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al Patellar Retinaculum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선택적 외측 슬개 지지대 이완술의 장점 (Advantage of Selective Release of Lateral Patellar Retinaculum)

  • 손정환;사공은성;권영호;장재호;김재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1-69
    • /
    • 2006
  • 목적: 슬개-대퇴간 부정 정렬 환자에서 외측 지지대를 이완시키는 수술에는 지금까지 관혈적 이완술(Open release), 고식적 관절경적 이완술(arthroscopic complete release)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왔으나 저자는 관절경적 선택적인 이완술(arthroscopic selective release)로 이환된 지지대만을 최소 절제하여 수술함으로써 수술 후 환자의 합병증 및 만족도 등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환자에게 가장 유용한 방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월부터 1998년 6월까지 외측 지지대 이완술을 시행하고 추시 가능하였던 94명, 129예 중 관절경적 이완술의 경우 68명, 90예, 관혈적 이완술의 경우 26명, 39예였으며 관절경적 이완술의 경우 고식적인 방식에 의한 경우가 42명, 57예였으며 이환된 외측지지대만을 선택적으로 이완시킨 경우가 26명, 33예였다. 위 예를 대상으로 수술 전 계측과 수술 후 1년, 수술 후 5년 이상의 최종 추시를 시행하여 슬개골 경사, 전위, 수렴 각, O-angle을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으로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임상적 평가는 슬관절 평가 지수 및 변형 슬개골 지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슬개골 경사와 전이는 고식적인 방법에 의한 관절경적 이완시$13.4^{\circ}$, 12.1 mm에서 $3.6^{\circ}$, 3.8 mm로, 관절경하 선택적 이완시 $12.3^{\circ}$, 11.2 mm에서 $4.8^{\circ}$, 5.2 mm로, 관혈적 이완시 $13.6^{\circ}$, 12.3mm에서 $3.3^{\circ}$, 3.4 mm로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슬관절 평가 지수는 각각 84.2%(48/57), 81.8%(27/33), 82.1%(32/39)에서, 변형 슬개골 지수는 82.5%(47/57), 81.8%(27/33), 82.1%(32/39)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고 서로 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슬개-대퇴 부정 정렬을 가진 환자의 수술방법 중 하나인 관절경적 선택적 이완술은 적은 수술범위에서 이환된 지지대를 이완시킴으로써 유착등의 합병증 없이 환자의 재활 및 만족도를 높이는 하나의 치료 방법으로서 관혈적 방법과 고식적 관절경적 수술보다 좋은 치료라고 판단된다.

  • PDF

대퇴 근막이 포함된 전외측대퇴피판을 이용한 다양한 연부조직 결손의 재건 (Soft Tissue Reconstruction Using Anterolateral Thigh Flap with Fascia Lata Component)

  • 이신철;은석찬;백롱민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5호
    • /
    • pp.655-662
    • /
    • 2011
  • Purpose: The anterolateral thigh flap is versatile flap for soft-tissue reconstruction for defects located at various sites of the body. This useful flap offers a thick and vascular fascia lata component with large amounts that can be soft tissue coverage for different reconstructive purposes. We present our clinical experience with the use of vascular fascia lata, combined with anterolateral thigh flap for various reconstructive goals. Methods: From April 2008 to February 2011, we transferred anterolateral thigh flaps with fascia lata component to reconstruct soft-tissue defects for different purposes in 11 patients. The fascia lata component of the flap was used for tendon gliding surface in hand/forearm reconstruction in 4 patients, for reconstruction medial and lateral patellar synovial membrane and retinaculum in 2 patients, for reconstruction of plantar aponeurosis in the foot in 2 patients, for reconstruction of fascial and peritoneal defect in the abdominal wall in 2 patient, and for dural defect reconstruction in the scalp in the remaining one. Results: Complete loss of the flap was not seen in all cases. Partial flap necrosis occurred in 2 patients. These complications were treated successfully with minimal surgical debridement and dressing. Infection occurred in 1 patient. In this case, intravenous antibiotics treatment was effective. Conclusion: Anterolateral thigh flap has thick vascular fascia with large amounts. This fascial component of the flap is useful for different reconstructive aims, such as for tendon, ligament, aponeurosis defects, abdominal wall or dura reconstruction. It should be considerated as an important advantage of the flap, together with other well-known advantages.

슬관절 주위 글격의 기초과학 및 스포츠 손상 (KNEE: Basic Science and Injury of Bone)

  • 김희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7-81
    • /
    • 2003
  • 목적: 슬관절 주위 골격의 기초과학을 생체역학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빈도가 높은 스포츠 손상들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해부 밀 운동학: 슬관절은 순수한 경첩 관절이 아니며 적합하지 않으므로 여섯 방향의 운동이 가능하다. 경골대퇴간 운동역학: 슬관절의 굴곡-신전 축은 시상면에 수직이 아닐 뿐 아니라, 관상면상 관절선과 평행하지 않으므로, 경골대퇴관절은 굴곡 시 내반과 내회전이 동반되고 신전 시에는 외반과 외회전이 동반된다. 슬개대퇴 관절: 슬개대퇴 관절 압박력은 슬관절의 굴곡 각도와 사두고근력에 비례한다 슬개골은 신전기전의 moment arm을 증가시켜 신전기전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지렛대 역할을 한다. 슬개골 골절: 비전위성 골절이면서 하지 직거상 운동이 보존된 경우에 비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이 되며 수술적 치료 시 고정 방법의 선택은 골절 양상에 따라 결정되겠으나 어느 술식을 선택하여도 신전지대의 봉합은 필수적이며 중요하다 슬개골 불안정성: 선행 해부학적 이상을 조사해야 하며 급성 탈구에서도 골연골 골절편이 있거나 재발의 위험이 높은 운동선수에서 인대 봉합을 고려할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 및 재활에도 불수하고 계속되는 재발성 아탈구나 탈구는 수술이 필요하다 학령기 스포츠 손상: Idiopathic Adolescent Anterior Knee Pain, Osgood-Schlatter Disease, Sinding-Larsen-Johansson Disease 등이 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