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 Quaternary sediments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6초

강원도 동해안(송지호) 해안퇴적층의 제4기 후기 층서와 중광물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and the Heavy Minerals from Deep Cored Sediments along the Coastal Deposits, Songji Lagoon, Eastern Coast, Korea)

  • 박용안;박영후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1-117
    • /
    • 2001
  • 강원도 동해안 송지호(석호: lagoon)의 해안 퇴적층(석호입구 사립 퇴적층)에서 실시된 심부 시추 퇴적층에 대한 퇴적학적인 제4기 후기 층서설정과 환경연구 결과가 현세 해수면 상승곡선이 서로 대비되어 해석되었다. 중광물 함량의 변화가 퇴적층서 단위별로 차이를 나타내는 사실은 육성 퇴적 환경에서 해안 해빈 환경으로의 진화과정을 뒷바침한다.

  • PDF

남해안 사천시 대포동 일대에 분포하는 고해안 퇴적물의 형성 과정과 형성 시기: 한반도 제4기 후기 지각운동의 양식과 변형률 산출을 위한 연구(II) (The Formative Processes and Ages of Paleo-coastal Sediments in Daepo-dong Sacheon-si in the Southern Coast, South Korea: Evaluation of the Mode and Rate of the Late Quaternary Tectonism (II))

  • 신재열;홍성찬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7-70
    • /
    • 2018
  • This study restores onshore paleo-shoreline records and establishes the nature and strain rate of neotectonism by investigating the existence and formative age of paleo-coastal sediments emerged around Sacheon-si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paleo-sand bars representing 5m of the paleo-shoreline from high tide level are formed in Sacheon-si, and the formation age of these is confirmed as MIS 5c at approximately 100,000 year BP through rock surface luminescence dating to rounded gravels in paleo-sand bar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the uplift rate of crust precisely due to incomplete restoration of sea level records during the last interglacial stage, the uplift rate along the Southern coast of the peninsula was assumed approximately 0.72 lower than the Eastern coast during the late Quaternary in comparison to the 1st marine terrace along the Eastern coast.

Late Quaternay Paleoceanography as Recorded by Planktonic Foraminifera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 Kim, Gil-Young;Kim, Dae-Choul;Shin, Im-Chul;Yi, Hi-Il;Kim, Jeong-Ch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3권1-2호
    • /
    • pp.8-17
    • /
    • 1998
  • Paleoceanographic history of the East Sea is reconstructed based on several environmental parameters (coarse fraction content, planktonic foraminifera/benthic foraminifera ratio, fragmentation and assemblages of planktonic foraminifera, and coiling ratio of Neogloboquadrina pa-chyderma, etc,) of the late Quaternary sediments obtained from the Ulleung Basin. N. pa-chydeyma and Globigerina bulloides are dominant species (greater than 90% in abundance)among the total planktonic foraminifera assemblages in the late Quaternary sediments. The benthic foraminifera rarely occurred throughout the cores. Sinistrally-coiled specimens of N. pa-chyderma representing cold water temperature are observed more abundantly than dextrally-coil-ed ones. In addition, the sinistrally-coiled N, pachydeyma showed more the amount at the lower part of the cores than at the upper part suggesting the restrictio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into the East Sea during glacial period. G. bulloides, a species representative of upwelling condition, shows more abundant occurrence in the sediments of Core 941013 than those of Core 941006. This implies that Core 941013 is more influenced by upwelling than Core 941006. The upper part of the two cores contain more fragmentation of planktonic foraminifera suggesting significant dissolution by corrosive bottom wafer. Ascending CCD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absence of planktonic foraminifera at the upper part of the cores.

  • PDF

Characteristics and Stratigraphy of Late Quaternary Sediments on a Macrotidal Mudflat Deposit of Namyang Bay, Western Coast of Korea

  • Lim, D. I.;Choi, J. Y.;Jung, H. S.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6-60
    • /
    • 2003
  • In Namyang Bay of western Korea, macrotidal-flat deposits are divisible into three late Quaternary units: Unit M1 of upper marine mud, Unit T1 of middle siderite-bearing terrestrial clay, and Unit M2 of lower marine mud. Unit M1 represents typical Holocene intertidal mudflat deposits, showing a coarsening-upward textural trend. It probably resulted from the continual retrogradation of tidal flat during the mid-to-late Holocene sea-level rise. Reddish brown-color Unit T1 consists of homogeneous clay with abundant freshwater siderite grains and plant remains. Unit T1 is clearly separated from the overlying Unit M1 by a sharp lithologic boundary. Radiocarbon age, siderite grains and lithologic features indicate that Unit T1 is originated from freshwater bog or swamp deposition infilling the localized topographic lows during the early Holocene age. Overlain unconformably by early Holocene swamp clay, Unit M2 is orange to yellow in color and mottled, suggesting significant degree of weathering during the sea-level lowstand. Such subaerial oxidation is confirmed in the vertical profiles of geotechnical properties, clay mineral assemblages and magnetic susceptibility. Unit M2 appears to be correlat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late Pleistocene tidal deposits developed along the western Korean coast. The sedimentary succession of the Namyang-Bay tidal-flat deposit provides stratigraphic information for the Holocene-late Pleistocene unconformity and also permits an assessment of the preservation potential of the late Pleistocene marginal marine deposit along the western coast of Korea.

경기만 김포 조간대 지층의 제 4기 후기 층서 (Late Quaternary (Late Pleistocene and Holocene) Stratigraphy and Unconformity in the Kimpo Tidal Deposits, Kyunggi Bay, West Coast of Korea)

  • 박용안;최경식;도성재;오재호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9-89
    • /
    • 1999
  • 경기만 김포조간대 지층의 제4기 후기 층서를 규명하기 위하여 3공의 심부 시추(기반암까지 시추됨)를 실시하였으며, 퇴적층의 색상과 퇴적구조 및 입도조직에 근거하여 4개의 암상층서단위를 구분하였다. 이러한 암상단위의 층서는 상위에서 하위로 현세(Holocene) 조수퇴적층 (층서단위 I), 초기 현세 담수습지 퇴적층 (층서단위 II), 플라이스토세 후기 조수퇴적층 (층서단위 III) 및 플라이스토세 후기 육상퇴적층 (층서단위 IV)의 순서이다. 특히 단위 III은 지난 최대 빙기 (LGM)동안에 대기중 노출에 따른 풍화 및 결빙의 영향을 받은 상부(층서단위 III-a)와 풍화를 받지 않은 하부(층서단위 III-b)로 세분된다.

  • PDF

강원도 동해안 문암리 해안지층의 제4기 후기 퇴적층서화 환경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of the Coastal Sediments along Moonamni, Kangwon Province, Korea)

  • 박용안;김수정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9-35
    • /
    • 2001
  • 강원도 고성군 문암리 신석기 유적지가 발견된 지역의 심부시추(기반암까지 시추됨) 자료에 대한 해안 퇴적층의 퇴적층서학적 연구를 실시하여 제 4기 후기의 퇴적환경을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심부시추 지점은 3곳으로 해안에서 각각 200m, 400m, 600m 떨어진 곳이며, 이 논문은 해안선에서 약200m 떨어진 시추 지점(MA-1)의 중간 연구 내용의 일부로서 퇴적물의 조직 특성, 패각편과 미세화석의 함유와 동정 및 수소 이온 지수 측정을 근거로 한 퇴적 환경의 변화와 잠정적인 층서 퇴적 단위 해석을 시도하였다. AMS $^{14}C$ 연대 측정은 지표면(해수면보다 약 170cm 상위) 하위의 두 지점, 1,165cm와 2,085cm 깊이의 탄화된 토탄을 선택하였으며 각각의 연대는 36,700$\pm$900 yr. BP, 37,000$\pm$1000 yr. BP이다. 중간 연구 결과에 의하여 MA-1의 시추 퇴적층(25.5m)은 3개의 층서 퇴적단위와 부정합이 제안된다.

  • PDF

울릉분지 남서부 해역의 천부퇴적물에 대한 층서$\cdot$퇴적학적 연구 (Stratigraphical and Sedimentological Studies on Core Sediments from the Southwestern Ulleung Basin, East Sea)

  • 박명호;류병재;김일수;정태진;이영주;유강민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2호
    • /
    • pp.171-177
    • /
    • 2002
  • 제4기 후기의 층서와 퇴적환경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울릉분지 남서부 해역에서 채취한 푸 개의 피스톤 코어 시료를 분석하였다. 코어는 이질 퇴적물이 주종을 이루었고 일부 사질 퇴적물 및 테프라층(tephra layer)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미 확인된 울릉분지의 테프라층을 이용하여 층서 대비를 한 결과, 코어는 약 46,100년의 층서 기록을 보이며, 마지막빙기 동안의 퇴적률(12.1~14.9 cm/kyr)은 대양보다 높은 편이었다. 동위원소층서 2 동안 퇴적된 시료구간에서는 저탁류의 영향을 받은 몇 종류의 퇴적상이 교호하여 나타난다. 코어 00GHP-07의 하부구간에서는 가스 방출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수평균열 구조가 관찰된다. 시료의 총유기탄소(TOC) 함량은 전체적으로 매우 높다(평균1.8%). 특히 총유기탄소의 값은 Termination I 동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이것은 이 기긴 동안 남서부 울릉분지가 산소가 다소 결핍한 환경으로 전이하였음을 의미한다.

Slope Sedimentation and Organic Carbon Content in the Late Quaternary West Florida Slope Sediments

  • Lee, Eun-Il;Park, Soo-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4권3호
    • /
    • pp.144-150
    • /
    • 1999
  • Slope sedimentation on the modern west Florida continental margin is controlled by pelagic carbonate accumulation and off-shelf sedimentation of neritic carbonates and terrigenous fines. Production and deposition of pelagic carbonates by planktonic foraminifera and coccoliths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total slope sedimentation and are mainly promoted by sea-surface productivity. Organic carbon data reflect the relatively high biological productivity in surface waters, indicating high accumulation of biogenic calcareous sediments. The surface-water productivity in the study area is supported by the relation among microfossil assemblages, carbonate mineralogy and sedimentary organic carbon.

  • PDF

울릉분지 북서부 해역의 코어퇴적물에 대한 제4기 후기 테프라 층서 및 테프라층 비교 연구 (Stratigraphy of Late Quaternary Core Sediments and Comparative Study of the Tephra Layers from the Northwestern Ulleung Basin of the East Sea)

  • 김일수;박명호;류병재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3호
    • /
    • pp.225-232
    • /
    • 2003
  • 제4기 후기의 세립질 퇴적물의 층서와 테프라층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동해의 울릉분지 북서부 해역에서 세 개의 피스톤 코어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코어퇴적물은 대부분 이질 퇴적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분적으로 화산재 입자들이 협재되어 있다. 세립질 실트는 반원양성 이토와 저탁류 이토로 나뉜다. 반원양성 이토는 생물교란 이토와 약엽리 이토로 구성되어 있다. 반면 저탁류 이토에는 엽리 이토와 균질 이토가 지배적이며, 들 퇴적물들은 간혹 비저탁류 퇴적물과 교호한다. 현미경 관찰과 EDX 분석결과에 의하여, 울릉-오키(U-Oki; ca. 9.3ka), 아이라-탄자와(AT;ca. 22~24.7ka) 및 울릉-야마토(U-Ym; ca. 25~33ka) 테프라층을 코어에서 동정하였다. 이 중에서 울릉도 기원인 U-Oki층과 U-Ym층은 알칼리 장석류와 함께 대부분 괴상의 유리질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 두 울릉도 기원의 테프라층은 버블형과 판상형의 유리질 입자로 이루어진 일본 기원의 AT층에 비하여 SiO$_2$ 함량이 평균 14.2~14.4wt.% 낮으며 $Na_2$O+K$_2$O 함량은 평균 6~7wt.% 높다. 특히 U-Oki층은 U-Ym층에 비하여 매우 두껍고 세 종류의 층서 단위(stratigraphic unit)를 보다 분명하게 보이고 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크고 연속적인 화산쇄설물의 분급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기원전 7,300년의 U-Oki층을 형성한 화산분출이 U-Ym층의 분출 때보다 주변 퇴적환경에 더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