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ix kaempferi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4초

충남 오서산에 분포하는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in Mt. Oser, Korea)

  • 어주경;김창균;이향범;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37-141
    • /
    • 2013
  • 오서산의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 두 수종의 침엽에서 내생균의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총 13개체의 숙수식물에서 채집한 침엽을 표면살균하여 분리한 균주들은 형태적인 특징과 rDNA 유전자(ITS 부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총 37개의 균주가 분리되었으며 이들은 17개의 분류군으로 묶을 수 있었다. 그 중 59%는 Leotiomycetes에 속하였으며, 30%는 Sordariomyetes에, 8%는 Dothideomycetes에 속하였으며, 3%는 Agaricomycetes에 속하는 균으로 판명 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선행연구의 결과들과 매우 유사하였으며 소나무에서보다 일본잎갈나무에서 내생균의 종 다양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Lophodermium 속에 속하는 분류군들이 내생균의 다양성에서 주요한 균류로 확인되었으며, 한국에 분포하는 Lophodermium 속 내 종들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 요소와의 상관관계 분석 및 생장예측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limatic Factors and Radial Growth and Growth Prediction for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in South Korea)

  • 정준모;김현섭;김미숙;전영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1호
    • /
    • pp.77-86
    • /
    • 2017
  • 본 연구는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의 연륜생장과 기후 요소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각 수종별 연구지역을 기후군집으로 분류하여 군집별 연륜기후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연륜생장 변화를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연륜기후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한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기후군집은 각각 4개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별 연륜기후학적 모델은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표준화된 잔차연대기와 군집별 기후변수를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소나무의 연륜기후학적 모델에는 각 4개씩의 기후변수가 사용되었고 $R^2$는 0.38~0.58로 나타났다. 일본잎갈나무 연륜기후학적 모델에는 2~5개의 기후변수가 사용되었고 $R^2$는 0.31~0.43으로 분석되었다. 수종별 연륜생장변화 예측은 RCP 4.5와 RCP 8.5 두 개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였다. 소나무 기후군집별 연륜생장예측은 백두대간 산악지역인 군집 4에서 연륜생장이 증가하였고 평균기온이 높은 군집 2와 군집 3에서는 연륜생장이 감소하였다. 일본잎갈나무는 월평균 최저기온이 낮은 군집 1과 평균기온이 높은 군집 2에서는 기후변화가 진행됨에 따라 연륜생장이 감소하였고, 동부해안지역인 군집 3과 해발고가 높은 지역인 군집 4에서는 연륜생장이 유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기후변화에 따른 연륜생장의 변화 예측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공원 내 일본잎갈나무림의 식생구조 (Ecological Structure of Larix kaempferi in National Park)

  • 최송현;이상훈;신용진;조우;이명훈;김정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09-620
    • /
    • 2021
  • 우리나라 국립공원 내 조림지 비율이 높은 6개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일본잎갈나무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고자 일본잎갈나무가 우점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우점비율, 흉고직경, 조림지역 등을 고려하여 조사구를 설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조림지 비율이 높은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조림지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일본잎갈나무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고, 식생유형구분을 통해 선정된 6개 국립공원의 일본잎갈나무림의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생태적관리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조사구는 방형구 400m2를 기준으로 총 51개소를 설정하였다. 군락분류는 TWINSPAN을 활용하였으며 분류된 군락별로 상대우점치, 종다양도, 종수 및 개체수 등을 분석하였다. 군락분류 결과 총 7개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7개 군락 모두 교목층에서 일본잎갈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으로서 아교목층과 관목층의 출현수종에 의해 구분되었다. 군락 I, II, VII은 계곡부에 위치하며 교목층에 일본잎갈나무가 우점하면서 느티나무, 산뽕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출현하였고 아교목층에서 물푸레나무, 산뽕나무 등의 습지성 낙엽활엽수종들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군락 III~VI은 사면부에 위치하며 교목층을 중심으로 일본잎갈나무가 우점하면서 신갈나무와 상수리나무 등의 참나무류가 주요 출현수종이었으며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는 교목성상의 참나무류와 습지성 낙엽활엽수종들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6개 국립공원 일본잎갈나무림의 평균 종다양도는 1.2090으로 군락 III이 1.5413으로 가장 높았고 군락VI이 0.7042로 가장 낮았다. 평균 종수와 개체수는 9.35±2.90종, 226.05±89.98개체였다.

난연처리 국산 침엽수재의 연소특성 분석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re Retardants Treated Domestic Wood)

  • 서현정;황욱;이민철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18
    • /
    • 2017
  • In this study, we measured that fire characteristics of four wood species using indoor finish materials. Wooden specimens were treated with fire retardant chemicals such as diammonium phosphate and potassium carbonate. The wooden specimens are Larix kaempferi, Pinus koraiensis,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which are used for indoor finish. The heat release rate (HRR) values of fire retardant treated woods were confirmed lower than that of untreated woods. For specific details, the HRR values of vacuum impregnated specimens for Pinus koraiensis and Cryptomeria japonica were measured lower than coatings. However, those of Larix kaempferi and Chamaecyparis obtusa showed the opposite effect to it. Total heat release rate values of all wooden specimens, vacuum impregnated were lower than coated specimens.

낙엽송을 가해하는 한국미기록 낙엽송잎벌(신칭)(벌목, 잎벌과)의 발견 (Discovery of Pachynematus itoi Okutani (Hymenoptera: Tenthredinidae) infesting Larix kaempferi(Lamb.) Carriere from Korea)

  • 박지두;;박일권;신상철;변봉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4
    • /
    • 2007
  • 우리나라중부지방에서 낙엽송의 잎을 가해하며 피해를 발생시키는 잎벌과의 낙엽송잎벌(신칭)을 처음으로 발견하여 보고한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피해범위 및 관찰된 생활사 결과를 보고하며 성충의 암수 외부형태 특징을 도해하였다.

Initiation of embryogenic callus from mature zygotic embryos in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 Kim, Yong-Wook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223-227
    • /
    • 2015
  • Embryogenic callus (EC) was created from mature embryos of Larix kaempferi. With the mature embryos, keeping the culture in dark conditions throughout the experiment (38.2%) seemed to give better results than exposing them to 16 h light ($25{\mu}Em^{-2}s^{-1}$) for the first week (21.9%). EC was obtained most frequently from Quoirin and Lepoivre (LP) mediums with 1.0 mg/L 4-amino-3,5,6-trichloropicolinic acid (Picloram), plus 1.0 mg/L benzyladenine (BA) (62.8%) or Litvay's medium (LM) containing 1.0 mg/L p-chlorophenoxyacetic acid (pCPA) plus 1.0 mg/L BA (62.8%) treatment. In both cases, best results were obtained when zygotic embryos were cultured in darkness. As for the effective sucrose concentration on initiation of EC, 29.2 mM sucrose (38.6%) gave the best results.

Bordered Pit Structure Observed by FE-SEM in Main Wood Species of Pinaceae Grown in Korea

  • Ahmed, Sheikh Ali;Chun, Su-Kyoung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28
    • /
    • 2006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it structure of four kind of pine wood species grown in Korea. Torus diameter, margo width, margo lattice size, diameter of pit aperture and pit border width were taken under consideration for explaining the pit structure difference among Pinus densiflora, Pinus rigida,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Torus diameter was found highest in Pinus rigida and the lowest in Pinus densiflora. Margo lattice size varied with torus diameter. Wider torus lowered the margo lattice size. Highest margo width was found in Pinus rigida while the lowest one was found in Pinus koraiensis. Pit aperture diameter was found highest in Pinus densiflora and lowest in Pinus koraiensis. In Pinus rigida, pit border was found the highest and the lowest was found in Larix kaempferi. Pit aperture diameter and pit border were increased gradually from pith to bark while there was a decreasing trend in the margo lattice size measuring from the pith to bark.

  • PDF

민주지산에 서식하는 침엽수의 잎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Leaves of Coniferous Trees on Mt. Minjuji, Korea)

  • 김창균;어주경;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4-177
    • /
    • 2014
  • We investigated the bio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leaves of three coniferous species (Pinus densiflora, P. koraiensis, Larix kaempferi) on Mt. Minjuji, Korea. A total of 39 isolates were discovered from 17 host plants and their homology with the ITS region was searched. They were then identified as 22 taxa; 64% of fungal isolates belong to Sordariomyetes, 33% of isolates to Leotiomycetes, and 3% isolates to Agaricomycetes.

Diversity and Seasonal Variation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ree Conifers in Mt. Taehwa, Korea

  • Kim, Chang-Kyun;Eo, Ju-Kyeong;Eom, Ahn-Heum
    • Mycobiology
    • /
    • 제41권2호
    • /
    • pp.82-85
    • /
    • 2013
  • The needled leaves of three conifer species were collected in Mt. Taehwa during different seasons of the year. Total 59 isolates and 19 species of endophytic fungi were isolated from the leaves and identified using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Shannon index was different in its host plant; Larix kaempferi had a highest value of species diversity. According to the sampling season, 9 species of 19 species were isolated during fall seas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xisting of host plant and sampling season are major factors of distribution of endophytic fungi.

일본잎갈나무 천연갱신지의 종자 결실 및 벌채 유형별 종자 비산 특성 (Seed Fructification and Seed Dispersal Characteristics by Harvest Types in Natural Regeneration Sites of Larix kaempferi)

  • 정준모;김현섭;정상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3호
    • /
    • pp.295-307
    • /
    • 2021
  • 본 연구는 일본잎갈나무 인공림에서 천연하종갱신을 이용한 후계림 조성 방법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6년 경기도 가평에 모수작업과 개벌작업을 실시하여 시험지를 조성하고, 2014년에 조성된 경상북도 봉화의 시험지와 함께 천연갱신지의 종자결실 및 종자낙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결실이 좋은 해에 V영급 일본잎갈나무의 개체 목당 종자 수는 690,340립이며, 모수가 ha당 25본인 일본잎갈나무 천연갱신지에서는 ha당 1,380만립의 종자가 결실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종자의 비산은 9월부터 시작되었으며, 11월까지 낙하된 종자의 발아율은 종자품질 기준인 4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갱신유형별 종자 낙하량은 보잔목작업, 모수작업, 개벌작업 순이었고, 보잔목작업이 종자의 균등한 비산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본잎갈나무의 천연갱신을 위한 벌채와 갱신상 조성 시기는 종자가 비산하는 9월 이전이 효과적이고, 보잔목작업이 균일한 종자공급에 유리한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