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ge repetitive load tes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Evaluation of Dynamic Properties of Trackbed Foundation Soil Using Mid-size Resonant Column Test

  • Lim, Yujin;Nguyen, Tien Hue;Lee, Seong Hyeok;Lee, Jin-W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Railway
    • /
    • 제6권3호
    • /
    • pp.112-119
    • /
    • 2013
  • A mid-size RC test apparatus (MRCA) equipped with a program is developed that can test samples up to D=10 cm diameter and H=20 cm height which are larger than usual samples used in practice. Using the developed RC test apparatus, two types of crushed trackbed foundation materials were tested in order to get the shear modulus reduction curves of the materials with changing of shear strain levels. For comparison purpose, large repetitive triaxial compression tests (LRT) with samples of height H=60cm and diameter D=30 cm were performed also. Resilient modulus obtained from the LRT was converted to shear modulus by considering elastic theory and strain level conversion and were compared to shear modulus values from the MRCA. It is found from this study that the MRCA can be used to test the trackbed foundation materials properly. It is found also that strain levels of $E_{v2}$ mostly used in the field should be verified considering the shear modulus reduction curves and proper values of $E_{v2}$ of trackbed foundation must be used considering the strain level verified.

대형반복삼축시험에 의한 강화노반 재료의 회복탄성계수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Resilient Modulus of Reinforced-Roadbed Materials Using Large Repetitive Triaxial Test)

  • 임유진;이진욱;황정규;박미연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5-1122
    • /
    • 2011
  • Reinforced-Roadbed materials are usually composed of crushed stones. Repeated load application can induce deformation in the reinforced-roadbed layer so that it causes irregularity of track. Thu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prediction model of elastic modulus based on stress-strain relation under repeatitive load in order to investigate behavior of reinforced roadbed. The prediction model of elastic modulus of the material can be obtained from repeated triaxial test. However, a proper size of the sample for the test must be used. In this study, a large repeatitive triaxial test apparatus with the sample size of diameter of 30 cm and height of 60cm was adapted for performing test of the crushed stone reinforced-roadbed considering large particle size to get resilient modulus Mr. The obtained resilient modulus was compared to shear modulus obtained from mid size resonant column test. The sample size effect is somewhat large enough so that it is required to design a scale factor based on similarity law in order to use smaller samples for getting elastic modulus of the crushed stone reinforced-roadbed material. A scale factor could be obtained from this study.

  • PDF

강화노반 쇄석재료의 전단강도특성을 고려한 영구변형예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Permanent Deformation Prediction Model for Trackbed Foundation Materials based on Shear Strength Parameters)

  • 임유진;황정규;조호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623-630
    • /
    • 2012
  • 궤도하부층의 지지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강화노반은 통상 일정 입도분포의 쇄석재료로 구성된다. 이러한 강화노반은 통과톤수의 누증 즉, 과도한 열차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질 경우 영구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구변형은 궤도틀림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강화노반 재료의 적정두께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영구변형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강화노반 재료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M-40 쇄석재료를 선정하여 대형반복삼축시험을 실시하여 재료의 회복탄성 특성과 영구변형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험으로부터 임의 전단응력비 및 반복재하횟수에 따른 회복탄성계수 특성과 영구변형 발생특성을 분석하였으며 M-40 쇄석강화노반 재료의 영구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반복재하횟수, 구속압, 전단응력비, 탄성계수 등)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영구변형 예측모델을 제시하였다.

대형반복삼축시험과 전단응력비 개념을 이용한 쇄석 보조기층의 영구변형 특성평가 (Evaluation of Permanent Deformation Characteristics in Crushed Subbase Materials Using Shear Stress Ratio and Large Repeated Triaxial Compression Test)

  • 임유진;김인태;곽기헌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1-50
    • /
    • 2011
  • 일반적으로 도로 포장체의 파손은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가장 주된 포장체 파손형태로서 영구변형(permanent deformation)과 피로균열(fatigue crack)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포장체의 공용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원인이 된다. 도로 포장체의 영구변형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도로포장체의 내구성을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포장을 설계하는 포장설계법의 수립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포장하부구조의 재료거동은 본질적으로 전단강도(${\tau}_{max}$)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므로 포장하부구조 내 발생한 전단응력${\tau}$의 전단강도에 대한 발생비를 고려하여 영구변형 모델을 설정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전단응력비 개념을 도입한 대형반복삼축압축시험을 통하여 도로하부 재료 중 국내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입상의 보조기층 재료에 대한 영구변형 특성을 알아보았으며 이를 기초로 영구변형 모델의 수립에 필요한 모델 매개변수를 시험을 통해 새롭게 제안하고자 하였다.

할선탄성계수를 이용한 반복하중 하 지반의 영구변형 해석 (Analysis of Permanent Deformation under Repetitive Load Based on Degraded Secant Modulus)

  • 안재훈;오정호;신호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15-21
    • /
    • 2013
  • 일반적으로 도로 포장체 영구변형의 해석은, 먼저 포장체를 층이 진 탄성체로 가정하고 회복탄성계수를 통해 포장체의 회복변형률을 계산하고, 이로부터 다시 실내시험을 통해 얻어진 방정식을 이용하여 영구변형률을 산정하게 된다. 회복탄성계수를 통하여 포장체 내의 응력을 산정할 경우, 포장 내 노상토 상부의 응력은 반복하중으로 인한 노상토의 영구변형 증가를 고려하지 않은 회복탄성계수로부터 결정되므로, 영구변형이 지반 및 포장체에 미치는 영향은 응력 산정 시에 고려되지 않는다. 또한, 토목섬유 등으로 보강된 포장체 등의 거동은 해석에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회복탄성계수를 사용하여 포장체의 탄성거동을 계산하는 방식과 달리 하중반복회수의 함수인 할선탄성계수를 사용하여 영구변형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고, 본 모델 적용과 모델계수 산정의 예를 보인다. 제안된 할선탄성계수를 통한 해석은 비포장 도로 상의 교통으로 인한 영구변형의 예측이나 아스팔트 포장 전 노상토나 기층상부에 가해지는 공사차량으로 인한 영구변형의 산정에 적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한다.

영업운행 전동차 객실형광등의 플리커(Flicker) 현상에 관한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Flicker Phenomenon of a Fluorescent lights for the commercial operating EMU)

  • 하종은;한성호;박재홍;이대원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40-1246
    • /
    • 2006
  • 일반적으로 전동차 보조전원장치의 출력전원 품질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으로는 짧은 시간동안의 진폭변조로 인한 전압플리커 현상과 전동차 내부의 공기압축기 및 냉난방 환기장치 등 대용량 전동기의 반복적인 구동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전동차내의 형광등의 전원과 관련된 플리커 현상에 대해 내장재 개조 후 형광등 32W와 개조 전 40W를 입력전원(AC220V)의 변동에 따른 광 출력(밝기) 로서 계측 비교하였다. 또한, 전압변동을 유발하는 부하변동의 주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전동차 운행시간과 운행밀도를 고려하여 플리커 현상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조 후 형광등 32W에 비해 40W 형광등이 입력전원의 변화에 대해 육안인식정도 측면에서는 20.26% 정도 덜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으며, 심한 플리커가 일어나는 전압의 경우도 19.9%로 더 낮게 측정되었다. 또한, 운행차량의 부하변동 영향에 있어서는 주로 영업차량의 운행밀도가 높고, 이용승객이 많은 혼합시간대에 보조전원장치(SIV)의 출력전압 변동으로 인한 객실형광등 플리커가 발생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전동차 이용승객이 육안으로 형광등의 깜박임을 민감하게 느낄 수 있는 가능 주파수대역으로서 $8Hz{\sim}15Hz$ 임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