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ateral fins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9초

Spermatogenesis of Siamese Fighting Fish, Betta splendens, Osphronemidae, Teleostei

  • Lim, Sung Ha;Koh, Yeong Kyeong;Chang, Byung Soo;Kim, Dong Heui
    • Applied Microscopy
    • /
    • 제44권1호
    • /
    • pp.1-7
    • /
    • 2014
  • The spermatogenesis of Siamese fighting fish, Betta splendens, belongs to Osphronemidae was investigat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In primary spermatocyte stage, the nucleus was comparatively large ellipsoidal, and mitochondria showed a marked development in cytoplasm. In secondary spermatocyte stage, the germ cells were smaller than that of primary spermatocytes. The nucleus was a spherical shape and intercellular space was formed between germ cells. In spermatid stage, the early spermatids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a secondary spermatocyte. But, the chromatin condensation was occurr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nucleus was more condensed. Intracellular space was larger than early spermatid. The mitochondria were rearranged in a middle piece, and occupied about half of the head part in early sperm. In sperm stage, the head of mature sperm was a spherical shape and had no acrosome. The flagellum was showed the typical 9+2 array of microtubules. Also, the tail of sperm had no lateral fins and outer coarse fibers. Thes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can be used in classification of species.

기수재첩 (Corbicula japonica)의 정자형성과정과 정자 미세구조 (Spermatogenesis and Sperm Ultrastructure of the Marsh Clam (Corbicula japonica) (Bivalvia: Veneridae))

  • 이정용;김완기;이채성;장영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81-286
    • /
    • 2004
  • Spermatogenesis and sperm ultrastructure of the marsh clam (Corbicula japonica) were investigated by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Testis of the marsh clam consists of numerous spermatogenic follicle containing germ cells in the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Spermatogonia are located nearest the outer wall of the follicle, while spermtocytes and spermatids are positioned nearer to the lumen. Spematogonia are oval-shaped and about $5{\mu}m$ In diameter. Spermatogonia develop into spermatocyte, spermatid and spermatozoon. In the spermatid to about $2{\mu}m$ in diameter, cytoplasm decreases and mitochondria move to the base of the nucleus and fuse into several spheres, the centrioles become orthogonally oriented, a flagellum appears, and an acrosomal vesicle forms. The mature sperm has primitive type, consisting of a head, a midpiece and a tail. The sperm was arrow-shaped, and its head is about $8{\mu}m$ long and comprised of a long nucleus and an acrosome. The four mitochondria encircled the centrosome in midpiece. The flagellum had the classical 9+2 axoneme structure, and axonemal lateral fins in the tail were observed.

한국산 동갈돔과 어류 첫기록종, Apogon unicolor (First Record of the Big Red Cardinalfish, Apogon unicolor (Apogonidae: Perciformes) from Korea)

  • 한송헌;김맹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3-137
    • /
    • 2022
  • 동갈돔과에 속하는 Apogon unicolor 2개체(표준체장 81.0, 96.3 mm)가 제주도 차귀도 연안 자망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측선공수가 26개, 첫 번째 등지느러미수가 6개, 새파수 11개(2+1+8)이며, 안하골과 전새개골의 가장자리에 거치상이 있고, 체측에 무늬나 반점이 없다. 이번에 채집된 표본은 형태와 분자유전학적 특징이 기존의 보고와 잘 일치하였으며 채색에 있어서 몸체와 지느러미가 전반적으로 홍색을 짙게 띠고 있어 이 종의 국명을 "진홍얼게비늘"로 제안한다.

한국산 가숭어, Chelon lauvergnii의 난 및 자치어의 형태발달 (Egg and Larval Development of Chelon lauvergnii from Korea)

  • 김진구;김용억;변순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7-145
    • /
    • 2000
  • 1997년 6월에 한국 중서부에 위치한 경기도 강화도연안에서 가숭어 어미를 채집하여 인위적인 방법으로 난을 수정시킨 후, 난 및 자치어의 형태발달을 조사하였다. 가숭어의 수정난은 구형으로 무색투명하고 1개의 유구를 가지며, 난경은 0.95~1.08 mm로 위란강의 폭은 좁았고, 40시간만에 처음으로 부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직후 자어는 전장 2.35~2.68 mm로 입은 열리지 않았으나, 항문은 열려 있고, 23개의 근절을 가지며, 항문전장은 전장의 58.7~6 1.6%이고, 유구는 난황의 후단부에 위치하였다. 이 시기의 흑색소포는 나뭇가지 모양으로 주로 몸통부의 배쪽 측면을 따라 분포하며, 꼬리부의 앞끝 부위와 유구 표면에도 일부 나타났다. 부화후 3일째 자어는 전장 3.08~3.36 mm로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어 후기자어기로 이행하며, 처음으로 입이 열리고, 부레가 생겨나며, 막상의 가슴지느러미와 장이 현저히 발달하였다. 부화후 8일째 전장 5.09 mm의 개체는 척색 말단이 굽어지기 시작하며, 꼬리지느러미 줄기 7개, 제 2 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 원기가 분화하기 시작하고, 이 시기에 흑색소포는 나뭇가지 모양으로 주로 꼬리부의 전반부에 집중되며, 두정부, 주둥이, 아래턱의 배쪽 가장자리와 협부에도 일부 나타났다. 부화후 12일째 전장 8.48 mm의 개체는 모든 지느러미가 정수 (D. IV-9; P1. 16; P2. I, 5; A. II, 9)에 달하여 치어기로 이행하며, 이 시기에는 꼬리부의 측면 중앙 부위의 흑색소포가 이전보다 발달된 형태로 나타나며, 몸통부의 등쪽 측면과 뺨에도 흑색소포가 일부 출현하였다.

  • PDF

점망둑 Chasmichthys dolichognathus HILGENDORF의 자치어기의 형태 (ON THE MORPHOLOGY OF LARVAL AND YOUNG STAGES OF CHAMICHTHYS DOLICHOGNATHUS HILGENDORF)

  • 김용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25-233
    • /
    • 1975
  • 1968년 6월,1969년 7월 및 1971년 7월에 해운대 동백섬 연안에서 채집된 953개체의 점망둑 자치어를 재료로 하여 초기생활사에 따른 형태변화 과정중 기조수의 변화, 색소포의 발달과정 및 배지느러미의 형성과정을 관찰하였다. 본 종은 제1등지내러미의 기조원기는 8.0 mm 전후에서 생겨나며 9.2mm 전후에서 완성하며 모든 지느러미의 연조는 초기치어기인 17.0mm 전후에서 완성된다고 생각된다. 색소포의 발달은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후기자어기$(6.3\~14.2mm)$ 있어서 몸의 배면과 미부 복측면 및 꼬리지느러미 기저에 분포하고 있는 경우와, 후기 자어말기$(17.0\~2.44mm)$에 미부의 체측정중선에 일단의 색소총이 생기고 이것이 점점 전방으로 확대분포하는 시간 및 초기치어기$(27.2\~34.8mm)$에 몸 전체에 걸쳐 운형 및 H자상으로 분포되어 종의 특징을 나타내는 시기로 구분된다. 배지느러미의 형성과정은 후기자어기인 전장 7.4mm일 때 기조의 원기가 나타나서 17.0mm 전후에 기조가 완성되며 전장 30.0mm 전후에서 흡반이 완성된다.

  • PDF

한강납줄개 Rhodeus pseudosericeus와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 (Pisces: Cyprinidae)의 속간 자연 잡종 출현 (Occurrence of a Natural Intergeneric Hybrid between Rhodeus pseudosericeus and Acheilognathus signifer (Pisces: Cyprinidae) from the Namhangang (river), Korea)

  • 김형수;윤승운;고재근;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53-158
    • /
    • 2014
  • 한강납줄개 Rhodeus pseudosericeus와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의 속간 잡종으로 추정되는 개체를 한강 수계의 주천강에서 채집하였다. 잡종의 기원을 확인하기 위하여 형태적 특징과 mitochondrial cytochrome b (mt-cyb) gene을 조사하였다. 형태 형질 분석에서, 조사된 표본의 등지느러미의 반문, 체색, 체측 반점과 종대 무늬 등은 두 부모종의 중간적 형질을 보였다. 또한, 잡종 개체의 측선은 불완전하였고 측선유공린수는 부모종의 중간값을 보였다. mt-cyb gene 분석 결과 잡종 개체는 한강납줄개와 염기서열이 100% 일치하여 한강납줄개가 모계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두 자료의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조사한 개체는 한강납줄개와 묵납자루의 속간 자연 잡종 개체임을 확인하였다.

한국산 모래주사속(Genus Microphysogobio)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A Revision of the Genus Microphysogobio in Korea with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Cypriniformes, Cyprinidae))

  • 김익수;양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1
    • /
    • 1999
  • 한국산 모래주사속(Genus Microphysogobio)5종 배가사리 M. longidorsalis, 됭경모치 M. jeoni, 모래주사 M. koreensis, 돌마자 M. yaluensis, 여울마자 M. rapidus를 분류학적으로 재검토하여 검색표와 그림을 제시하고 지리적 변이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 가운데 됭경모치의 학명은 지금까지 Microphysogobio sp. Uchida, 1939와 M. tungtingensis uchidai Banarescu and Nalbant, 1973로 사용되어 왔으나, 본 조사에서 M. t. uchidai는 모식표본의 확인결과 M. yaluensis의 동종이명임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됭경모치는 중국산 M. tungtingensis나 M. linghensis와 아주 비슷하지만 등지느러미 기점이 훨씬 뒤에 있고, 상순 유두돌기가 민틋하며, 흉복부에 비늘이 배열되어 있어 이들과는 잘 구별되므로 별종인 M. jeoni로 기재하였다.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하는 돌마자는 측선비늘수와 척추골수에 있어서 clinal variation을 보여주어 지리적으로 주목되었다. 됭경모치는 상순유두돌기와 흉부비늘의 배열상태가 집단간에 약간의 변이를 보였다. 돌마자와 됭경모치는 비교적 널리 분포하나 배가사리는 서한아지역에만 출현하고 모래주사와 여울마자는 남한아지역에만 제한 분포한다.

  • PDF

한국산(韓國産) Inegocia속(屬)(양태과(科)) 어류(魚類) 1 미기록종(未記錄種) Inegocia guttata (A New Record of the Flathead Fish, Inegocia guttata (Platycephalidae) from Korea)

  • 이충렬;주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4-119
    • /
    • 1995
  • 1994년(年) 7월(月) 6일(日) 제주도(濟州道) 한림(翰林)에서 채집(採集)된 양태과(科)의 점양태속(屬) 어류(魚類) 1개체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보고(報告)된 적이 없는 Inegocia guttata (Cuvier)로 동정(同定)되었다. 본 종(種)은 형태적(形態的)으로 Cymbacephalus beauforti와 흡사(恰似)하나 측선(側線) 유공린수(有孔鱗數)는 측선린(側線鱗) 위쪽에 비스듬이 배열(配列)되어 있는 후하방(後下方) 종열린수(縱列鱗數)보다 매우 적으며 두부(頭部)에는 비극(鼻棘)이 있고 눈 위에 피판(皮瓣)이 없으며 간새개부의 피판(皮瓣)은 단일형(單一形)이고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에는 도형(圖形)의 검은 반점(斑點)이 존재(存在)하는 것 등의 특징(特徵)이 Cymbacephalus beauforti와 잘 구별(區別)되었다. 본(本) 종(種)의 한국명(韓國名)으로는 "악어양태" 라고 잠정적으로 명명(命名)하였다.

  • PDF

제주도에서 출현한 농어목 어류의 3 미기록종 (New Record of Three Percoids (Pisces: Perciformes) from Cheju Island, Korea)

  • 윤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60-267
    • /
    • 1998
  • 1996년부터 1998년까지 매년 7월에 1주일 동안 제주도 주변에서 출현하는 어류를 채집, 동정한 결과, 농어목 어류의 한국산 3미기록종이 출현하였다. 실꼬리돔과의 Nemipterus bathybius Snyder, 1911(국명신칭: 긴실꼬리돔)는 뒷지느러미 연조가 7개이며, 꼬리지느러미의 최상단 연조가 사상으로 길게 뻗은 특징으로 구분된다. Family Cirrhitidae(국명신청: 황붉돔과)의 Cirrhitichthys aureus (Temminck et Schlegel, 1842)(국명신청: 황붉돔)는 체 측상단부에 5~6개의 연한 흑색 반점들이 산재되어있고, 둥지느러미 연조가 12개인 점 및 등지느러미에 반점이나 반문이 없는 특징으로 구분된다. 또한 양동미리과의 Parapercis aurantiaca Doderlein, 1884(국명신칭 : 황쌍동가리)는 결각없이 등지느러미의 극조부와 연조부가 연결된 점과 체측부에 눈 크기와 비슷한 짙은 황색반문이 5~6개 있는 특징에 의하여 구분된다.

  • PDF

양식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황달에 관하여 (Jaundice in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 김대현;박성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6호
    • /
    • pp.1573-1580
    • /
    • 2016
  • The disease occurred in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in a recirculatory culture system without any separated filtration apparatus. As the pond had a high level of nitrite with $60mg/{\ell}$, 1% NaCl was added to reduce nitrite toxicity to eel. The first outbreak was observed a week after the NaCl treatment and continued for 10 days. Accumulated mortality was about 0.2-0.5%. Affected fish ranged from 150-350 g were usually anorexic and exhibited yellow colour in the skin of the abdominal region and at the base of pectoral fins, as well as in the eyes. In a few individuals with severe symptoms, the lateral skin was also yellowish. The spleen, kidney, muscle and gall bladder were yellowish and the liver was pale-yellow colour but green on the posterior part. The gall bladder was shrunken without bile. Some abnormal erythrocytes such as "tear drop" cells (dacrocyte) were observed in peripheral blood smears stained with May-Grunwald Giemsa. Hematocrit values and hemoglobin contents in the jaundiced eel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apparently heathy eel. Severe haemosiderosis accompanied by erythrophagocytosis was found in the kidney and spleen. Haemosiderin deposits were observed in macrophages of the haematopoietic tissue of the kidney and in the splenocytes. But no significant alterations were found in the hepatic cells. In this study we report the first outbreak of jaundice in cultured eel in Korea. Pathological and hematological investigations suggested that severe hemolysis may resulted in jaundice in eel although the cause of hemolytic jaundice was not identifi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