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ate occurrence

검색결과 444건 처리시간 0.025초

감나무의 주머니깍지벌레에 대한 발생생태 및 화학적 방제효과 (Seasonal Occurrence and Chemial Control Effects of Eriococcus largerstroemiae Kuwana on Persimmon Trees)

  • 권태영;박소득;박선도;최부술;권용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95-299
    • /
    • 1995
  • 경북 청도지방 감나무에 기생하는 주요 해충인 주머니깍지벌레에 대한 발생생태 및 방제체계에 대해 1992-1994년에 걸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주머니각지벌레의 주 월동처는 감나무의 조피속이며 월동후 살아있는 암컷 성충내의 알에 대한 생충율은 28.7%이다. 알에서 부화한 약충은 4월하순경부터 활동하기 시작하여 전 생육기에 걸쳐 부화최성기는 6월하순~7월상순, 8월중.하순, 9월중.하순으로 1년에 3세대를 거치며 7월상순, 8월중순, 9월하순으로 3회의 peak를 이루었다. 암컷성충내의 포란수는 평균 229.3개였으며 주머니깍지벌레의 방제체계 시험에서 결정석회유황합제 + 살충제 2회 97.8%, 기계유유제 + 살충제 2회 96.8% 그리고 생육기간중 살충제 3회 처리는 77.2%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 PDF

감자역병 예측모델을 위한 맞춤통보용 방제모듈 개발에 대한 고찰 (Development of customized control modules for the model forecasting the occurrence of potato late blight)

  • 심명선;임진희;김점순;유성준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1호
    • /
    • pp.23-27
    • /
    • 2014
  • Potato late blight occurrence is caus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progress can be regularly predicted so that several predictive models have been developed. The models predict the timing of the disease occurrence, but they do not include the methods of the disease control. Effective fungicide control, economic threshold, prediction models were investigated in the study to reflect on customized control modules for the model forecasting the occurrence of potato late blight.

Rearch of Late Adolcent Activity based on Using Big Data Analysis

  • Hye-Sun,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361-368
    • /
    • 2022
  • This study seeks to determine the research trend of late adolescents by utilizing big data. Also, seek for research trends related to activity participation, treatment, and mediation to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For this process, gathered 1.000 academic papers and used TF-IDF analysis method, and the topic modeling based on co-occurrence word network analysis method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 analyze. In conclusion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of activity participation, treatment, and mediation of late adolescents by TF-IDF analysis method, co-occurrence word network analysis method, and topic modeling analysis based on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The results were proposed through visualization, and carries significance as this study analyzed activity, treatment, mediation factors of late adolescents, and provides new analysis methods to figure out the basic materials of activity participation trends, treatment, and mediation of late adolescents.

Seasonal Occurrence and Control of Rice Skipper, Parnara guttata Brener et Grey (Lepidoptera: Hesperiidae) in Paddy Field

  • Choi, Man-Young;Lee, Geon-Hwi;Paik, Chae-Hoon;Seo, Hong-Yul;Kim, Jae-Duk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37-339
    • /
    • 2005
  • 익산지역에서 벼 줄점팔랑나비(Parnara guttata)는 1년에 3세대를 경과하며, 5월중 하순부터 월동처에서 우화하여 논으로 이동한 다음 벼 잎에 산란하기 시작하였다. 유충에 의한 벼의 피해는 7월 하순부터 증가하여 8월 중 하순 사이에 가장 많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3세대 성충이 우화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9월 중순이었다. 벼의 이망시기와 줄점팔랑나비에 의한 피해는 만식한 논에서 켰다. 살충제를 유충발생 최성기 약 1주일 전인 7월 하순에 처리하였을 때 91.2%의 방제효과를 나타낸 반면 8월 초순에 처리할 경우에는 방제효과가 57.2%로 낮았다.

다색알락명나방의 발생소장에 관한 연구 (Seasonal Occurrence of the Tobacco Moth, Ephestia elutella Hubner (Lepidoptera : Pyralididae).)

  • 오명희;김상석;부경생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17
    • /
    • 1983
  • The tobacco moth, Ephestia elutella Hubner (Lepidoptera: Pyralididae), was first reported one of the serious of stored tobacco in Korea in 1939 (8). In recent years, tobacco moth lavae were observed infesting in all of the tobacco storage warehouses in this Country. Adults of the tobacco moth for the seasonal occurrence were studied in the three and four regions in 1981 and 1982, respectively. This species was caught from early May to late October in all regions for both years. In 1981, the first emergence peak was in late May to late at Andong, early June at Suweon and the second one in middle August in both regions. In 1982,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three peak times, late May and July, and middle September. But the relate size of the peaks was different in two years; the second peak showed about 66% of the total number of tobacco moths captured in the whole year in 1981 at Suweon and 59% of those at Andong, while the first peak had 32% at Suweon and 57% at Shintanjin in 1982. This difference in relative peak sizes was discussed.

  • PDF

영남지방 지역 및 지대별 담배거세미나방과 파밤나방 성충의 발생소장 (Seasonal Occurrence of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Fabricius and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übner Using Sex Pheromone Traps at Different Locations and Regions in Yeongnam District)

  • 배순도;김현주;이건휘;박성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7-35
    • /
    • 2007
  • 영남지방의 지역 및 기후지대별 담배거세미나방과 파밤나방의 발생소장을 각각의 성페로몬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경람지역에서 담배거세미나방은 3월 중하순부터 11월 중하순까지 발생하였다. 경북지역에서 담배거세미나방은 4월 중하순부터 11월 상중순까지 발생하였으나, 울진에선 5월 하순부터 10월 하순까지 발생하였다. 기후지대별 담배거세미나방의 발생최성기는 남부해안지대에서 9월 중순, 내륙지대 및 분지지대에서 8월 하순, 내륙산간지대에서 8월 중순, 그리고 동해안중부지대에서 9월 상순이었다. 담배거세미나방의 지역별 발생비율은 경남의 경우 진주에서 20.0%로 가장 높았으며, 창녕에서 8.6%로 가장 낮았고, 경북의 경우 성주에서 3.3%로 가장 높았으며, 울진에서 0.8%로 가장 낮았다. 기후지대별 발생비율은 내륙지대에서 43.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남부해안지대에서 36.3%, 분지지대에서 8.4%, 내륙산간지대에서 7.0%이었고, 동해안중부지대에서 4.6%로 가장 낮았다. 한편, 파밤나방은 경북의 동해안중부지대를 제외하곤 3월 상순부터 11월 중순까지 발생하였다. 포항, 영덕 및 울진의 동해안중부지대에서 파밤나방은 대체로 4월 중순부터 11월 중순까지 발생하였다. 기후지 대별 파밤나방의 발생최성기는 내륙지대, 분지지대 및 내륙산간지대에서 8월 상순, 남부해안지대 및 동해안중부지대에서 8월 하순이었다. 파밤나방의 지역별 발생비율은 경남의 경우 창녕에서 1.6%로 가장 높았으며, 부산에서 0.4%로 가장 낮았고, 경북의 경우 성주에서 37.2%로 가장 높았으며, 울진에서 2.7%로 가장 낮았다. 기후지대별 발생비율은 분지지대에서 약 54.3%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내륙산간지대에서 29.9%, 동해안중부지대에서 9.3%, 내륙지대에서 3.9%이었고, 남부해안지대에서 2.6%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담배거세미나방은 경남지방에서, 파밤나방은 경북지방에서 다발생 되었고, 기후지대별 담배거세미나방의 발생량은 경남의 내륙지대, 파밤나방의 발생량은 경북의 분지지대에서 가장 많았다. 영남지방에서 담배거세미나방의 발생량은 파밤나방보다 2.4배 많았으나, 최초 발생시기와 발생최성기는 담배거세 미나방보다 파밤나방이 약간 빨랐다.

전남지역 유과자원에서의 검은점무늬병 발생 양상 (Aspect of Occurrence of Melanose (Diaporthe citri Wolf) on Yuzu Trees (Citrus junos Sieb) in Jeonnam Area, in Korea)

  • 허길현;박서기
    • 식물병연구
    • /
    • 제11권1호
    • /
    • pp.10-15
    • /
    • 2005
  • 전남 고흥과 보성지역 재배과원에서의 유자 검은점무늬병 발생 실태를 1997년과 198년에 조사하였다. 잎의 경의 1997년에는 5월 하순, 1998년에는 5월 상순부터 발생되기 시작하여 6월 하순에 가장 높은 발병도를 나타냈고, 과실의 경우 1997년에는 7월 상순, 1998년에는 6월 하순부터 발생되기 시작하여 8월 상순에 가장 높은 발병도를 나타냈다. 잎의 경우 1998년에 20여일 더 일찍 발생한 것은 4, 5월의 더 높은 평균 기온과 관련이 있었고, 6월 하순에 피해가 더 컸던 것은 6월의 강우량 및 상대습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 병은 수령이 20년된 과원에서 가장 심하게 발생하였고, 수령이 낮은 과원일수록 적게 발생하였다.

최근 강원도 고랭지 무,배추 바이러스(TuMV)병 발생('92-94) (Recent Occurrence of TuMV disease on Radish and Chinese Cabbage in Alpine Region, Kang-won Province)

  • 함영일
    • 식물병과 농업
    • /
    • 제1권1호
    • /
    • pp.45-46
    • /
    • 1995
  • In recent years, there were considerably severe occurrences of TuMV(turnip mosaic virus) disease on radish and Chinese cabbage cultivated at alpine or sub-alpine regions, especially more severe on young Chinese cabbage sowed after late June. Started from 1991, those were very severe in 1992 and 1994, for the number of migrated aphids was increased enormously according to the weather condition of high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then. This disease started at late June to early July, and continued to late August. It seemed that TuMV was transmitted easily and completely to the young chinese cabbages, but hardly and rarely the old. The regions over 1,000m of altitude had less possibility of disease-occurring, but there was severe occurrence on the second cropping of Chinese cabbage in a year. It is considered that more researches on control method of TuMV disease will be needed very urgently.

  • PDF

매실나무에 기생하는 뽕나무깍지벌레 (Pseudaulacaspis pentagona)의 기주범위, 생활사 및 천적에 관한 조사 (Host range, Life cycle and Natural enemies of Mulberry scale (Pseudaulacaspis pentagona) on Prunus mume in south Korea)

  • 박종대;김규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4-112
    • /
    • 1990
  • 남부지방에서 뽕나무깍지벌레의 기주식물, 생활사 및 천적에 관하여 조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뽕나무깍지별레의 기주식물은 總 22科 74種이 조사되었으며 특히 Prunus層의 核果類에 피해가 많았다. 또한 本蟲은 연 3세대를 경과하며 유충 발생시기는 1세대가 5월 중순~6월 하순, 2세대 7월 중순~8월 중순, 3세대 9월 초순~10월 하순이었으며 최성기는 각각 6월 상순, 7월 하순, 9월 중순이었다. 난, 유충 및 雌成蟲의 개체군 밀도에 있어서는 최초 발생일로부터 각각 10일, 25일, 7일경에 가장 높았으며 뽕나무깍지벌레 천적은 Aphytis diaspidis, Archenomus orientalis, Apterencyrtus morophagus 등 기생봉 3種과 홍점박이무당벌레, 애홍점박이무당벌레, 무당벌레1種 등 3種의 포식충이 조사되었다. 뽕나무깍지벌레와 고약병균 감염은 신초신장과 및점한 관계가 있고 가해받지 않은 가지에 비해서 신초신장이 1/2, 1/4정도 밖에 이루어 지지 않았다.

  • PDF

전북지역에 발생하는 진달래방패벌레(노린재목:방패벌레과)의 발생소장 (Seasonal Occurrence of Azalea Lace Bug Stephanitis Pyrioides (Hemiptera: Tingidae) on Chonbuk)

  • 황창연;최선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9-52
    • /
    • 1998
  • 진달래방패벌레(노린재목: 방패벌레과)의 발생소장을 1994년 전라북도 완주군지역에 식재된 철쭉포장에서 조사하였다. 진달래방패벌레는 전북지역에서 년 최고발생세대수는 4세대였고, 각 세대의 성충발생최성기는 5월 하순, 7월 중순, 8월 하순, 그리고 10월 중순으로 나타났다. 진달래방패벌레는 앞뒷면의 주맥 근처조직에서 알로 월동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