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al Flexion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25초

단일 분절 퇴행성 경추질환에서 Titanium Cage를 이용한 전방 융합술의 조기 치험 : 골편 이식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초기 결과 (Preliminary Experience with Cervical Implantable Titanium Cage(RABEA) in Patients with Monosegmental Degenerative Disease :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without Cancellous Bone Filling into Cage)

  • 이영균;한영민;김종태;정동섭;박영섭;박춘근;강준기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sup2호
    • /
    • pp.300-308
    • /
    • 2001
  • Objectives :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interbody fusion has become a well-accepted surgical treatment of degenerative cervical diseases. Implatable cages have a stabilizing effect without plates and no need for autogenous bone graft. The authors evaluates the effect of implatable titanium cage(RABEA) on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Methods : 34 patients with symptomatic cervical degenerative diseases due to one level disc pathology were underwent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interbody fusion with titanium cages(RABEA) which were not filled with cancallous bone grafts from January 1999 to May 2001. Patients with osteoporosis and older than 65 years were not included. Among them, 15 patients could be followed-up for at least 1 year. The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harts and radiographic data. Mean follow-up period was $1.3{\pm}0.2years$. Results :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Odom's criteria was exellent and good in 14(93%) patients. One patient with fair result showed complete loss of the disc space height due to settlement of the cage. Preoperatively, the mean height of the disc space(${\pm}$standard deviation) was $3.42{\pm}1.10mm$(range 2.0-5.5mm), and at 1 day postoperatively it was $7.88{\pm}0.90mm$(range 6.50-9.0). The mean height of the disc space after 1 year was $6.50{\pm}1.38mm$(range 3.0-8.0). The restoration of the heigh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The mean height after 1 year was $82.7{\pm}15.9%$ of the height at 1 day postoperatively. Preoperatively the mean value of the cervical lodortic angle was $21.8{\pm}11.8^{\circ}$ and 1 year postopertively, it was $24.5{\pm}8.3^{\circ}$, which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All patients showed no abnormal movements on flexion and extension lateral film after 6 months. Conclusion : Implantable titanium cages appear safe and effective in selected patients, and their use helps to avoid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bone graft harvest. Subsidence of the cage seems to be a potential risk factor for recurrence of the symptoms. For long-term results, a longer follow-up is required.

  • PDF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Foraminal Decompression Using Unilateral Biportal Endoscopic Spine Surgery for Lumbar Foraminal Stenosis

  • Kim, Ju-Eun;Choi, Dae-Jung;Park, Eugene J.
    • Clinics in Orthopedic Surgery
    • /
    • 제10권4호
    • /
    • pp.439-447
    • /
    • 2018
  • Background: Since open Wiltse approach allows limited visualization for foraminal stenosis leading to an incomplete decompression, we report the short-term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unilateral biportal endoscopic foraminal decompression using $0^{\circ}$ or $30^{\circ}$ endoscopy with better visualization. Methods: We examined 31 patients that underwent surgery for neurological symptoms due to lumbar foraminal stenosis which was refractory to 6 weeks of conservative treatment. All 31 patients underwent unilateral biportal endoscopic far-lateral decompression (UBEFLD). One portal was used for viewing purpose, and the other was for surgical instruments. Unilateral foraminotomy was performed under guidance of $0^{\circ}$ or $30^{\circ}$ endoscopy. Clinical outcomes were analyzed using the modified Macnab criteria, Oswestry disability index, and visual analogue scale. Plain radiographs obtained preoperatively and 1 year postoperatively were compared to analyze the intervertebral angle (IVA), dynamic IVA, percentage of slip, dynamic percentage of slip (gap between the percentage of slip on flexion and extension views), slip angle, disc height index (DHI), and foraminal height index (FHI). Results: The IVA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6.24^{\circ}{\pm}4.27^{\circ}$ to $6.96^{\circ}{\pm}3.58^{\circ}$ at 1 year postoperatively (p = 0.306). The dynamic IVA slightly decreased from $6.27^{\circ}{\pm}3.12^{\circ}$ to $6.04^{\circ}{\pm}2.41^{\circ}$,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375). The percentage of slip was $3.41%{\pm}5.24%$ preoperatively and $6.01%{\pm}1.43%$ at 1-year follow-up (p = 0.227),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preoperative dynamic percentage of slip was $2.90%{\pm}3.37%$; at 1 year postoperatively, it was $3.13%{\pm}4.11%$ (p = 0.720),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DHI changed from $34.78%{\pm}9.54%$ preoperatively to $35.05%{\pm}8.83%$ postoperatively,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837). In addition, the FHI slightly decreased from $55.15%{\pm}9.45%$ preoperatively to $54.56%{\pm}9.86%$ postoperatively, but th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705). Conclusions: UBEFLD using endoscopy showed a satisfactory clinical outcome after 1-year follow-up and did not induce postoperative segmental spinal instability. It could be a feasibl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open decompression or fusion surgery for lumbar foraminal stenosis.

발목각도 Toe 0°, Toe in 10°, Toe out 10°에 따른 스쿼트 운동이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두께와 지면반발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quat Exercise According to Ankle Angle-Toe 0°, Toe In 10°, Toe Out 10°-on Muscle Thickness and Ground Reaction Force of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Oblique Muscles)

  • 안수홍;이수경
    • PNF and Movement
    • /
    • 제18권1호
    • /
    • pp.65-75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muscle thickness and ground reaction force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 oblique muscles during squats at ankle angles of toe 0°, toe in 10°, and toe out 10°. Methods: In this study, 9 male and 17 female students in their 20s participated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ankle angles of toe 0°, toe in 10°, and toe out 10°.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and measurement of muscle thickness according to ankle angle using ultrasound equipment and muscle thickness, the participants' ankle angles-toe 0°, toe in 10°, and toe out 10°-were measured three times at the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oblique muscles during squats. At the same time, the maximum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was measured with a force plate. A total of three measurements were taken and averaged, and two minutes of squat movements were assessed between ankle angles to prevent target ac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llustrat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e muscles and vastus lateralis oblique muscles in ankle angle was high. The difference in muscle thicknes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comparing the toe out 10° angle with the toe 0° angle than between toe in 10° and toe out 10° in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oblique (p < 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nkle angle of toe 0° and toe in 10° (p > 0.05). The maximum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was significantly greater at toe out 10° than at the ankle angle of toe 0° and toe out 10° and between toe in 10° and toe out 10° (p < 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between toe 0° and toe in 10° (p > 0.05). Conclusion: Squatting at an ankle angle of toe out 10° increases the dorsi flexion; thus, the stability of the ankle and the thickness of both oblique muscles increased to perform more effective squats. In addition, as the base of support widens, it is thought that the stability of the posture increases so that squat training can be performed safely.

착지 과제에서 낙하높이와 중량이 하지역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Drop Heights and Load on Lower Extremity Kinetics in Landing Task)

  • 현승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15-121
    • /
    • 2021
  • 인간의 착지 전략은 다양한 조건에서 하지역학을 통해 설명해 왔다. 그러나 중량과 착지 높이의 두 조건이 결합되었을 때 하지역학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아직 이해할 수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성인 남녀 총 20명은 다양한 착지 높이 0.3 m, 0.4 m, 0.5 m에서 중량(무중량, 체중의 10%, 20% 그리고 30%)을 적용해 드롭랜딩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량의 주효과는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착지 높이의 증가에 따라 무릎관절 각도는 더 굴곡된 형태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착지 높이 증가에 따라 좌우, 전후, 수직지면반력, 부하율은 더 증가되는 반면, 안정화시간은 보다 짧은 시간에 생성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인간은 다양한 높이에서 중량을 변경시키더라도 착지 동작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중량 조건보다 착지 높이의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착지 높이는 시각정보를 통해 인지 및 충격 흡수에 대비할 수 있지만, 중량 수준은 신체가 인지하기 어렵고 충격흡수를 위한 착지 전략 메커니즘에 더 적용시키기 어려운 이유를 설명해준다.

동적탄력튜빙 보행훈련 프로그램이 만성 파킨슨병 환자의 자세정렬과 보행능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Effects of Dynamic Tubing Gait Training on Postural Alignment, Gait,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 Case Study)

  • 이동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363-37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만성 파킨슨병 환자의 동적탄력튜빙 보행 훈련 (I, II)이 자세정렬, 보행,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총 3명의 만성 파킨슨병 환자를 모집하여 사례 연구를 시행하였다(Hoehn 및 Yahr 1-3단계 각 1명). 동적탄력튜빙 보행 훈련 (I 및 II)은 파킨슨병 환자에게 하루 30분, 주 5일, 5주 동안 25세션 적용되었다. 본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자세정렬검사, 근 활성도검사, 보행분석 및 파킨슨병 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Dynamic tubing 보행 훈련(I, II) 중재 후 몸통 굽힘은 감소되었다. 또한 초기 접촉기(IC)에서 중간 디딤기(Mst)까지 보행 시 넙다리네갈래근, 뒤넙다리근, 앞정강근(TA)의 근 활성도가 증가하고 장딴지근의 근활성도가 감소하였다. 척추세움근(ES T12, L3)의 근활성도는 H&Y I, III 단계에서 증가하고 H&Y II 단계에서 감소하였다. 압력 중심(COP) 매개변수인 보행선의 길이, 한 발 지지선, 앞/뒤 위치, 좌우대칭 값이 개선되었다. 시공간 보행 매개변수인 보폭, 보폭, 의 속도는 증가하고 분당걸음수는 감소되었다. 나아가 파킨슨 병 환자의 삶의 질도 개선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동적탄력튜빙 보행 훈련 (I 및 II)은 약물 내성이 절반으로 감소된 5년 이상된 만성 파킨슨병 환자의 자세, 보행,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Rosenberg View 검사를 위한 보조기구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Assist Device for Rosenberg View Test)

  • 공창기;송종남;김인수;한재복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29-138
    • /
    • 2020
  • Rosenberg Method 특성상 환자는 일정한 시간 동안 자세 유지가 필요하고 무릎 골곡 각도에 따라 관절공간이 다양한 형태로 관찰이 되어 검사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보조기구를 자체 제작하여 보조기구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화질을 평가하였다. 하지 Phantom을 이용한 보조기구의 유·무에 대한 SNR과 CNR 그리고 보조기구 자체에 대한 각도의 비교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 < 0.05). 보조기구 유·무로 오른쪽과 왼쪽의 내측과 가장자리 사이 거리를 측정한 결과, 보조기구 사용 무(96.00±40.6 mm), 보조기구 유( 134.86±17.68 mm),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 < 0.05). 대퇴골과 경골에 대한 aLDFA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보조기구 유·무를 통해 오른쪽과 왼쪽의 aLDFA을 측정하였고, 오른쪽 aLDFA 보조기구 무 (74.63°±4.87), 보조기구 유(78.91°±3.12),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p < 0.05), 왼쪽 aLDFA 보조기구 무 (76.39°±4.62), 보조기구 유(79.64°±3.65),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 < 0.05). 그러나 보조기구 유·무로 오른쪽과 왼쪽의 몸쪽 정강종아리관절과 외측과의 겹친 부위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오른쪽과 왼쪽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결론적으로 자체 제작한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무릎과 무릎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 진단적으로 가치 있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대퇴골과 경골의 aLDFA의 관계를 통해 각도가 작을수록 내측과가 JSW에 겹침을 알 수 있었고, 보조기구를 사용으로 aLDFA의 Normal Range 값에 유사한 값을 도출되어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몸쪽 정강종아리관절과 외측과의 겹친 부위의 거리 평가로 내회전, 외회전에 주의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도 맞잡기 타입에 따른 허벅다리걸기의 Kinematic 분석[I] (A Kinematic Analysis of Uchi-mata(inner thigh reaping throw) by Kumi-kata types in Judo)

  • 김의환;조동희;권문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3-8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inematic variables when Uchi-mata(inner thigh reaping throw) performing by Kumi-kata(engagement position, basic hold) types A, B(A: grasping part-behind neck lapel, B: chest lapel) in Judo with three dimensional analysis technique DLT method by videography. The subjects were four male judokas who have been training in Yong-In University(YIU), on Korean Representative level and Uchi-mata is their tokui-nage(favorite technique), the throwing form was filmed on two S-VHS 16mm video camera( 30frame/sec. Panasonic). Kinematic variables were temporal, posture, and COG. The data collection was performing by Uchi-mata. Six good trials were collected for each condition (type A, B) among over 10 trials. The mean values and the standard deviation for each variable were obtained and used as basic factors for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Uchi-mata by Kumi-kata typ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re as follows : 1) Temporal variables The total time elapsed(TE) by Uchi-mata of types A, B were 1.45, 1.56 sec. respectively. Types A shorter than B. 2) Posture variables In performing of Uchi-mata, the range of flexion in type A, left elbow was $45^{\circ}$ and B was $89^{\circ}$ from Event 2(E2) to Event 6(E6). Type A and B were quite different in right elbow angle in Event1(E1). Left shoulder angle of type A was extended and type B was flexed in E4. Both types right shoulder angles were showed similar pattern. Also both hip angles(right/left) were showed similar pattern. When type A performed Uchi-mata the knee-angle of supporting foot showed $142^{\circ}$in the 1st stage of kake phase[KP], and extended to $147^{\circ}$in the 2nd stage of KP. And the foot-ankle angle of supporting foot showed $83^{\circ}$in the 1st stage of KP, and extended to $86^{\circ}$in the 2nd stage of KP. moreover, The knee angle of attacking foot showed $126^{\circ}$in the 1st stage of KP, and extended to $132^{\circ}$in the 2nd stage of KP, and the foot-ankle angle of attacking foot showed $106^{\circ}$in the 1st stage of KP, and extended to $121^{\circ}$in the 2nd stage of KP. When type B performed Uchi-mata the knee-angle of supporting foot showed $144^{\circ}$in the 1st stage of KP, and extended to $154^{\circ}$in the 2nd stage of KP. And the foot-ankle angle of supporting foot showed $83^{\circ}$in the 1st stage of KP, and extended to $92^{\circ}$in the 2nd stage of KP. moreover, The knee angle of attacking foot showed $132^{\circ}$in the 1st stage of KP, and extended to $140^{\circ}$in the 2nd stage of KP, and the foot-ankle angle of attacking foot showed $103^{\circ}$in the 1st stage of KP, and extended to $115^{\circ}$in the 2nd stage of KP. During Uchi-mata performing, type A showed pulling pattern and type B showed lift-pulling pattern. As Kumi-kata types, it were different to upper body(elbow, shoulder angle), but mostly similar to lower body(hip, knee, ankle angle) on both types. 3) C. O. G. variables When the subjects performed Uchi-mata, COG of type A, B up and down in vertical aspect was 71cm, 73.8cm in height from the foot in the 2nd stage of KP. As Kumi-kata types, it were different on medial-lateral direction aspect but weren't different in Kuzushi phase on vertical direction aspect.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에서 새로운 봉합 방법의 이용 (The Use of Arthroscopic UU Stich for Rotator Cuff Tear and Clinical Results)

  • 고상훈;신승명;최영진;차재룡;박한창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67-72
    • /
    • 2011
  • 목적: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은 여러 가지 봉합술이 알려져 있으나 저자들은 새로운 봉합법인 UU 봉합법의 임상적 결과와 해부학적 결과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본원에서 회전근개 파열에 대해 UU 봉합술을 시행한 156명 (남자: 88명, 여자: 6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55세 (38~75세)였으며 추시 관찰 기간은 평균 12개월 (6~23개월)이었다. 결과의 판정은 최초 내원 시점과 6개월, 1년과 최종 추시에 시행한 ASES 점수 중 통증에 대한 VAS, 기능에 대한 일상 (ADL), UCLA 점수 및 KSS 점수로 평가하였다. 추시 기간 중 술 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MRI 촬영에 동의하는 환자에 한하여 MRI를 시행하여 재파열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결과: 통증 지표인 VAS는 술 전 평균 7.0에서 술 후 평균 2.7로 감소하였다 (p<0.05). UCLA 및 KSS score는 각각 22.2에서 32.5로, 83.7에서 91.5로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5). 능동적 관절 운동 범위는 전방 굴곡이 평균 125도에서 175도, 측방 외 회전이 평균 38도에서 58도, 외전이 평균 104도에서 169도로 향상되었다. 전체 환자 156예 중 술 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MRI 촬영에 동의하여 시행한 117예 (75%) 중 재파열은 총 4예 (3%)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술로 UU 봉합법은 우수한 임상결과와 낮은 재파열을 보이는 방법이다.

요추부 후측방 유합술 시 국소 자가골 및 골 이식 대체재 혼합 이식에 의한 골유합률의 비교 (Comparison of the Bone Union Rates Using a Local Autobone and Bone Graft Substitute Mixed Graft in Lumbar Posterolateral Fusion)

  • 고영철;홍성확;박만준;허정욱;박준형;이우명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69-177
    • /
    • 2020
  • 목적: 요추부 후측방 유합술 시 자가골과 혼합 이식하는 골대체재의 종류에 따른 골유합률을 비교하여 효과적인 혼합 이식 재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후측방 유합술 시행 후 최소 2년 추시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시행하였으며 유합술 시 국소 자가골에 혼합하여 사용한 이식 재료에 따라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I군은 대퇴 골두 동종골을 사용한 48예, II군은 β-tricalcium phosphate를 사용한 38예, III군은 이상인산칼슘을 사용한 92예, IV군은 이상인산칼슘 및 자가 골수를 사용한 3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2년째 단순 방사선 검사를 추시하여 유합 여부와 임상결과로 판단하였으며, 단순 방사선 소견상 양측 상하 횡돌기간에 뚜렷하게 형성된 골괴와 함께 굴신 방사선 소견상 각 운동 범위가 2도 미만이면서 전위 소견이 보이지 않을 때 유합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술 후 2년째 단순 방사선을 추시한 결과 이상인산칼슘 및 자가골수를 국소 자가골과 혼합 이식한 IV군에서 가장 높은 유합률을 나타냈다. 결론: 생체흡수성이 높아지고 기계적 강도가 보완된 골전도성 대체재인 이상인산칼슘과 골유도 및 골형성이 가능한 자가 골수의 물질적 특성이 골유합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요추부 후측방 유합술 시 이상인산칼슘, 자가 골수 및 국소 자가골의 혼합 이식이 자가골 이식을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고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장요건 충돌의 관절경하 장요건 절단술 (Arthroscopic Iliopsoas Tenotomy of Iliopsoas Impingement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 허순호;최병열;한상록;정우철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25-133
    • /
    • 2021
  • 목적: 고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장요건 충돌 환자에서 관절경적 장요건 절단술이 유용한 방법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임상 결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9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고관절 전치환술 후 지속되는 서혜부 통증 및 굴곡 시 통증을 호소하는 18명(19예 고관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 60세(범위, 50-69세)의 환자들에서 고관절 전치환술 후 증상발현까지는 평균 4개월(범위, 1-9개월)이 소요되었으며, 18명 환자 중 13명에는 직접전방접근법, 5명에는 측방접근법을 통한 고관절 전치환술이 시행되었다. 병력청취, 신체 검사, 혈액검사, 단순 방사선촬영과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한 영상 검사, 그리고 국소주사치료를 통하여 장요건 충돌을 진단하였다. 이들 모든 환자는 관절경적 처치를 시행받았고, 역동적 신체 검사를 통하여 술장 내에서 충돌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으며, 근육부위까지 도달하도록 관찰된 건 부위 모두에 대하여 건절단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후, 추시기간의 증상 및 통증 정도에 대하여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Index 점수는 술 전 평균 58.4점(범위, 40-88점)에서 술 후 평균 35.0점(범위, 15-76점)으로 감소하였다. 시각통증등급도 마찬가지로 술 전 평균 4.0 (범위, 2-6)에서 술 후 평균 1.4 (범위, 0-4)로 감소하였다. 16명(88.9%)에서 통증 경감 및 하지거상 시 통증의 호전을 보였으며, 2명에서는 통증 잔존과 술 후 근력 약화를 보였다. 이후 추시기간에서 근력 약화는 호전되었다. 1명의 경우 소전자부에서 장요건 건절단술을 시행하였으나 증상이 지속되었으며, 관절부에서 한 차례 더 건절단술 시행 후 임상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결론: 고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장요건 충돌에서 고관절 관절경을 이용한 장요건 건절단술은 양호한 임상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