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val growth and survival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8초

유약홀몬에 관한 연구 I. 유사 합성유약홀몬 ″R-20458″에 대한 증사효과 (Effect of Juvenile Hormone Analogs on Silkworm, Bombyx mori L. I. Effect of Juvenile Hormone Analog ″R-20458″on Increase of Silk Productivity by Topical Application)

  • 마영일;이상풍;홍기원;손기욱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25
    • /
    • 1978
  • Research on the hormones of insect has followed by the special opportunities and problems arising from pollution. Since then, the main frame of it has been energetically exploited by ligation, decapitation and so on. In the meanwhile, knowledge of the biochemistry of hormone action as well as other aspects of biochemistry in insects has been gradually disclosed. Since 1966, practical use of active analogs of the hormones has been also worked out as an insecticide and brought the features of it to the light. On the other hand, it is expected to afford the increase of silk productivity resulted from control of the fifth larval period by delaying normal development. With these regards, some of analogs have been tried to apply practically to the silkworm. One of them is "Manta" produced by Zoecon Chemical Company and it is presently used for the increase of silk productivity in Japan. Another one is "R-20458", not registered one, issued by Stuffer Chemical Company. It is still pending for the silkworm growth regulator For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two chemicals are tested on the increase of silk productivity by topical application and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t is evident that the fifth larval period was extended by topical application of the tested chemicals "Manta"and "R-20458"at the fifth instar after 51 hours of the last ecdysis, ranging from 12 hours to one day, as compared to. the control 2. In survival rates, there is no significance at 5% level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s. It proved that there was no toxity to silkworm by topical aprication. 3. There is an increase of cocoon yield in both chemical treatments. It was resulted from increase of weight of single cocoon. "Manta"2.5ppm produced 22.2kg of cocoon. It is equal to 9% increase in index,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In case of R-20458, the increasing rates were varied at the different concentration; 21.4kg of cocoon production with 5% increase at 5ppm, 20.9kg of it with 2% increase at 2.5ppm and 20.6kg of it with 1% increase at 1. 25ppm in index,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4. Percentage of cocoon shell was increased by topical application. In case of "Manta" 2.5ppm, it is 25.6% which is equal to 6% increase in index,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For "R-20458", the increasing rates of percentage of cocoon shell were varied with the different level of chemical concentration. They are 25.0% of 4% increase at 2.5ppm, 24.9% of 3% increase at 1.25ppm and 24.7% of 3% increase at 5ppm. 15% increase was attained at "Manta" 2.5ppm in the weight of cocoon layer based on cocoon yield and percentage of cocoon shell in index,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The rates for "R-20458"are 5% increase at 2.5ppm and 4% increase at 1. 25ppm in index.

  • PDF

Effects of bioflocs on immune responses of Fleshy shrimp, Fenneropenaeus chinensis postlarvae and adults as related to the different feeding abilities

  • Su-Kyoung Kim;Su Kyoung Kim;In-Kwon Jang;Je-Cheon Ju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11호
    • /
    • pp.649-659
    • /
    • 2023
  •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structure of mixilliped of Fenneropenaeus chinensis between the larval and adult stage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structural difference on the immunity of F. chinensis. A fourteen day and a one-month long culture trial were conducted each with postlarvae and adults of F. chinensis in the biofloc, mixed water (50% biofloc:50% clear seawater) and seawater control. Immune-related genes mRNA expressions of postlarvae was analysed by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And the analysis of adult stage immunity was carried out using phenoloxidase (PO) enzyme activation in haemocyte. In the postlarvae, the final body weights were 51.43 and 58.47 mg for the biofloc water and the control seawater,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final body weights of the adul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iofloc water and seawater. The survival rate showed the opposite trend to the growth rate. Immune related genes mRNA expression levels in the postlarvae in the biofloc water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seawater. While, the adult stag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 enzyme activations in the biofloc water than in the seawater with the PO enzyme activation increasing proportionally to the biofloc concentration. This result is considerably explained by the observations of setal morphological structures of the third maxilliped: postlarvae have short serrulated setae that compose the small 'net' structure while adults had long and dense plumose setae. It is understood that the morphological difference of the maxilliped structure resulted in the different feeding abilities in the postlarvae and the adult F. chinensis to use bioflocs as food source.

Effects of brewer's spent grain on the growth and nutrition of the giant mealworm beetle, Zophobas atratus

  • Kim, Sun Young;Kim, Hong Geun;Lee, Kyeong Yong;Ko, Hyeon-Jin;Kim, Nam Jung;Yoon, Hyung J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7권2호
    • /
    • pp.73-81
    • /
    • 2018
  • The giant mealworm beetle, Zophobas atratus (Coleoptera: Tenebrionidae), is a tropical beetle. As this beetle can be used as an ingredient in animal feed, the effects of brewer's spent grain (BSG) on the development and nutritional value of Z. atratus were investigated. A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larval survival rate, body weight, and duration at different content of BSG, mixed with conventional feed, wheat bran (WB). Based on these results, BSG can be mixed with wheat bran as a Z. atratus food ingredient without any problems. The nutritional value was compared between 100% wheat bran control and 50% BSG experimental groups. The moisture, crude protein, carbohydrates, and amino acids were 1.1-1.4 times higher in the 50% BSG group. In the BSG group, the linoleic acid content was 1.6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In the wheat bran group, the oleic acid content was 38.4%, which was 1.3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BSG group. As minerals, the control and BSG groups showed high potassium and phosphorus contents. In terms of hazardous materials, four heavy metals (lead, mercury, arsenic, and cadmium) and two microorganisms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wheat bran and BSG mixed groups, and the nutritional values were better in the BSG mixed group. Therefore, BSG can be used as alternative food source for rearing Z. atratus.

영양강화 Rotifer와 효소활성 향상 Rotifer의 먹이효율 비교 (Comparison of Feed Efficiency Between Rotifers Enriched Lipid-contents to Enrichment and Enhanced Digestive Enzymes Activity to Starch)

  • 권오남;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5-111
    • /
    • 2009
  • 본 연구는 rotifer가 가진 소화효소환성과 영양적인 측면에서 자어의 소화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그래서 rotifer의 소화력을 증가시켜 주기 위해 배양수에 starch를 첨가하여 rotifer (starch-rotifer)의 소화효소 활성을 향상시켰으며 지질 영양강화 rotifer (CE-rotifer)와 비교하여 넙치자어를 이용하여 먹이효율 실험을 하였다. 이들 rotifer의 소화효소 (lipase 제외), 총 단백질, 필수아미노산 총량, 필수아미노산(methionin과 phenylalanine)에서 starch-rotifer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총지질, 지질 클래스(sterol 제외)및 DHA, EPA와 같은 지방산은 CE-rotifer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sterol과 ST/TG 비는 starch-rotifer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이 두 가지 rotifer를 공급받은 넙치자어는 부화 후 6일까지 체장과 체중에서 $3.72{\sim}3.79\;mm$$32.9{\sim}37.8\;mg$/larva의 범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그러나 부화 후 12일째는 CE-넙치에서 starch-넙치가 보다 높은 $5.94{\pm}0.249\;mm$, $144.0{\pm}23.86\;mg$/larva 및 $26.2{\pm}2.13%$의 생존율을 보였다. 이들 두 rotifer를 공급받은 넙치자어의 가수분해 효소 활성은 부화 후 5일째 acidic -amylase, neutral -amylase, TG-lipase, lysozyme 및 acidic Phosphatase에서 starch-넙치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으나, 부화 후 11일째는 CE-넙치의 neutral $\alpha$-amylase, three pretenses, two phosphatases에서 starch-넙치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넙치자어는 부화 후 6일까지 영양강화 rotifer를 공급하는 것보다 소화효소 활성을 향상시킨 먹이를 공급하는 것이 자어의 소화력 측면에서 유익하며, 이후 소화기관의 발달로 영양의 흡수가 원활해져서 영양강화 효과가 자어의 성장으로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후 소화효소활성과 영양의 측면에서 부화 후 6일 이후에 대한 상세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집누에 생식소의 Nosema bombycis 감염과 경란전달성에 관한 조직병리학적 해명 (Transovarial Transmissibility and Histopathology on the Gonad Ivfection with Nosema bombyci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 한명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9-75
    • /
    • 1994
  • 경란전염은 숙주의 생식소 감염이 전제되므로 Nosema bombycis 감염 집누에를 대상으로 생식소의 발육에 수반된 란 및 정자 형성과 경란전염의 성립에 미치는 영향을 해부 및 조직병리학적 측면에서 구명하였다. 생식소의 감염경로는 도관을 통하지않고 체공에 접한 주변부의 피막조직이 먼저 감염된후 난소내부로 병세가 확산되었고, 감염시기는 다른 조직에 비하여 지연되므로 중증인 개체에 한하여 생식소의 감염은 인정되었으나 란 및 정자 형성이 저해되고 숙주는 성충화 전에 치사하였다. 생식능을 보유한 경증의 감염개체에서는 난소의 감염이 번데기 초기까지 인정되지 않았으나 경란전달은 가능하였다. 병원포자는 자력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성숙란에 대한 침입 가능성도 부정적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므로, 경란전염이 성립되는 란의 감염시기는 난소소관이 체공에 직접 노출되는 번데기 시기의 2~3일경 부터 난소난의 난각형성이 개시되기 전인 제10 발육단계까지의 기간이 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태평양 대구 Gadus macrocephalus 채란, 부화 및 자어성장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on Egg Development, Hatching and Laval Growth Rearing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 이정용;이채성;김완기;박상언;민병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60-26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대구 Gadus macrocephalus의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온(4, 7, 10, 13 및 $16^{\circ}C$)에 따른 난발생, 자어의 성장 및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복부압박법으로 채란 하였으며, 채란양과 어체의 관계는 $F=80,220{\times}TL-3,397,700$ ($R^2=0.7528$)이었다. 수정란은 원형의 침성 점착란이었으며, 그 크기는 $0.90{\sim}1.11\;mm$였다. 습식법에 의한 수정률은 68%였다. 난발생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온(T: $^{\circ}C$)에 따른 발생속도(t: hour)는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았다. 4세포기: 1/t=0.0175T+0.0356 ($R^2=0.9579$), 16세포기: 1/t=0.0100T+0.0350 ($R^2=0.9759$), 상실기: 1/t=0.0083T-0.0181 ($R^2=0.9586$), 낭배기: 1/t=0.0035T-0.0058 ($R^2=0.871$), Kupffer씨 포 출현기: 1/t=0.0021T-0.0014 ($R^2=0.871$), 부화자어기: 1/t=0.0006T-0.0006 ($R^2=1$). 또한 대구의 난발생이 개시되는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0.4^{\circ}C$로 나타났다. 부화가능한 수온의 범위는 $7{\sim}10^{\circ}C$로 나타났다. 수정란에서 부화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7^{\circ}C$$10^{\circ}C$에서 각각 288시간(12일)과 192시간(8일)이었으며, 이때 부화율은 각각 65.0% 및 33.4%로 $7^{\circ}C$에서 3배정도 높았다. 부화자어를 40일간 $7^{\circ}C$$10^{\circ}C$에서 사육하였을 때, 성장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생존율은 각각 18.3% 및 5.2%로 $7^{\circ}C$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대구 종묘생산을 위한 수온은 $7^{\circ}C$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범게, Orithyia sinica (Linnaeus)의 성장과 탈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rowth and Molting of the Tiger Crab, Orithyia sinica (Linnaeus))

  • 김용호;정상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3-108
    • /
    • 1990
  • 범게, Orithyia sinica(Linnaeus)의 유생을 Zoea 1기에서부터 Crab 13기까지 사육하여 생잔율, 탈피간격기간, 성장을 기별로 측정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탈피간격기간은 령기에 따라 증가하나 Crab 5기에서부터 성특징이 나타나는 시기전인 Crab 7기까지 감소하였다가, 성특징이 나타나는 시기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한다. 수온에 따른 탈피간격기 간의 변화 양상은 유사하나 실온의 경우 변동의 폭이 컸다. 2. 유생의 생잔율은 Megalopa기까지 $20^{\circ}C$구간에서 사육한 것이 $86.6\%$, 실온에서 사육한 것이 $80.0\%$였다. Crab의 생잔율은 $20^{\circ}C$의 경우 Crab 13기까지 부화후 약 540일간 사육한 것이 $45\%$, 실온의 경우($11.0\~27.7^{\circ}C$) Crab 12기까지 부화후 약 540일간 사육한 것이 $10\%$였다. 생잔율의 성별 차는 없었 다. 3. 유생기의 크기는 사육온도구간별 크기가 있어 실온 구간($21.0\~24.0^{\circ}C$)에서 사육한 Zoea 2, 3기유생은 $20^{\circ}C$구간에서 사육한 유생들 보다 $0.62\~4.03\%$ 작았다. 4. Crab의 갑폭, 체중은 사육 온도구간에 차가없이 1기에서 10기까지 동일하게 증가하고 11기부터는 $20^{\circ}C$에서 사육한 Crab들의 크기가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 체중의 증가 양상은 제9기에서 성장이 감소되었다가 10기에서부터 다시 증가한다. 5. 갑장으로 측정한 성장율은 Zoea 1, 2기에서 각각 $35.65\%,\;41.41\%$였으며 Zoea 2기의 성장률이 높았다. 6. 령기에 따른 성자율 값의 변화는 령기의 중가에 따라 감소 경향이 있으나 증감변동이 일정하지 않고 Crab 5기까지 감소하다가 Crab 6기 이후 약간 증가하였다가 Crab 10기 이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7. Crab $1\~13$기까지의 평균 성장율은 갑장의 경우 $23.87\%$($18.00\~30.91\%$), 갑폭 $23.99\%$($17.82\~30.48\%$), 체중 $91.51\%$($58.86\~129.14\%$)이였으며 성장율은 사육 온도구간별 차는 없었다.

  • PDF

사료첨가제로서 맥주박이 장수풍뎅이 유충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Brewers' Dried Grain as a Feed Additive for the Korean Rhinoceros Beetle, Allomyrina dichotoma)

  • 송명하;이희삼;박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501-1506
    • /
    • 2018
  • 장수풍뎅이 유충은 쌍별귀뚜라미와 갈색거저리 및 흰점박이꽃무지 유충과 함께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공전에 일반식품원료로 등록되었다. 이에 곤충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이와 함께 양질의 곤충을 대량생산하기 위한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용곤충 전용 먹이원 개발 등과 관련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식품가공 부산물은 단백질, 지질, 무기질 및 기타 여러 가지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가축 등 동물 사료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귤박, 비지박, 대두박, 맥주박 등 4종의 식품가공 부산물을 첨가한 먹이원 급여에 따른 장수풍뎅이 유충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장수풍뎅이 3령 유충에 10% 맥주박을 첨가한 먹이원을 급여했을 때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유충의 무게 또한 대조구 대비 약 26%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충기간에 있어서도 10% 맥주박을 첨가했을 때 약 120일로 대조구보다 28일 이상 단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10% 맥주박 첨가 실험구의 용무게와 용화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맥주박이 장수풍뎅이 사육용 사료 소재로서 충분히 활용될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맥주박은 시중에서 쉽고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 곤충사육 농가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으며, 식품가공 부산물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고 식용곤충을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사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북쪽말똥성게, Strongylocentrotus intermedius 유생에 대한 3종 규조류의 먹이효과 (Evaluation of Three Species of Diatoms for Rearing Larvae of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intermedius)

  • 이채성;백국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17-326
    • /
    • 1995
  • 북쪽말똥성게 유생기의 먹이효과를 알기 위하여 Chaetoceros calritrans, Pavlova lutheri 및 Isochrysis galbana의 3개 단독구와 이를 혼합 공급한(Chaetoceros + Pavlova, Pavlova + Isochrysis + Isochrysis + Chaetoceros) 3개 시험구 등 총 6개의 시험구에 대한 성장도, 생존율 및 발육 단계별 소요일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먹이 종류에 따른 유생의 성장은 8완기까지 Isochrysis+Chaetoceros의 혼합구, Isochrysis의 단독구 및 Chaetoceros의 단독구가 각각 $735{\mu}m$, $718{\mu}m$$701{\mu}m$로 성장이 좋았으며 Pavlova의 단독구는 642{\mu}m$로 저조하였다. 먹이 종류별 일간성장을에 있어서 유생초기(6완기) 에는 Isochrysis, 8완 초기부터는 Chaetoceros의 먹이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율에 있어서는 Chaetoceros의 단독구, Isochrysis+Chaetoceros의 혼합구, Isochrysis의 단독구 및 Pavlova의 단독구가 각각 $37.2\%,\;35.0\%,\;32.4\%,\;및\;18.4\%$로 나타났다. 북쪽말똥성게의 유생발육 단계별 소요일수에 있어 6완기 까지는 먹이종류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으나, 8완 후기까지의 소요일수는 Chaetoceros의 단독구가 24일째로 가장 빨랐고 Isochrysis의 단독구는 27일, Pavlova의 단독구 및 혼합구는 $30\~33$일이 소요되었다.

  • PDF

Saddleback clownfish, Amphiprion polymnus의 종묘생산에 관한 연구 1) 산란과 난 발생 및 자치어 사육 (Studies on Seed Production of Saddleback Clownfish, Amphiprion polymnus 1) Spawning, Egg Development and Larvae Culture)

  • 윤영석;노섬;최영웅;김종수;이영돈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7-114
    • /
    • 2005
  • Clownfish는 세계적으로 해양수족관과 관상어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는 주요 종으로 점차 그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태국 Burapha대학에서 이식해 온 부화 후 2개월 된 saddleback clownfish, Amphiprion polymnus 2마리(S1, S2)와 2004년 5월에 인도네시아로부터 이식한 5마리$(S3{\sim]S7)$를 사용하여 인공종묘 생산 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어미의 관리, 산란과 난 발생 및 자치어의 성장과 사육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S1과 S2의 첫 산란은 부화 후 2개월째인 2002년 8월 11일 이었고, 이 때 S1의 전장은 11.4 cm, S2는 8.8 cm였다. 이후 2003년 10월까지 7회의 산란이 일어났으나, 모두 수정이 되지 않았다. 2003년 11월에 수컷 행동을 해온 S2가 폐사하여 생식소를 확인한 결과 미숙한 단계의 암컷이었다. 2004년 5월에 인도네시아산 5마리(전장 $5.2{\sim}8.5cm$)를 S1이 있는 수조에 수용한 결과 S1과 S3가 짝을 지었고, 수용 32일째에 산란이 일어났다. 알은 타원형으로 알색은 선홍색이었고 침성점착란 이었다. 수정란은 장경 $2.46{\pm}0.13mm$, 단경 $0.96{\pm}0.03mm$이었고, 수정률은 96.7%였다. 수정난의 발생은 수온 $26{\pm}0.5^{\circ}C$에서 수정후 1시간 40분에 2세포기, 5시간 40분후에는 상실기에 이르렀고 수정 후 23시간 후에는 배체를 형성하였다. 부화는 산란 7일째(수정 후 $152{\sim}155$시간)소등 후 $1{\sim}3$시간사이에 대부분이 일어났으며 부화율은 85.5%였다. 부화자어의 전장은 $4.58{\pm}0.21mm$로, 입과 항문이 열린 상태였다. 부화 후 1일째 자어는 난황이 완전히 흡수된 상태로 rotifer를 먹기 시작하였으며, 전장은 $4.90{\pm}0.35mm$였다. 부화 후 5일째 자어는 전장 $5.88{\pm}0.31mm$, 생존율은 48.6% 이었고 부화 후 8일째 자어는 변태를 시작하여 부화 후 23일 째에 평균 전장이 $15.00{\pm}2.12mm$에서 변태가 완료되었다. 부화 후 45일째 치어는 전장이 $22.76{\pm}3.22mm$, 생존율은 28.4%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