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al abdominal muscl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7초

발통점(發通點)을 이용(利用)한 두통(頭痛) 치험례(治驗例) 보고(報告) (The clinical observation of patient with Headache Treated by Trigger point acupuncture therapy)

  • 이승연;김장현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3-143
    • /
    • 1998
  • Myofascial pain syndrome is one of the pain syndrome resulted from myofascia which covered muscles and clinically characteristic feature by sensitive trigger point in skeletal muscles and referred pain reactivated by stimulating each trigger point. The origin of headache are local lesion such as head, chest, abdominal organ, systemic lesion with fever or in toxic state. the other factors are consciousness, personality, anxiety, depression, which cause muscle strain in physiological environment. The Oriental Medical therapy for headache has herb medication and acupuncture. especially acupuncture therapy has not only classical systemic acupuncture(體鍼) but also neo-acupuncture(新鍼) such as commonly using auricular acupuncture(耳鍼) and manual acupuncture (手鍼), recently trigger point acupuncture is used. The author analyzed 27 cases of patient with headache treated by trigger point acupuncture therapy in Dong-yu Oriental Medical Hospital from March 1st 1997 to February 28th 1998.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sex ratio of the female was 59.26%(16 cases) and male was 40.74%(11 cases), the ratio of high school student was 62.96%(17cases) as first. 2. The headache duration ratio of 2-3 years was 37.04%(10 cases) as first, 1-2 years was 25.93%(7 cases) as second. 3. The portion ratio of whole headache was 33.33%(9 cases) as first, lateral headache was 29.63%(8 cases) as second 4. The combined symptoms ratio of anorexia was 40.74%(11 cases) as first, fatigue was 33.33%(9 cases) as second, neck stiffness and dizziness was each 25.93%(7 cases) as third. 5. The therapeutic duration ratio of below 1 week was 29.63%(8 cases) as first, 2-3 weeks was 22.22%(6 cases) as second, 1-2 weeks and 3-4 weeks was each 18.52%(5 cases) as third. 6. The ratio of family history was 11 cases(40.74%). mother with headache was 6 cases, father was 3 cases, and brothers & sisters was 2 cases. 7. The herb medication ratio of Chungsanggyuntongtang(淸上?痛湯) was 37.04%(10 cases), Kamiondamtang(加味溫膽湯) was 22.22%(6 cases), Hyangsapyunguisan(香砂平胃散) was 18.25%(5 cases) etc. 8. The remedial effect ratio of good was 25.93%(7 cases), fair was 48.15%(13 cases), not improved was 7.41%(2 cases), side effect was 3.70%(1 cases), and unknown was 14.81%(4 cases).

  • PDF

렘수면 의존성 수면무호흡증과 비렘수면 의존성 수면무호흡증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REM Sleep-Dependent Obstructive Sleep Apnea and NREM Sleep-Dependent Obstructive Sleep Apnea)

  • 서민철;최재원;주은정;이규영;방수영;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24권2호
    • /
    • pp.106-117
    • /
    • 2017
  • 목 적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은 수면 시 호흡을 하려고 하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도의 부분적/완전 폐색이 반복되는 수면 관련 호흡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렘수면에서 근긴장도의 저하가 나타나게 되므로 렘수면에서 수면무호흡증의 악화가 예상되지만 많은 경우에 있어 비렘수면에서의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AHI)가 렘수면에서의 AHI보다 높은 경우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그런 현상의 분명한 이유는 밝혀져 있지 않았기에 렘/비렘수면 의존성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특징을 종합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560명의 성인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렘 수면시의 AHI (REM-AHI), 비렘수면시의 AHI (NREM-AHI)의 비율에 따라 세군으로 분류하였다. 렘수면 의존성 수면무호흡증(REM sleep dependent OSA, REM-OSA)는 REM-AHI/NREMAHI > 2, 비렘수면 의존성 수면무호흡증(NREM sleep dependent OSA, NREM-OSA)는 NREM-AHI/REM-AHI > 2, 수면 단계 비의존성 수면무호흡증(Sleep stage independent OSA, IND-OSA)로 분류하였다. 수면다원검사 이외에도 주관적인 수면의 질, 낮시간 졸림, 정서와 연관된 설문지를 함께 시행하였다. 카이제곱 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공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세 군 사이에서 연령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REM-OSA는 대체로 경도의 수면무호흡증 환자가 많았고 여성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가장 저하되어 있다고 느꼈으며 기분 상태 평가 척도인 K-POMS의 점수는 가장 높았다. IND-OSA는 BMI, 목둘레(neck circumference, NC), 복부 둘레(abdominal circumfefence)가 REM-OSA에 비해 높았고 주간 졸림의 호소는 세군 중 가장 컸고, 무호흡 관련 변인의 값이 가장 높아 중증도가 심한 군이었다. 공변량을 통제하고 시행한 공분산 분석의 결과에서 NREM-OSA는 앙와위에서의 AHI가 가장 높았고 수면 중 측와위의 비율이 가장 컸다. 또한 수면 효율이 가장 떨어졌고 렘수면 잠복기가 가장 길었으며 입면 후 각성 시간의 비율이 가장 컸다. 결 론 : REM-OSA는 여성이 많고 부정적인 정서를 가장 많이 호소하는 군으로, 경도의 수면무호흡증을 가장 많이 포함하였고 IND-OSA는 중증의 수면무호흡증을 반영하였다. NREM-OSA는 자세 변화와 가장 밀접한 관련은 지니고 있었으며 수면 효율이 가장 떨어졌다. 세 군의 수면무호흡증이 일련의 중중도 차이만이 아닌 또 다른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고 이를 통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