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unch Pad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17초

실사격 시험시스템의 효율적인 개발을 위해 안전도 반영을 통해 개선된 시스템 성숙도 모델에 관한 연구 (On an Enhanced Model of System Readiness Level by Incorporating Safety for the Development of Live Fire Test Systems)

  • 예성혁;이재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5-204
    • /
    • 2015
  • The live fire test has been playing a critical role in evaluating the goals-to-meet of the weapon systems which utilize the power of explosives. As such,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test systems therein is quite important. The test systems development covers that of ranges and facilities including system-level key components such as mission control, instrumentation or observation, safety control, electric power, launch pad, and so on. In addition, proper operational guidelines are needed with well-trained test and operation personnel. The emerging weapon systems to be deployed in future battle field would thus have to be more precise and dynamic, smarter, thereby requiring more elaboration. Furthermore, the safety consideration is becoming more serious due to the ever-increasing power of explosives. In such a situation, development of live fire test systems seems to be challenging. The objective of the paper is on how to incorporate the safety and other requirements in the development. To achieve the goal, an architectural approach is adopted by utilizing both the system components relationship and safety requirement when advanced instrumentation technology needs to be developed and deteriorated components of the range are replaced. As an evaluation method, it is studied how the level of maturity of the test systems development can be assessed particularly with the safety requirement considered. Based on the concepts of both systems engineering and SoS (System-of-Systems) engineering process, an enhanced model for the system readiness level is proposed by incorporating safety. The maturity model proposed would be helpful in assessing the maturity of safety-critical systems development whereas the costing model would provide a guide on how the reasonable test resource allocation plan can be made, which is based on the live fire test scenario of future complex weapon systems such as SoS.

전자책 DRM의 상호호환성을 지원하는 ePub 기반 표준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Pub-based Standard Framework Supporting Mutual Comparability of eBook DRM)

  • 강호갑;김태현;윤희돈;조성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35-245
    • /
    • 2011
  • 전자책은 디지털화된 출판물의 형태로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으로 유통이 이루어지는 콘텐츠이다. 최근 전자책 시장은 미국 아마존이 킨들을 기반으로 하여 전자책 서비스 시장의 성공 가능성을 보여 줌에 따라 구글의 전자책 사업 진출, 애플의 아이패드 출시 및 전자책 서비스 시장 진출 등 본격적인 성장세로 진입하고 있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전자책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위한 기술적 보호조치의 중요성도 매우 높아가고 있는데, 현재 전자책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상용 DRM 기술은 기존 DRM 기술의 비호환성 문제점을 그대로 안고 있다. 따라서 현 상황에서 전자책 시장이 음악 시장과 동일한 시장 규모로 증가할 경우 음악 DRM에서 발생했던 DRM 호환성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전자책 DRM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한 표준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전자책 DRM 호환성을 위한 표준 레퍼런스 소프트웨어가 개발이 완료되면 소스를 공개 소프트웨어로 등록하여 누구든지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기술기반 창업 프로그램의 팀 특성이 특허 성과에 미치는 효과 분석: 팀 다양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eam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based Startup Programs on Patent Performance: Focusing on Team Diversity)

  • 이재호;손영우;한정화;이상명
    • 지식경영연구
    • /
    • 제25권1호
    • /
    • pp.21-41
    • /
    • 2024
  • 21세기 들어 혁신적인 전략이나 기술로 탄생한 벤처기업은 세계 경제를 이끄는 중심축이 되었다. 제4차산업혁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AI, 전기차 등 거시적 지식기반 사회로의 이행에 따른 환경 변화 등으로 과학기술기반 창업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대학·출연(연)이 신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논문이나 보유 특허를 기반으로한 실험실 창업은 생존율과 고용 창출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 미연구재단(NSF)에서 개발하여 국내에도 도입된 실험실창업 혁신교육프로그램인 '아이코어(I-Corps)'에 주목하였다. 혁신군단을 뜻하는 아이코어는 2011년 NSF 주로도 국가혁신 차원의 창업시스템 구축 정책일환으로 R&D 결과물의 사업화 및 기업가 정신 육성을 위해 출범한 실험실 창업 프로그램으로 일반적인 기술이전이나 기술 사업화를 뛰어 넘는 잠재 수요가로부터의 시장 기회의 인지 및 효과적 사업화를 위한 시장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지향하는 7주 동안의 시장발견 활동 등의 커리큘럼을 갖춘 스탠포드대학교의 SBL(Steve Blank Lean LaunchPad)이 아이코어의 모태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아이코어 프로그램 참여 팀들을 중심으로 실험실창업의 팀 특성 중 창업팀 다양성이 특허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연구모델을 제안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제안된 변수들 중에서 연령 다양성, 학력 다양성, 가치관 다양성이 특허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아이코어(I-Corps) 실험실창업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기술창업, 지식 재산, 지식 경영 관련분야의 연구자들이나 실무 종사자들의 이론적, 실무적 기반을 더 탄탄히 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