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paroscopy-assisted subtotal gastrectom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위암에서 복강경보조 원위부 위아전절제술 및 비장합병절제술 좌위동맥의 보존 증례 보고 (The Preservation of Left Gastric Artery in Laparoscopy-Assisted Subtotal Gastrectomy with Splenectomy of Stomach Cancer)

  • 이상림;박종민;한상욱;조용관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1호
    • /
    • pp.42-46
    • /
    • 2007
  • 원위부 위암으로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할 때는 잔위의 경색을 방지하기 위해 비장을 보존하여 단위동맥으로 하여금 잔위의 혈액공급을 할 수 있게 한다. 위아전절제술을 하던 중 비장손상을 받아 지혈을 위해 계획에 없던 비장절제술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blue stomach을 방지하기 위해 종종 위전절제술로 전환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본원에서는 2개월간의 소화불량을 주소로 내원한 67세 여자환자가, 내시경상 원위부 위암의 소견과 함께 술 전 복부 CT에서 비장의 전이를 확실하게 배제할 수 없는 1.5 cm 크기의 혈관종 의증 소견이 보여 확진을 위한 검사 및 치료의 목적으로 원위부 위아전절제술 및 비장절제술을 계획하였으며 복강경보조로 좌위동맥과 정맥을 보존하면서 림프절 곽청을 포함한 근치적 위아전절제 및 비장 절제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다. 수술 후 잔위 경색을 비롯한 합병증 없이 만족스러운 경과를 보였으며 최종적으로 비장의 종양은 림프관종이었다. 병기는 T1 (sm1) N0 (0/26) M0으로 1aI기로, 현재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 PDF

Long-Term Outcomes and Feasibility with Laparoscopy-Assisted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 Kim, Ki-Han;Kim, Min-Chan;Jung, Ghap-Joong;Kim, Hyung-H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2권1호
    • /
    • pp.18-25
    • /
    • 2012
  • Purpose: Recently, laparoscopy-assisted gastrectomy (LAG) has been widely accepted modality for early gastric cancer in Korea. The indication of LAG may be extended in an experienced institution. In our institution, the first case of laparoscopy-assisted gastrectomy (LAG) for gastric cancer was performed in May 1998.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long-term oncologic outcomes over 12 years to clarify the feasibility of LAG for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authors retrospectively analyzed 753 patients who underwent LAG for gastric cancer, from May 1998 to August 2010. We reviewe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postoperative outcomes, mortality and morbidity, recurrence, and survival of LAG for gastric cancer. Results: During the time period, 3,039 operations for gastric cancer were performed. Among them, 753 cases were done by LAG (24.8%). There were 69 cases of total gastrectomy, 682 subtotal gastrectomies, and 2 proximal gastrectomies. According to TNM stage, 8 patients were in stage 0, 619 in stage I, 88 in stage II, and 38 in stage III. The operation-related complications occurred in 77 cases (10.2%). Median follow-up period was 56.2 months (range 0.7~165.6 months). Twenty-five patients (3.3%) developed recurrence,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overall 5-year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s were 97.1% and 96.3%,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number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survival rates of our series were comparable to the results from that of other reports. The authors consider LAG to be a feasible alternative for the treatment of early gastric cancer. However, rationale for laparoscopic surgery in advanced gastric cancer has yet to be determined.

위암 환자의 복강경 위절제술 후 발생한 그물막 경색의 임상적 의의 (Omental Infarction Following Laparoscopy-assisted Gastrectomy (LAG) for Gastric Cancer)

  • 김민찬;정갑중;오종영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0권1호
    • /
    • pp.13-18
    • /
    • 2010
  • 목적: 조기위암 환자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는 복강경 위 절제술은 큰그물막을 부분 절제함으로 그물막 경색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위암 환자의 복강경 위절제술 시행 후 발생한 그물막 경색의 임상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4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동아대학교 의료원 외과에서 병리조직검사에서 T2 이하의 환자로복강경 위절제술이 시행된 39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술 후 복부 단층 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그물막 경색을 진단하였다. 위암 데이터 베이스와 환자들의 차트를 이용하여 그물막 경색의 빈도, 발생 위치와 크기 및 증상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그물막 경색이 발생하지 않은 환자들의 임상 병리적 특징들과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390명 환자 중 그물막 경색은 9명에서 발생(2.3%)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57.2세였고 9명 중 남자가 6명 여자가 3명이었다. 발생 부위는 상복부 정중과 좌 상복부가 각각 3명이었다. 임상 증상은 배꼽 주위와 좌 상복부에 비특이적인 복통이 각 1명에서 나타났으며 9명 모두 술 후 복막 전이와 감별이 가능하였다. 그물막 경색군의 환자는 비경색군에 비해 수술 전 높은 비만도를 나타내었고(P=0.0230) 위절제 범위에서 위전절제술이 많이 시행된 것으로 나타났다(P=0.0011). 결론: 위암 환자의 복강경 위절제술 후 발생하는 그물막경색은 일차성 그물막 경색들과는 상이한 임상적 특징을 가지며 복막 재발과는 복부 재발과는 복부 단층 촬영으로 구별될 수 있다. 향후 다기관 공동 연구를 통하여 보다 더 정확한 임상 양상이 규명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