 않도록 고정장치를 빠르게 해제 하여야 한다. 파이로밸브는 발사체고정장치를 구성하는 핵심 구성품의 하나로 발사체 단분리 장치 및 위성 분리장치 등에도 적용하는 유사기능부품으로 높은 신뢰도과 빠른 응답특성을 가져야 한다. 본 논문내용을 통해 발사체고정장치용 파이로밸브 개발과정과 한국형발사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 PDF

우주발사체 개발의 국내외 동향 (Trend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of Space Launch Vehicles)

  • 공현철;이준호;오범석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6권2호
    • /
    • pp.109-115
    • /
    • 2008
  • 대한민국 전라남도 고흥군 외나로도에 위치한 나로우주센터에서 2009년 상반기에 대한민국이 그렇게도 고대하던 위성자력발사의 쾌거가 발생하게 된다. 소형위성 발사체(KSLV-I)는 그동안 대한민국에서 과학로켓 시리즈의 개발을 통해서 축적한 기술과 노하우를 활용하여 우주발사체 개발로서 승화한 작품으로써 질량 100kg의 과학 위성2호를 싣고 발사하여 온 국민에게 희망과 꿈을 선사하게 될 것이다. 국제적으로는 미국 및 러시아의 우주개발 활동에 이어 일본의 가구야 달 탐사선, 중국의 창어 달 탐사선 및 우주유영 그리고 인도의 달 탐사선 찬드라얀 1호의 발사 등 제2의 우주개발 경쟁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국내외의 상황을 고려하여 국내외의 우주발사체 개발 동향을 정리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 PDF

발사체 극저온 추진제 충전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Cryogenic Propellant Filling System for Launch Vehicle)

  • 유병일;김지훈;박편구;박순영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0년도 제35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76-677
    • /
    • 2010
  • 나로우주센터에서 2차에 걸친 나로호 발사가 수행되었다. 나로호 발사를 위한 나로우주센터 발사대는 연료 및 산화제, 고압가스 등 발사체 발사운용에 필요한 추진제 공급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발사대 추진제 공급설비 중 극저온 추진제인 액체산소 충전시스템에 대한 개발 과정 및 운용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 PDF

소형 인공위성 발사체 충격저감용 PTFE(테프론) 소재 아이솔레이터 연구 (The study of PTFE isolator equipped to small satellite launch vehicle to reduce the separation shock)

  • 정호경;윤세현;서상현;장영순;이영무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58-362
    • /
    • 2006
  • Pyro-shock generally refers to the severe mechanical transients caused by the detonation of an ordnance device on a structure. Such device on a structure, including linear explosive, and point explosive are widely used to accomplish in-flight separation of structural elements on aerospace vehicle. And they are a significant cause of launch vehicle failures. The launch vehicle being developed in Korea also uses the explosive for separation events. In this paper, the isolator equipped to small satellite launch vehicle made of PTFE(Teflon) is developed to reduce the separation shock. The test to measure dynamic stiffness of PTFE isolator is performed. This test enables us to find the frequency range of PTFE isolator. And,, pyre-shock test using explosiv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PTFE isolator is executed. from this study, the isolator conformed to frequency range and load requirement is developed using PTFE instead of rubber.

  • PDF

KSLV용 추진기관 종합시험설비 개념설계

  • 강선일;김영한;이정호;조상연;김용욱
    • 항공우주기술
    • /
    • 제3권1호
    • /
    • pp.232-241
    • /
    • 2004
  • 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KSLV용 추진기관 종합시험설비를 구축, 운영함으로써 발사체 추진기관의 각 구성품의 조립성 및 시스템 적합성을 검증하고, 연소시험을 포함한 각종 시험을 통해 구성품의 성능 확인 및 추진기관 시스템에 대한 종합적 인증(Qualification)을 하고자 한다. 아울러 발사 환경을 모사할 수 있어, 추진기관 구성품 및 시스템의 최종 환경시험이 가능할 뿐 아니라 발사시 추진기관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목적을 위해 구축되는 추진기관 종합시험 설비(Integrated Power Plant Test Facility)의 개념설계(Conceptual Design Analysis)과정을 통해 도출된 설계 개념을 정리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우주발사체 발사에 의한 발사장 주변의 음향 소음 분석 (Analysis on Acoustic Noise around Launch Pad Induced by the Launch of a Space Launch Vehicle)

  • 심형석;최규성;고정환;노웅래
    • 항공우주기술
    • /
    • 제11권2호
    • /
    • pp.208-215
    • /
    • 2012
  • 우주발사체 비행에 의한 발사장 주변의 음향 소음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발사체 엔진 배기 제트에 소음원을 위치시키고 소음의 방향성, 대기 감쇄 등을 고려하여 발사장 주변의 특정 지점에 미치는 소음의 크기를 예측하였다. KSLV-I의 발사 소음을 예측하고 이 결과를 비행시험시의 측정 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소음의 방향성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음 방향성 정보에 대한 적절한 가정에 의해 시험 결과와 예측 결과가 서로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