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ge-sized rotator cuff tear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내측으로 퇴축된 대범위 회전근 개 파열 (Medial Retracted Large Rotator Cuff Tears)

  • 고상훈;차재룡;김태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2-219
    • /
    • 2009
  • 내측으로 퇴축된 대범위 이상의 회전근 개 파열은 대범위 파열과 광범위 파열, 봉합이 불가능한 파열을 포함한다. 봉합 이 가능한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관절경 하 봉합술이나 개방적 봉합술을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관절경 감시하의 봉 합법은 무척 인내를 요하며 장기간의 긴 학습곡선을 필요로 한다. 봉합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관절경 하에서 변연절제술(debridement)이나 부분 봉합술(partial repair)을 시행할 수 있고, 때로 광배근 이전술이나 역형 인공관절술을 시행할 수 도 있다. 관절경 하에서 변연절제술(debridement)은 국소 마취제의 견봉하 주사후에 통증의 완화와 운동범위의 향상을 경험한 환자들에게 일시적인 호전을 얻을 수 있다. 역시 봉합이 불가능 할 경우에 관절경하에서의 부분 봉합술(partial repair)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견갑 신경의 신연에 의한 생리적 신경차단(suprascapular nerve traction neurapraxia)이 있는 경우에 특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건 이식은 수평까지 어깨를 들어 올릴 수 있을 정도의 경도에 서 중등도 근력 약화의 경우에 장기적인 치료로 사용될 수 있다. 전상방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하여 대흉근(Pectoralis major sternal head)의 근 이전술이 사용될 수 있으며, 후상방 회전근 개 파열의 경우에는 광배근(Latissimus dorsi) 근 이전술이 사용되고 있다. 역 견관절 치환술(Reverse Shoulder Prosthesis)은 어깨 관절의 근력이 극도로 약화된 가성 마비 (pseudoparalysis)에서 유용한 치료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자들은 내측으로 퇴축된 대범위 이상의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하 봉합법의 시행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봉합이 불가능한 파열의 경우에 변연절제술, 부분 봉합 및 건 이전술과 역 견관절 치환술의 이용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 PDF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을 통한 회전근 개 전층 파열의 치료결과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Repair of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 Using Suture Bridge Technique)

  • 서재성;박성혁;김원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181-187
    • /
    • 2010
  • 목적: 회전근 개 전층 중파열, 대파열 환자에 대하여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을 시행한 후 임상 결과를 분석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1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회전근 개 전층 중파열, 대파열을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으로 치료받은 90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15개월 (12~23개월)이었다. 파열의 크기는 중파열이 43예, 대파열이 47예였다. 술 전 및 최종 추시 시 KSS, ASES, UCLA, 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이용한 기능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휴식 및 운동 시 평균 VAS 점수는 각각 수술 전 2.56, 6.94에서 최종 추시 시 0.96, 1.70으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UCLA 점수는 수술 전 평균 17.08점에서 최종 추시 시 31.17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최우수가 31예 (34%), 양호가 49예 (54%), 불량이 10예 (12%)였다. 최종 추시 시 60세 이하인 경우 31.47점, 61세 이상인 경우 30.69점이었으며 (p=0.344), 중파열인 경우 31.23점, 대파열인 경우 31.11점이었고 (p=0.924), 비외상군이 31.10점, 외상군이 31.23점이었다 (p=0.929). 결론: 회전근 개 전층 중파열, 대파열 환자에서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을 시행하여 동통의 감소 및 견관절 기능 향상의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믿을만한 수술적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수술 당시 연령, 외상력 유무는 치료 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중 대 범위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 하 봉합술과 소 절개 봉합술의 비교 - 단기 추시 예비 결과 - (Comparison of Arthroscopic versus Mini Open Repair in Medium and Large Sized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 Short Term Preliminary Results -)

  • 고상훈;조성도;류석우;박문수;곽창렬;우종근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3-80
    • /
    • 2004
  • 목적: 중범위와 대범위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 하의 봉합술과 소절개 봉합술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재료 및 방법: 중범위와 대범위의 전층 회전근 개 파열 3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관절경 하 봉합술을 시행한 13예를 제 1군으로, 소절개 봉합술을 시행한 21예를 제 2군으로 하였다. 파열 크기는 1 cm에서 5 cm까지 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4(범위; 12$\~$36)개월과 28(범위;12$\~$36)개월이었다. VAS (Visual Analogue Scale) 동통 점수를 이용하여 주관적 통증을 비교하였고, ADL (Activity of Dally Living) 일상 생활 지수를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기능 평가는 UCLA (University of California LA)점수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양 군의 만족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동통과 기능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p>0.05). VAS 동통 점수, ADL 일상 생활 지수, UCLA 점수, 만족도는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중범위와 대범위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 하의 봉합술과 소절개 봉합술은 VAS, ADL, UCLA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비슷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 PDF

대범위 이상의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관절경 감시하 소절개 봉합술의 임상 결과 및 수술의 유효성 (The Evaluation for the Usefulness of Arthroscopic Miniopen Repair which Related with Large and Massive Sized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and Clinical Results)

  • 고상훈;조성도;최승원;박문수;곽창열;김상우;정광환;차재룡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9권1호
    • /
    • pp.83-88
    • /
    • 2006
  •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rthroscopic decompression and miniopen repair that was related with large and massive sized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and assess clinical result. Materials and Methods: Twenthy-nine cases of miniopen repaired full thickness tear of rotator cuffs that arthroscopically decompressed were studied. From October 1998 to December 2004 we have analysed 29 repairs of large and massive sized FTRCT, the average age 44 ($32{\sim}71$) years old, mean follow-up was 34 ($12{\sim}84$) months. We analyzed the results statistically by paired t-test. Results: Postoperative VAS of pain improved average 7.0 to 1.7, UCLA score improved 13.7 to 31.9, ADL improved 11.3 to 25.3 respectively (all, P=0.000). Twenty five cases(82.8%) of the patients showed excellent & good results at the final follow-up. The satisfied rate was 26 cases(89.7%). Conclusions: Arthroscopic decompression and miniopen repair in large and massive sized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s are effective surgical methods.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봉합술과 소 절개 봉합술의 비교 (Comparison of Arthroscopic versus Mini Open Repair in Rotator Cuff Tear)

  • 박지강;박경진;김용민;김동수;최의성;손현철;조병기;임세혁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5-40
    • /
    • 2010
  • 목적: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과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회전근 개 파열이 확인된 4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3예에서는 관절경적 봉합술을, 21예에서는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시 평균연령은 관절경적 봉합술군이 50.4세,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군이 56.7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관절경적 봉합술군이 24.1개월,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군이 26.1개월이었다. 양 군의 결과를 견관절 운동범위, VAS (Visual Analogue Scale), ASES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UCLA (University of California LA) 점수를 비교했으며 이를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결과: 파열의 크기는 관절경적 봉합술군에서 소파열이 2예, 중파열이 10예, 대파열이 11예였으며,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군에서는 각각 1예, 8예, 12예 였다. 평균파열의 크기는 관절경적 봉합술군은 3.8 cm이었고, 소 절개 봉합술군이 4.2 cm이었다. 최종 추시 시에 양 군에서 동통과 기능점수가 향상되었으나 양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양 군의 견관절 운동범위 (p=0.7493), VAS (p=0.9677), ASES (p=0.8032), UCLA (p=0.2289) 점수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군은 파열의 크기가 최종 추시 시 임상 결과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소절개 봉합술군은 파열의 크기가 클수록 결과가 좋지 않았다. 회전근 개 전층파열에서 관절경적 봉합술군과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군 간에 임상 결과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 PDF

Early and Delayed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A Comparative Study of Clinical Outcomes

  • Choi, Sungwook;Seo, Kyu Bum;Shim, Seungjae;Shin, Ju Yeon;Kang, Hyunseong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2권4호
    • /
    • pp.190-194
    • /
    • 2019
  • Background: The duration of immobilization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and the optimal time to commence rehabilitation are still the subject of ongoing debat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functional outcome and rotator cuff healing status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by comparing early and delayed rehabilitation. Methods: Totally, 76 patients with small, medium, and large sized rotator cuff tears underwent arthroscopic repair using the suturebridge technique. In early rehabilitation group, 38 patients commenced passive range of motion at postoperative day 2 whereas 38 patients assigned to the delayed rehabilitation group commenced passive range of motion at postoperative week 3. At the end of the study period, clinical and functional evaluations (Constant score,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CLA] shoulder score) were carried out, subsequent to measuring the range of motion, visual analogue scale for pain, and isokinetic dynamometer test. Rotator cuff healing was confirm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t least 6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tained in range of motion and visual analogue scale between both groups. Functional outcomes showed similar improvements in the Constant score (early: 67.0-88.0; delayed: 66.9-91.0; p<0.001) and the UCLA shoulder score (early: 20.3-32.3; delayed: 20.4-32.4; p<0.001). Furthermore, rotator cuff healin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range, 6-15 months; average, 10.4 months). Conclusions: Delayed passive rehabilitation does not bring about superior outcomes. Therefore, early rehabilitation would be useful to help patients resume their daily lives.

매듭 결속과 비매듭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이열 회전근개 봉합술의 결과 (The Results of Arthroscopic Double-Row Rotator Cuff Repairs with Combined Knot-tying and Knotless Suture Anchors)

  • 구정회;이춘기;조형래;최승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72-179
    • /
    • 2008
  • 목적: 관절경적 이열 회전근개 봉합술은 고정력을 향상시키며 건-골 사이의 접촉면을 증가시켜 임상적 및 해부학적 결과가 우수하다는 보고들이 많고 술기 또한 여러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저자들은 매듭 결속과 비매듭 봉합구를 동시에 사용한 관절경적 이열 회전근개 봉합술의 기능적 결과 및 구조적 연속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7년 6월까지 회전근개 전층 파열로 진단받고 평균 6.5개월(5~11) 보존적 치료 후 관절경적 이열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 21예(남자 15예, 여자 6예; 평균 연령 55.6세; 48~67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관절경하에서 측정된 파열부의 크기는 소파열이 2예, 중파열이 13예, 그리고 대파열이 6예로 평균 2.5cm(1.8~3.2)이었다. 수술술기상 내측은 매듭 결속 봉합나사를 이용한 수평 매트리스 봉합술, 외측 열은 생체흡수성 비매듭 봉합구를 이용한 단순봉합술을 시행하였다. 기능적 평가는 견관절 운동 범위, ASES, UCLA scale, 그리고 등속성 근력 평가로 하였으며, 술후봉합부의 연속성은 자기공명영상으로 판정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5개월(13~24)이었다. 결과: 최종 추시 결과 평균 임상적 결과 지수와 근력에 있어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며(p<0.01) 19예(90.1%)에서 치료결과에 만족하였다. 술후 평균 7개월째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21예중 17예(81%)에서 건 치유를 확인하였다. 술전 파열의크기에 따른 술후 견관절 기능의 차이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p<0.01) 6예 대파열의 경우 3예(50%)에서 봉합부의 재파열이 확인되었다. 결론: 회전근개 파열환자에서 매듭 결속과 비매듭 봉합구를 동시에 이용한 관절경하 이열 고정 봉합술로 양호한 임상적 및 해부학적 결과를 얻었다. 이는 개방적 봉합술이나 알려진 다른 형태의 관절경적 이열 봉합술과 유사한 결과이나 생역학적 연구와 장기적 추시가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