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 Proterozoic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2초

옥천 각섬암의 Sm-Nd 동위원소연구 : 예비보고서 (Sm-Nd Isotopic Study of the Ogcheon Amphibolite, Korea: Priliminary Report)

  • 권성택;남정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24권3호
    • /
    • pp.277-285
    • /
    • 1991
  • We applied Sm-Nd isotopic system to so-called amphibolites occurring within the Ogcheon group to provide constraints on the age of the metasedimentary rocks and to characterize tectonic environment of basaltic magmatism. An internal mineral isochron age of $677{\pm}91Ma({\sigma})$ was obtained from a coarse-grained, intrusive, amphibolite near Mungyeong. Considering previous studies on the age of the Ogcheon group, we interpret that the isochron represents either early metamorphic or emplacement age. The depositional age of the metasedimentary rocks intruded by the amphibolite would be prior to late Proterozoic. The present study and Cambro-Ordovician fossil evidences of previous workers suggest that both Precambrian and Phanerozoic rocks are present in the Ogcheon group. Positive ${\varepsilon}$ Nd values(+2.4 to +3.5) of four whole rocks indicate mantle origin for the amphibolite. These isotopic data, along with published immobile trace element data of Cluzel et al.(1989), strongly suggest that parental rocks of the amphibolite formed in an intraplate environment rather than in island arc or midocean ridge. The age and tectonic environment of amphibolites in the Ogcheon belt suggest that the basaltic magmatism may be related to the late Proterozoic break-up of a presumed supercontinent, but not to the Triassic(?) collision between North and South China continents.

  • PDF

옥천대(沃川帶)에서의 화성활동(火成活動) -특(特)히 옥천대동북부(沃川帶東北部)에서의 화성활동(火成活動)- (Igneous Activity in Ogcheon Geosynclinal Zone,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Igneous Activity in its Northeastern Part-)

  • 이대성;김용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18권1호
    • /
    • pp.23-39
    • /
    • 1985
  • The northeastern part of Ogcheon zone which consisted mainly of Cambro-Ordovician arenaceous, argillaceous and calcareous formations and Carboni-Triassic arenaceous and argillaceous formations is delineated as the eastern mass of a thrust fault along Choongju-Moongyong-Cheongsan in the middle of the zone.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geotectonic line, Imgye-Samchog fault(see, figure 1) which divides the northeastern part into two blocks, Hambacksan block in the west and East coast block in the east. The igneous rocks in the Hambacksan block ranging from granite to gabbro are distributed in a symmetrical zones parallel to general direction of Ogcheon zone as follows (Fig. 2 and Table 2). Southeast igneous rock zone: it aligns Jurassic granites in its south and Precambrian leucocratic granites in its north. Central igneous rock zone: it aligns Cretaceous granites in its south and Jurassic granites, and some of diorite and gabbro in its north. Northwest igneous rock zone: aligns Jurassic granites in its south and huge batholithic granodiorite in its north. The distribution of the igneous rocks in the East coast block shows an entirely different features from those of Hanbacksan block. In the southern part of the block they assemble in a narrow area ranging in age from Early Proterozoic, through Middle to Late Proterozoic, Devonian, Jurassic, Cretaceous to Tertiary, whereas, the igneous rock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block gathered to a restricted area, in ages of Middle Proterozoic and Cretaceous. The assemblage of the igneous rocks in the studied area shows a compositionally restricted, mixed S-type and I-type granites, $^{87}Sr/^{86}Sr$ > 0.706, rare volcanics and shortening with upright folding. These lithologic and structural features suggest that the igneous activity in this part related intimately to Hercynotype Orogeny of Pitcher(1979). Chronological episodes of igneous activity from Early Proterozoic to Early Tertiary in the northeastern part are figured.

  • PDF

내몽고 다큉샨내의 초기원생대 모이아이트계열 : 특성과 지구조, 마그마 그리고 열역학적 모델 (Early Proterozoic Moyitic Series in Daqingshan, Inner Mongolia : Their Characteristics and Tectonis, Magmatic and Thermodynamic Model)

  • Lin CAO;Wei JIN
    • 암석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7-85
    • /
    • 1997
  • 내몽고 다큉산일대에는 초기원생대의 선캠브리아대 고변성암대가 존재한다. 이들은 대규모 연성 변형대로 북쪽으로 급경사진 엽리와 $340^{circ}-30^{\circ}<45^{circ}-50^{\circ}$ 방향의 선구조가 보이는 나페구조를 형성한다. 이는 섭업/팽창동안 북쪽지역이 남쪽지역 위로 드러스트에 의해 올라갔음을 지시한다. 남쪽의 침강된 지역은 전 진 변성의 특정을 보여준다. 북쪽의 드러스트 된 지역은 압력 감소와 온도 상승에 따른 후퇴 변성의 증거들 이 나타난다. 초기원생대 모이아이트질 암상은 소저반상을 이루는 흑운모 아다멜라이트, 섬장화강암과 맥상 의 알카리-장석 화강암으로 구성되어있다. 혹운모 아다멜라이트는 시생대와 초기원생대의 암석과 정이적인 접촉을 보이며, 변성암의 포유울을 다량 함유하여 아나택시스기원을 지시한다. 모이아이트질 암석의 지화학 적 특성은 전형적인 아나텍시스기원을 보인다. 초기원생대의 중기에서 후기에 대륙-대륙 충돌은 대규모 드 러스트와 시생대 기저암의 인편상 작용(imbrication)을 일으켰다. 광물조합과 Paria et a1.(1988)의 지온지 압계를 이용하여 P-T 환경은 다음과 같다: 상부블록; $700-710^{\circ}C$, 0.72-0.78 GPa(초기상태)와 $600^{\circ}C$, 0.44 G GPa(후기상태), 하부블럭: $620-840^{\circ}C$, 0.64-0.45 GPa(최대변성작용), $620-630^{\circ}C$, 0.35 GPa(후기상태). 이 결과는 시계방향의 압력-온도-시간경로를 지시한다(Jin et ai., 1991, 1994). 횡압력하의 섭입시 깊야-온도모델과 Wyllie et ai.(1983)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섭입대-연성대 내에서 발생하는 변성작용과 아나텍시스 작용에 대한 지구조-마그마-열역학적모댈은 제시하였다.

  • PDF

소청도의 지질과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 (Geology and Stromatolite Fossil Localities of Socheong Island, Korea: An Introductory Review)

  • 김정률;한성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17
    • /
    • 2010
  • 기존 연구 결과와 최근의 야외 지질 조사를 통하여 소청도의 지질 개요와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의 보존 상태를 간단히 소개한다. 분암 지역에서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한 새로운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선착장 부근에서 평행 엽층과 습곡 구조가 발달한 지층의 노두를 발견하였는 바, 이는 소청도의 관문에 위치한 소청도의 중요 지질학적 상징 중의 하나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소청도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는 다양하고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상원계의 묵천통과 멸악산통에 대비되는 후기 원생대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뿐만 아니라 물결 자국, 건열, 빗방울 자국 등의 다양한 퇴적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소청도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화석 천연기념물로서 정밀한 학술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국가적인 보존 관리 되어야 한다.

소청도의 지질과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 (Geology and Stromatolite Fossil Localities of Socheong Island, Korea: An Introductory Review)

  • 김정률;한성희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7-107
    • /
    • 2010
  • 기존 연구 결과와 최근의 야외 지질 조사를 통하여 소청도의 지질 개요와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의 보존 상태를 간단히 소개한다. 분암 지역에서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한 새로운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선착장 부근에서 평행 엽층과 습곡 구조가 발달한 지층의 노두를 발견하였는 바, 이는 소청도의 관문에 위치한 소청도의 중요 지질학적 상징 중의 하나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소청도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는 다양하고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상원계의 묵천통과 멸악산통에 대비되는 후기 원생대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뿐만 아니라 물결 자국, 건열, 빗방울 자국 등의 다양한 퇴적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소청도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화석 천연기념물로서 정밀한 학술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국가적인 보존 관리 되어야 한다.

  • PDF

The Jinsan Gold Mine, Korea : A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Study

  • Youn, Jeong-Su;Lee, Kyeong-Yong;So, Chil-sup;Koh, Yong-Kwon
    • 자원환경지질
    • /
    • 제21권1호
    • /
    • pp.17-27
    • /
    • 1988
  • The Cretaceous Jinsan gold-bearing hydrothermal veins occur within the Late Proterozoic to Mid Ordovician metasedimentary rocks, intruded by Early Cretaceous pink-feldspar granite($142{\pm}2.0m.y.$). Electrum-galena-sphalerite mineralization was deposited in three stages of quartz and calcite veins. Quartz sulfide-bearing stage I and II evolved from initial high temperatures (near $360^{\circ}C$)to later lower temperatures(near $220^{\circ}C$)from lower salinity fluids(1.0 to 3.2 wt.% NaCl eq.). Fluid inclusion data from the post ore carbonate stage reflects much cooler($110^{\circ}$ to $180^{\circ}C$). Evidence of boiling indicates pressure of<85 bars, corresponding to depths of 400m to 1050m assuming lithostatic and hydrostatic loads. Au-deposition was likely a result of boiling, coupled with declining temperatures. The ${\delta}^{34}S$ $H_2S$ values calculated for sulfides are consistent with an igneous source of sulfur with a ${\delta}^{34}S_{{\Sigma}S}$ value near 4.0‰.

  • PDF

대유 페그마이트광상의 광물조성과 K-Ar 연대 (Mineral Chemistry and K.Ar Age of the Daeyou Pegmatite Deposit)

  • 신흥자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3호
    • /
    • pp.227-236
    • /
    • 1999
  • The Daeyou pegmatite is located at the central westerm part of the peninsula. Geology of the mine area consists mainy of pre-Combrian granite gneiss and leucoratic gneiss which are intruded by Mesozoic granites. The pegmatite deposits occur within granite gneiss. Most of pegmatites contain quartz, perthite, microcline-perthite, microcline, sodic plagioclase and tourmaline as dominant minerals with accessory minerals of mica (muscovite, biotite, sericite)and pyrite. Tourmaline occurs as four types: 1) unaltered single crystals, 2) patially sericitized grains bordered by sericite assemblage, 3) tourmaline intergrown with feldspar and qurtz grains, and 4) tourmaline introduced veinlet/ On the basic of optical, X-ray diffraction and chemical analysis, the composition of tourmaline mostly falls on the schorl-elbaite join, in the composition of tourmaline mostly falls on the schorl-elbraite join, in the composition of schorl end member from 0 to about 50%. In spite of the different occurrences, chemical composition of tourmaline shows the limited ranges as follows: $SiO_{2}$ (34.53~35.01 wt.%), $Al_{2}O_{3}$ (33.58~34.26wt.%), FeO (13.73~14.17wt.%), $Na_{2}O$ (1.60~1.72wt.%), MgO (0.56~0.72wt.%), MnO (0.12~0.18wt.%), CaO (0.02~0.06wt.%), $K_{2}O$(0.02~0.03wt.%) $TiO_{2}$ (0.02~0.05wt.%) and $Cr_{2}O_{3}$ (0.02~0.03wt.%). K-Ar ages of the muscovite and sericite fall between 1010$\pm$15 and 1074$\pm$16Ma and between 161.56$\pm$3.09 and 161.67$\pm$Ma, respectivrly. This means that hydrothrmal alteration occurred during middle Jurassic, whereas the pegmatite was initally formed during the late proterozoic age.

  • PDF

함백익지(咸白益地) 기반지역(基盤地域)에 분포(分布)하는 선(先)캠브리아 화강암질암류(花崗岩質岩類)의 암석화학적(岩石化學的) 연구(硏究) (Petrochemical Study on the Precambrian Granitic Rocks in the Basement Area of Hambaeg Basin)

  • 윤현수;이대성
    • 자원환경지질
    • /
    • 제19권1호
    • /
    • pp.35-55
    • /
    • 1986
  • The area of this study is located in the Sang dong district, Youngwol Gun, Kangwon Do, where the Ogcheon fold bel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yongnam massif. The area is covered by the Precambrian metasedimentary rocks of Yulri Group in the south from the line of Ungyosan-Maebongsan-Jansan-Taebaegsan Mountains and by the Cambro-Ordovician sedimentary rocks of Choseon Supergroup in the north. The Choseon Supergroup unconformably overlies the Yulri group. Several granitic intrusives occur in the Precambrian and Cambro-Ordovician terr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geochronology, mineralogical composition, geochemical characteristics, petrogenesis and tectonic settings of the Precambrian granitic rocks, and to evaluate the P.T. conditions of granitic intrusions. The K/Ar ages obtained from the muscovite of Nonggeori Granite, Naedeogri granite and pegmatite intruded into the Yulri Group are Early Proterozoic ($1805{\pm}18Ma$ to $1642{\pm}23Ma$), and those from the migmatitic pegmatite are Late Carboniferous ($305{\pm}4Ma$), respectively. The Precambrian granitic rocks ar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muscovite, tourmaline and grey feldspar with faint lineation of mafic minerals. In terms of mineralogical and chemical composition, the granitic rocks are felsic, calc-alkalic, peraluminous and S-type (ilmenite-series).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ajor and trace elements indicate that the granitic rocks belong to syn-collision setting at the compressional plate margin. They were formed by progressive melting of relatively homogeneous crustal materials under 1~3kb and $670^{\circ}{\sim}720^{\circ}C$ in aqueous fluid conditions, and the Naedeogri granite was more fractionated than the Nonggeori granite. During the Taebaeg disturbance, Nonggeori granite, Naedeogri granite and pegmatite were intruded and emplaced into the Yulri Group. Migmatitic pegmatite occurring in the southwestern area, however, gave much younger muscovite age than the pegmatite intruded into the Yulri Group in rest of the area did, that might be due to the regional metamorphism of the Post-Choseon disturbance. The Geodo granitic mass and the Imog granite were intruded during the Bulgugsa disturbance.

  • PDF

북한 압동 니오븀-탄탈륨(Nb-Ta) 광산의 지질 및 광상 (Geology and Ore Deposit of the Apdong Nb-Ta Mine, North Korea)

  • 이재호;김유동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6호
    • /
    • pp.407-413
    • /
    • 2003
  • 알칼리 교대암내에 배태되는 압동 Nb-Ta 광상의 지질은 상부원생대의 퇴적암류와 이를 관입분포하는 고생대 후기에서 중생대 초기의 평강암군에 속하는 호암산 관입암체(알칼리 섬장암류), 쥬라기의 흑운모화강암 및 제4기의 현무암으로 구성된다. 알칼리 섬장암류는 각섬석-휘석 섬장암, 각섬석-흑운모 섬장암, 흑운-하석 섬장암, 흑운모 섬장암 및 석영-각섬석-휘석 섬장암 등을 포함한다. 후기 마그마 단계에서 수반되는 알칼리 교대작용에 의해 형성된 알칼리 교대암은 호암산 관입암체의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 띠모양이나 불규칙한 맥상 및 렌즈상으로 Nb-Ta 광체를 이루고 있다. 산출되는 광석광물은 파이로크롤과 저어콘을 비롯하여 극소량의 콜럼바이트, 퍼규소나이트, 자철석, 형석, 휘수 연석, 티탄철석, 티타나이트, 인회석 및 모나자이트 등 이다. Nb, Ta, 희토류 및 방사성 원소(Th, U)를 함유하는 파이로크롤은 (1) 부화된 Ta, U 및 Ce, (2) 낮은 함량의 Ta 및 F (3) Th 또는 Ba의 부화 등으로 특징된다. 지화학적 특징과 광석의 구조 및 광물의 산출 특성으로 미루어 광화작용이 알칼리성 광화유체의 교대작용에 따른 것임을 알 수 있다.

베트남 짜봉(Trabong) 지역의 열수 금 광화작용 : 광물 및 지화학적 연구 (Hydrothermal Gold mineralization of the trabong district, vietnam :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study)

  • 한진경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2호
    • /
    • pp.129-139
    • /
    • 1999
  • 베트남 짜봉 지역의 열수 금광상은 단일 광화 시기의 석영$\pm$방해석 맥으로 산출되며, 원생대의 Chulai Complex와 Kham Duc Formation을 이루는 ga 흑연 편마암 및 편암 내의 단층 열극을 충진하고 있다. 광석의 금 품위는 1.3~92.4g/ton 이다. 광석 광물은 매우 단순하여 주로 황철석 및 미량의 base-metal 황화물과 에렉트럼으로 구성된다. 금은 다음과 같은 두 유형의 공생군에서 산출된다. :1) 함철량이 풍부함 섬아연석+엘렉트럼 공생군으로서 황철석 내의 내포물로 산출되며 초기에 해당;2) 함철량이 낮은 섬아연석+방연석+엘렉트럼 공생군으로서 황철석의 단열을 따라 산출되며 후기에 해당. 유체포유물자료 및 공생광물군에 대한 열역학적 고찰에 의하면, 광화작용은 H\sub 2\O-CO\sub2\(-CH\sub 4\)-NaCl 계 유체로부터 230~42$0^{\circ}C$의 고온에서 진행되었으며 광화 유체의 황 분압은 10\sup -6\-10\sup -10\atm 이었다. 광석 광물의 침전은 주로 CO\sub 2\ 개스의 일탈을 수반한 유체 불혼화에 의해 진행되었다. 광화 유체 중 물의 산소 및 수소 동위원소 조성과 황화광물의 황 도위 원소 조성 및 유체포유물 CO\sub 2\ 의 탄소 동위원소 조성은 본 연구 지역의 중-고온형 금 광화작용이 마그마성 유체로부터 진행되었음을 지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