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nt fingerprint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19초

다양한 개시제(initiator)분말 전처리(pre-treatment)를 통한 노화된 지문의 Cyanoacrylate Fuming법 현출 증강 비교 (Comparison of aging fingerprint enhancement by pre-treatment of various initiator powders in the cyanoacrylate fuming method)

  • 김수경;이윤정;서경숙
    • 분석과학
    • /
    • 제35권3호
    • /
    • pp.129-135
    • /
    • 2022
  • 본 연구는 alumina, leucine, alumina와 leucine을 9:1로 혼합한 분말(이하 Al-Leu (9:1)), alumina와 leucine을 5:1로 혼합한 분말(이하 Al-Leu (5:1)), alumina와 sodium lactate를 5:1로 혼합한 분말(이하 Al-Lac (5:1))을 자연상태 시료지문을 남긴 후 1, 7, 14, 30일로 노화시킨 잠재지문에 전처리한 후 cyanoacrylate fuming(이하 CA 훈증법)으로 현출 증강을 시도하였다. 전체적으로 미처리한 후 CA 훈증한 잠재지문보다 alumina, leucine, Al-Leu (9:1), Al-Leu (5:1), Al-Lac (5:1) 분말로 전처리한 잠재지문의 면적값과 특징점 개수가 향상되었다. 따라서 5종류의 개시제가 CA 훈증 시 현출 증강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Mixture of dimethylaminobenzaldehyde and cyanoacrylate to develop fingerprints with fluorescence: a preliminary test

  • Lee, Wonyoung;An, Jaeyoung;Yu, Jeseol
    • 분석과학
    • /
    • 제35권1호
    • /
    • pp.1-7
    • /
    • 2022
  • This study suggests a new one-step fluorescent cyanoacylate-fuming method for developing fingerprints by using a CAB mixed with dimethylaminobenzalde (DMAB) and cyanoacylate (CA) in a specific ratio. CAB is prepared by mixing 2.5 % (w/w) DMAB with CA and fumigated at 180 ℃. Under these conditions, developing fingerprints showed the best results. The fuming method using CAB develops latent fingerprints into fluorescence and has a higher sensitivity than CA, and it showed comparable or better contrast to existing fluorescence enhancement methods. It was also applicable on a variety of non-porous surfaces that can be encountered at ordinary times. This method is more useful than conventional fluorescent dyeing methods in that it minimizes damage to fingerprints or samples, makes it easy to manufacture, saves time, and can use existing current equipment as it is.

VMD와 1,2-indanedione(SOON-100)의 감열지 잠재지문 현출 효과 비교 (Comparison of VMD and 1,2-indanedione(SOON-100) for the Development of Latent Fingerprints on Thermal Paper)

  • 조현진;이선민;유제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333-341
    • /
    • 2020
  • 감열지는 편의점 영수증, 로또, ATM 영수증 등 일상생활에 널리 이용되어 범죄와 관련된 현장에서 쉽게 발견될 수 있기 때문에 감열지에서 지문을 현출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문헌에서 감열지에서의 지문 현출이 효과적이라고 주장하는 vacuum metal deposition(VMD) 기법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감열지의 잠재지문 현출용 시약인 1,2-indanedione(SOON-100)과 VMD 기법 간의 지문 현출력을 비교하였다. 지문을 유류한 검체를 직사광선이 없는 평균온도 20 ℃의 환경에서 1, 3, 6, 12, 24 시간동안 보관하였다. SOON-100과 VMD 기법을 적용한 결과, SOON-100의 경우 신선한 지문의 융선은 흐리게 나타났지만 유류한 지 1시간이 지난 후부터는 개인 식별이 가능할 정도의 선명한 지문이 관찰되었다. VMD의 경우 유류한지 6시간이 경과한 이후부터는 지문이 점차 번져 융선의 품질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VMD의 지문 현출 원리에 부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VMD의 현출 원리와 감열지 표면의 특성을 고려해보면 VMD가 감열지 잠재지문 현출 기법으로는 적절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 pilot application study of densitometric image analysis as a potential comparative evaluation method for visualized fingerprints

  • Kim, Eun-Ji;Kim, Soo-Kyung;Seo, Kyung-Suk;Choi, Sung-Woon
    • 분석과학
    • /
    • 제33권4호
    • /
    • pp.197-207
    • /
    • 2020
  • The current comparison methods with scoring systems that are used to compare visualized latent fingerprints (LF) have disadvantages. Evaluators using these methods are prone to make errors and fail to discriminate LFs correctly to notice the differences among those LFs. Therefore, a compar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that is capable of obtaining more objective and quantitative results is needed. Densitometric image analysis (DIA) is used in other fields as a reliable semi-quantitative comparison method. To apply DIA to LFs, the potential variables that can occur during the DIA process were tested. The visualized ridges of LFs can be compared using the concentration of dots against the background to make it possible to analyze the ridges with DIA. The variables that can be present during the DIA process include the thickness of the analysis line, the number of ridges to be taken, the number of divided zones within each of the fingerprints, and the angles of the analysis line against the ridge lines that were selected. From the analysis of the inked fingerprints and circular lines that are similar to fingerprints, the angle of the analysis lines with the ridge line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he preliminary test result was applied to the comparison of LFs that were developed with the powder method and then compared with the AFIS analysis. A similar trend was found, and a more detailed and semi-quantitative comparison of the visualized LFs was possibl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evaluative ability of the DIA method by analyzing the visualized LFs with other various development methods. However, DIA is currently an option that can be used as an objective comparative evaluation method during fingerprint studies with supplementary role.

Polyvinylpyrrolidone과 1,2-indanedione 혼합물을 이용한 감열지에 부착된 혈흔지문의 증강 (Enhancement of fingerprint in blood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rmal paper by using the mixture of polyvinylpyrrolidone and 1,2-indanedione)

  • 김동만;류혜연;정승훈;주인선;홍성욱
    • 분석과학
    • /
    • 제34권3호
    • /
    • pp.122-127
    • /
    • 2021
  • Polyvinylpyrrolidone과 1,2-indanedione 혼합물(PVP-IND)은 감열지에 부착된 잠재지문을 현출하는데 가장 좋은 시약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PVP-IND가 감열지에 부착된 혈흔지문을 증강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PVP-IND의 혈흔지문 증강 능력을 연구하였다. 비교 대상으로는 감열지에 부착된 혈흔지문을 증강할 때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고 알려진 amido black 수용액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물에 희석된 혈액이 묻은 손가락으로 만든 혈흔지문을 증강할 경우에는 PVP-IND가 amido black 수용액보다 증강 능력이 우수했다. 반면 희석되지 않은 혈흔지문을 PVP-IND로 처리하면 융선이 번져 나타나서 amido black 수용액의 증강 능력이 우수했다. PVP-IND로 처리했을 때 융선이 번져서 나타나는 것은 PVP와 혈액에 포함된 amino acid가 반응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특수 종이 표면에서 ninhydrin 계열 시약의 적용 및 효과성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and Comparison of Effectiveness of Ninhydrin Reagents on Special Paper Surfaces)

  • 김청;조형우;고현서;유제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247-253
    • /
    • 2016
  • 해외의 연구들에 의하여 몇 가지 종이류에서는 ninhydrin 및 유사체 시약들의 잠재지문 현출 효과가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특수지에 대해 우리나라 실험 조건에서의 ninhydrin 계열 시약들의 효과는 어떤지 알아보았다. 이전 연구들을 토대로 6종의 종이류를 선택하였으며, 이들 종이류에 남겨진 잠재지문을 ninhydrin 계열 시약들의 4가지 기법을 적용하여 현출한 뒤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6종의 종이류 중에서 신문지가 실험에서 사용된 잠재지문 현출 기법들의 효과가 가장 떨어지는 표면이었으며 시약 중에서는 '1,2-IND/Zn'가 전체 표면에서 가장 높은 대조비의 지문을 현출해 내어 가장 뛰어난 시약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현장에서 발견된 특수지의 경우에 잠재 지문 현출 시약으로'1,2-IND/Zn'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A preliminary study of semi-quantitative, comparative evaluation of split or half fingerprints using Densitometric Image Analysis (DIA) - Inter-analyst differences for split or half fingerprints -

  • Song, Minkyu;Kim, Seung-chan;Choi, Sung-Woon
    • 분석과학
    • /
    • 제34권2호
    • /
    • pp.56-67
    • /
    • 2021
  • Due to the difficulty of grading visualized fingerprints with previously known evaluation methods for the comparison of split fingerprints, a preliminary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densitometric image analysis (DIA) method as a potential quantitative and supplementary evaluation method. Each image of inked split fingerprints was divided into 4 zones for analysis. Weekly intra- and inter- analysis by two analysts with three whole fingerprints that were constructed by combining inked split fingerprints showed that the average area values and the ranges of difference fluctu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trong fingerprints and strong-weak pairs, while they were different in weak fingerprints and weak-weak pairs. In the case of weak fingerprints, the exact acquisition of ridges was difficult and this seemed to influence the results. An additional study is needed for the improved reliability using DIA method with weak fingerprints such as 8 zones division rather than 4 zones.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performed by several analysts at different times should be us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method further. Based on the above result, it can be judged that utilizing the DIA method as a secondary evaluation method of the existing scoring system would be effective with the additional studies especially on weak fingerprints.

Vacuum Metal Deposition으로 현출된 Empty Print를 Cyanoacrylate Fuming로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w to Improve Empty Print to Cyanoacrylate Fuming Developed by Vacuum Metal Deposition)

  • 이원영;김유진;이문희;유제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331-336
    • /
    • 2021
  • VMD 금/아연 기법은 금의 탁월한 전·연성을 이용함으로써 비다공성 표면에서 잠재지문을 현출할 수 있는 매우 민감한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기법은 empty print 현상으로 인해 지문을 관찰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며, 그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추측만 있을 뿐 명확하게 알려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empty print의 발생 요인으로 추측되는 지문의 신선도와 기법의 민감도에 대해 실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empty print에서 지문을 재현출하기 위해 CA 훈증법 후처리를 제안한다.

법과학 단파자외선이 DNA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rensic short wavelength UV on DNA)

  • 김아람;김우중;박희연;임시근
    • 분석과학
    • /
    • 제27권3호
    • /
    • pp.147-152
    • /
    • 2014
  • 범죄 현장에서 눈으로 보이지 않는 지문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254 nm의 단파자외선과 루비스(RUVIS;Reflective Ultraviolet Imaging System, 반사자외선이미징시스템)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최근 유전자 감식 기술의 발전으로 지문과 같은 극미량의 생체시료에서도 성공적으로 DNA 프로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지만, 지문 탐색에 사용되는 단파자외선에 의해 DNA가 파괴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4 종류의 자외선 광원을 대상으로 자외선 조사 시간과 조사 거리에 따른 DNA 손상 정도를 비교하였다. 단파 자외선을 사용하는 경찰 루비스, SIRCHIE 미니라이트 및 SIRCHIE 루비스의 경우에는 10 cm 거리에서 10초간 조사할 경우 약 50% 정도의 DNA가 손상되었고, 시료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처리 시간이 길수록 DNA 손상 정도가 증가하였다. 이 장비들을 사건 현장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유전자 감식 시료의 DNA에 많은 손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1 m 이상의 거리에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350 nm의 장파자외선을 사용하는 폴리라이트 장비는 단파 자외선 장비에 비해 DNA 손상 정도가 크지 않았다. 지문 탐색과 유전자감식을 모두 고려한다면, 자외선 광원의 종류에 따라 조사 거리와 조사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DL-alanine과 1,2-indanedione을 이용한 종이에 남은 족적의 증강 (Development of latent footwear impression on porous surfaces using DL-alanine solution and 1,2-indanedione solution)

  • 홍성욱;김은아;박미선;이은혜
    • 분석과학
    • /
    • 제30권6호
    • /
    • pp.303-311
    • /
    • 2017
  • 잠재지문 증강시약인 1,2-indandione (1,2-IND) 용액을 사용하여 종이에 유류된 족적의 형광을 얻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인쇄물이 출력된 A4 용지에 유류된 dry origin 및 wet origin 족적에 아미노산의 일종인 DL-alanine 용액과 아미노산 검출시약인 1,2-IND 용액을 뿌려서 DL-alanine-1,2-IND 이성분착물을 만들었다. 이 이성분착물은 족적에 있는 미량의 금속성분과 반응하여 광발광을 내는 삼성분착물을 형성함으로써 족적의 형광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1,2-IND 용액 대신 5-methylthioninhydrin (5-MTN) 용액을 이용하면 처리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해도 족적의 형광이 일정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DL-alanine 용액과 1,2-IND 용액으로 처리한 족적을 다양한 온도조건 (30, 40, $50^{\circ}C$)과 다양한 습도조건 (30, 40, 50, 60 % RH)에서 보관한 결과 온도와 습도가 높을수록 족적과 바탕면의 대조비가 감소하였다. DL-alanine 용액과 1,2-IND 용액으로 처리한 족적을 $30^{\circ}C$, 30 % RH에서 1 h 동안 보관하면 족적의 최적 형광을 얻을 수 있었다. 저자들이 개발한 방법의 감도를 black gelatin lifting, 2,2'-dipyridil 용액 처리 방법, 8-hydroxyquinoline 용액 처리방법의 감도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저자가 개발한 방법의 감도는 gelatin lifting 방법보다는 떨어졌으나 2,2'-dipyridil 용액 혹은 8-hydroxyquinoline 용액 처리방법보다는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