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ix leptolepis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32초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침엽 및 소지에서의 질소와 인의 재분배 연구 (Nitrogen and Phosphorus Retranslocation in Foliage and Twig of Pinus rigida and Larix leptolepis)

  • 손요환;이임균;황재홍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4호
    • /
    • pp.259-264
    • /
    • 1997
  • To determine patterns of nitrogen (N) and phosphorus (P) change in foliage and twig we collected branch samples of 40-year-old Pinus rigida and Larix leptolepis plantations every month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1996 in Yangpyeong, Kyonggi-Do. Significant seasonal differences on N and P concentrations in foliage and twig were observed for both study species because of nutrient retranslocation. P. rigida and L. leptolepis retranslocated 40 and 37% of foliar N and 86 and 16% of foliar P, respectively. Twig N and P retranslocation rates of P. rigida and L. leptolepis were 114 and 25%, and 42 and 70%,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liar N retranslocation rates between P. rigida and L. leptolepis while P retranslocation rate in foliage of P. rigida was higher than that of L. leptolepis. Our results suggested that twigs were the main sinks for retranslocated nutrients from foliages of the both study species.

  • PDF

충남 공주지역 잣나무림과 낙엽송림의 지상부와 뿌리에 의한 탄소고정 (Carbon Storages in Aboveground and Root of Pinus koraiensis and Larix leptolepis Stands in Gongju, Chungnam Province)

  • 강길남;박관수;이상진;이항구;김준성;김연태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1호
    • /
    • pp.45-52
    • /
    • 2010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estimate carbon contents in an average 40-years-old Pinus koraiensis plantations and an average 37-years-old Larix leptolepis plantations in Gongju, Chungnam Province. Average carbon concentration in stemwood, stembark, branches, needles, and root were 54.31% in Pinus koraiensis and 53.49% in Larix leptolepis stands. Carbon contents was estimated by the equation model logWt=A+BlogD where Wt is oven-dry weight in kg and D is DBH in cm. Total carbon contents was 103.38tC/ha in Pinus koraiensis stands and 96.59tC/ha in Larix leptolepis stands. Net primary carbon production was estimated at 8.79tC/ha/yr in Pinus koraiensis stands and 11.42tC/ha/yr in Larix leptolepis stands.

지리산산(智異山産) 일본 잎갈나무재(材)와 포플러재(材)의 단면별(斷面別) 평형함수율(平衡含水率)(EMC) 측정치(測定値)와 그 상관성(相關性) (Correlation between Determining Values of Sectional Equilibrium Moisture Contents of Larix leptolepis and Populus euramericana I - 476 grown in Mt. Jiri)

  • 황증;문창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63-66
    • /
    • 1983
  • 일본잎갈나무(Larix leptolepis)오 포플러(Populus euamerieana I-476)에 대(對)하여 각(各) 함수율(含水率)을 각단면별(各斷面別) 전건법(全乾法)에 의(依)한 측정치(測定値)와 Electric Moisture Meter(Kett-M8A) 측정치(測定値)와 계산추정치간(計算推定値間)이 상관성(相關性)과 그 신뢰성(信賴性)을 조사(調査)하여 본바 일본잎갈나무재(材)에 있어서는 전건측정치(全乾測定値), Moisture Meter측정치(測定値), 계산추정식간(計算推定値間)에 모든 방향(方向)에 1~5% 수준(水準)의 높은 상관성(相關性)을 보였으나 포플러재(材)에 있어서는 전건측정치(全乾測定値)와 Moisture meter측정치간(測定値間)에 상관성(相關性)은 인정(認定)되나 여지(餘地)에서는 유의의(有意義)한 상관성(相關性)을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 PDF

전라북도 부안 지역 소나무와 진안 지역 낙엽송 생장 모형의 실용성 평가 (Evaluation of Practicality of Growth Models for Pinus densiflora in Buan and Larix leptolepis in Jinan, Jeollabukdo)

  • 서병수;임호섭;이상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4호
    • /
    • pp.368-373
    • /
    • 2008
  • 본 연구는 전북부안 지역의 소나무와 진안 지역 낙엽송림을 대상으로 개발된 생장모형을 지역적으로 독립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하고 기존에 개발된 생장모형이 다른 지역에도 적용 할 수 있는지의 효율성을 측정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기존에 개발된 소나무의 직경생장 모형은 새로운 데이터에 우수한 적합성을 보였으나, 흉고단면적 및 수고 생장 모형은 적합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낙엽송의 직경, 흉고단면적 및 수고 생장 모형은 지역적으로 독립된 데이터에 우수한 적합성을 보였다. 따라서 기존에 개발된 소나무의 직경생장 모형을 제외한 흉고단면적 및 수고 생장 모형의 적용은 개발된 지역에서만 사용 할 수 있는 효율성의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낙엽송의 직경, 흉고단면적 및 수고 생장 모형은 다른 지역에도 적용 할 수 있는 우수한 효율성을 보여 산림 자원이 풍부한 전라북도 동부 산악권 지역의 낙엽송 생장 모형으로 이용 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온교환수지봉지를 이용한 일본잎갈나무 간벌지의 질소 유효도 측정 (Soil nitrogen availability in a thinned Larix leptolepis plantation using ion exchange resin bags)

  • 손요환;김현섭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8-190
    • /
    • 2000
  • 15년생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에서 약도, 중도, 강도의 간벌을 실시하고 약 1년이 경과한 다음 이온교환수지봉지를 이용하여 1년 동안 토양 내 유효태 질소 농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시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간벌이 토양 내 총 유효태 질소의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토양 질소 유효도는 겨울에 비하여 여름과 가을에 높게 나타났다.

  • PDF

일본 잎갈나무재로부터 Diterpene의 단리 (Isolation of Diterpene from Larix leptolepis Gorden)

  • 황병호;조국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4호
    • /
    • pp.71-77
    • /
    • 1998
  • To elucidate chemical structure of the wood extractive, wood meal of Larix leptolepis Gorden was extracted with 95% ethanol for 72 hours. The extract was fractionated with organic solvents such as n-hexane, chloroform, diethylether, and ethyl acetate. From the hexane somble fraction of the extractives, a new diterpene compound was isolated and identified as 6-acetoxymanool or 13-hydroxy-8(17), 14-labddienyl-6-acetate by IR, $^1H(^{13}C)$-NMR and Mass spectrometry.

  • PDF

기후인자가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 of Climate Factors on Tree-Ring Growth of Larix leptolepis Distributed in Korea)

  • 임종환;성주한;천정화;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1호
    • /
    • pp.122-131
    • /
    • 2016
  • 본 연구는 연륜기후학적 방법에 의해 기후인자가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일본잎갈나무의 연도별 생장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제5차 국가산림자원자료에서 수집된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 자료를 정리하였다. 한편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변수와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1950년부터 2010년까지 정리된 월평균 기온과 월강수량 자료를 시군 단위로 정리하였다. 기후조건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일본잎갈나무의 시군별 연륜생장 자료를 군집분석한 결과 6 개의 기후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연륜생장 자료에 대한 크로스데이팅과 표준화 절차를 통해 각 군집별 지표연대기를 제작하였다. 각 군집별 지표연대기의 적합성은 연륜생장의 평균민감도, 자기상관계수, 신호 대 잡음비, 신호강도와 같은 기초통계량 분석을 통해 점검하였다. 최종적으로 각 군집별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변수 간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반응함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일본잎갈나무의 지역별 생장특성의 추정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른 생장패턴의 변화 예측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기도(京畿道) 광주지방(廣州地方)에서 자라는 참나무류, 낙엽송(落葉松) 및 잣나무의 수형특성(樹形特性)과 물질분배(物質分配) (Tree Form and Biomass Allocation of Quercus species, Larix leptolepis (Sieb. et Zucc.) Gordon and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in Kwangju-Gun, Kyunggi-Do)

  • 이돈구;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208-213
    • /
    • 1997
  • 산림자원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주요 수종인 참나무류(Quercus spp), 낙엽송(Larix leptolepis) 및 잣나무(Pinus koraiensis)에 대해 경기도 광주지방에서 수형특성, 물질분배량 및 재적 생장량을 측정하였다. 수형특성으로서는 잣나무가 수관비율 및 수관확장비가 높게 나타났으며 참나무류도 수관비율이 높게 나타나 양수임을 나타냈다. 기관별 물질분배는 줄기의 경우 밑에서 위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감소율은 낙엽송보다 잣나무 및 참나무류가 높게 나타났다. 가지 및 엽은 세 수종 모두 정규분포 특성을 보였으나 가지보다는 엽이 더 높은 정규분포 특성을 나타내었고 수종별로는 참나무류보다 잣나무, 낙엽송이 높게 나타났다. 세 임분의 물질현존량은 낙엽송림, 잣나무림, 참나무림의 순으로 각각 171.1ton/ha, 75.3ton/ha, 61.6ton/ha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참나무류 및 잣나무림은 초기밀도를 높여줌으로서 biomass 생산 증진뿐만 아니라 수간형질 개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낙엽송 인공 조림 임분의 생산구조와 생산성 (Productive Structure and Net Production of a Larix leptolepis Planatation)

  • 권기철;김홍은;이종희
    • 임산에너지
    • /
    • 제17권1호
    • /
    • pp.1-7
    • /
    • 1998
  • 충북 월악산 지역 24년생 낙엽송 조림지의 생산력을 조사하기 위해 8본의 표본목을 벌목하여 부위별(줄기, 가지, 잎)로 생중량을 측정하고 생산구조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낙엽송의 광합성부는 지상 13m에서 시작되며, 수관의 최대광합성층은 15-16m에서 나타났다. (2) 지상부의 현존량은 줄기 160.75ton/ha(86.3%), 가지 18.42ton/ha(9.9%), 잎 7.08ton/ha(3.8%)이었고 전체 지상부의 현존량은 186.25ton/ha이었다. (3) 연순생산량은 줄기 10.17ton/ha/yr, 가지 1.47ton/ha/yr, 잎 0.54ton/ha/yr이었으며, 전체 순생산량은 12.17ton/ha/yr로 나타났다. 순생산량에서 전체에 대한 각 기관별 비율은 줄기 83.5%, 가지 12.0%, 잎 4.5%로서 가지와 잎의 부위가 낮은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 PDF

수용성(水溶性) 아크릴 수지(樹脂)의 자외선(紫外線) 흡수제(吸收劑)와 HALS 첨가(添加)가 일본잎갈나무의 변색(變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UV Absorber and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Addition in Water-soluble Acrylic Resin on Discoloration of Larix leptolepis (S. et Z.) Gordon)

  • 강경택;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4호
    • /
    • pp.47-55
    • /
    • 1996
  • UV transmission spectra of water-soluble acrylic resin films containing hydroxybenzophenolic, hydroxyphenylbenzotriazolic UV absorber and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were investigated by exposure time(before exposure weathered for 160 and 320hours) in QUV Weather-Ometer. Also the YID(yellowness index difference), LID(lightness index difference) and CD(color difference) of dried water-soluble acrylic resin films and the coated woods of Larix leptolepis were analyzed by addition level of UV absorber(0, 1, 2 and 3%) and HALS(0, 0.5, 1 and 1.5%) and by exposure time in QUV Weather-Ometer. They showed no significant effects on UV transmission spectra of dried water-soluble acrylic resin films in the range of 300 to 400nm irrespective of exposure time. However, UV transmission decreased as increase of exposure time. UV transmission spectra were lower in dried water-soluble acrylic resin films containing hydroxybenzophenolic UV absorber and HALS than in these containing hydroxyphenylbenzotriazolic UV absorber and HALS in the range of 350 to 400nm. The least YID, LID and CD in the coated woods of Larix leptolepis appeared at the addition level of 3%, based on non-volatile content, in hydroxybenzophenolic and hydroxyphenylbenzotriazolic UV absorber, and of 1.5% in HALS to water-soluble acrylic res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