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Impact Assessment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2초

환경정보체계의 효과적 이용에 관한 고찰 - 원자료의 정확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 Us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 focused on the accuracy of raw data -)

  • 이규석
    • 환경영향평가
    • /
    • 제7권2호
    • /
    • pp.27-35
    • /
    • 1998
  • In Korea, the initial installation of GIS requires lots of cost, time, and human efforts. If the accuracy of GIS data does not meet the certain standard for use, the system may not work as expected. So, it needs to be investigated for the accuracy of raw data. However, there is little study for the accuracy of raw data in Ko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data accuracy of raw data - geologic map, 1:5,000 and 1:25,000 scale topographic map, forest stand map, degree of green naturality(DGN) map, and detailed survey data of DGN map-, which are to be used in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EIS) in Korea. After this study, some errors in data were surveyed and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1) There is no map data, e. g, wildlife habitat map. (2) Some data are misinterpreted depending on the location in the geologic map. (3) Some data are not updated properly after change of topography in the topographic map or the elevation and loca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cale.. (4) Some data are not edited properly in the forest stand map, e. g. two attributes in one polygon. (5) DGN classification system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vegetation community. So, it needs to be refined and restructured.

  • PDF

자연환경에 대한 주민의 평가와 평가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sident's Evaluation on Natural Environment and the Evaluation Factors)

  • 이동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6권1호
    • /
    • pp.67-7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residents' evaluation on valuable animal and vegetation and the naturality of vegetation seen near regional environment. With this purpose, Questionnaire research and vegetation survey focusing on area of types of vegetation and species of big trees were made in 30 points of midstream of Tama River, Tokyo, Japan.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based on basin environment units in order to be reflective of regional natural environment. The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5 types according to its flora and observed the covering area of each points and types through the aerial photograph. In addition, the species of big trees in habitat were listed by the survey. Results as below came out by analyzing the outcome of the questionnaire research and vegetation survey by multiple regression. First, residents are most likely not to distinguish precisely betwee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vegetation. Both of the researches are apt to be influenced by quantitative factors of vegetation. Second, residents are assumed to consider forest of big trees, inhabitant of groups of big trees, highly natural.

  • PDF

신도시 개발에 따른 첨두유출량과 토양유실량 변화에 관한 연구 -목포시 남악 신도시 개발지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Peak Discharge and Soil Loss Variation due to the New Town Development - In the Case of Namak New Town Development Area -)

  • 우창호;조남열
    • 환경영향평가
    • /
    • 제11권4호
    • /
    • pp.271-28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hydrological impacts and soil loss variation due to the land use change of Namak New Town development area. The analysis of hydrological effects and soil loss variation has been carried out using GIS in this study. In order to estimate the peak runoff volume, the Rational Method which is the most popular technique to predict runoff amounts is used. To estimate the soil loss in the study area, Universal Soil Loss Equation(USLE), which is one of the most comprehensive and useful technique to predict soil erosion is adopted.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peak runoff volume and the total soil loss increase according to the land use change. The peak runoff volume and the total soil loss have been increased about 2 times and about 48 times more than that of pre development. The increasing of the peak runoff volume can be effective erosion, flooding and so on. A careful city planning is the first essential step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impacts and to construct the ecological city.

시멘트공업에 있어서 산성비 원인물질 저감방안 평가에 관한 연구 - 아황산가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n Reduction Methodology for Acid Rain Causing Material in Cement Industries - Focus on Sulfur Dioxide Emission Reduction Measures -)

  • 이동근;정태용;전성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8권1호
    • /
    • pp.29-40
    • /
    • 1999
  • This study focuses on one of typical energy-intensive industries, the cement industr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SO_2$ emission reduction measures in the cement industry. This study partially employed and modified AIM(Asia-Pacific Integrated Model) developed by Japan National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to develop AIM/KOREA SULFUR model for simulation. In the study, a base scenario, and mitigation scenarios(a use of low-sulfur contain fuel, fuel conversion to cleaner energy, an induction of desulfurization systems, and energy saving) were employed.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are summarized below: The sulphur dioxide emission from the cement industry in 1992 was estimated to be 106,000 metric tons; however, according to base scenario, sulphur dioxide emission is expected to be increased to 219,000 metric tons, which is 2.1 times greater than that in 1992 by year 2020. To alleviate such increasement, simulation results under various scenarios proved that some degrees of reduction may be possible by an induction of desulfulization systems although there may be numerous ways to interpretate the simulation results.

  • PDF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청주시 녹지의 환청개선 기능 평가 (Evaluation on the Environment Amelioration Functions of Green Spaces in Chongju City by GIS)

  • 고강석;서민환;김정현;김기대;길지현;김정수;이명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8권1호
    • /
    • pp.51-59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unctions of green spaces for the environment amelioration in Chongju Cit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tal amounts of $SO_2$ and $NO_2$ which can be absorbed by green spaces in Chongju City from EPA model were calculated as 27,655 tons and l,551 tons per year, respectively. 2. It was estimated that more green spaces were needed to mitigate the effect of air pollutants emitted from industrial complex at Songjung-Dong, Bokdae-Dong and Sachang-Dong in Chongju City. This is acquired as a result of overlaying the map of administrative district, forest state, and $SO_2$ isoline using GIS method. 3. The amounts of green spaces and the selection of their proper location have to be considered at the stage of city planning and in this case, the amounts of air pollutants are also considered.

  • PDF

주택성능등급 인정 사례의 부문별 평가 결과 분석 (Analysis on Results evaluated by "Housing Performance Grading System" in Korea)

  • 이성옥
    • KIEAE Journal
    • /
    • 제10권6호
    • /
    • pp.55-66
    • /
    • 2010
  • The government is enacted "Housing Performance Grading Indication System" from qualitative housing supply policy and performance of housing under the background of looking for new plan to secure good housing stock and housing performance. This system consists of 5 main performance section, 14 performance categories and 20 detailed performance items. 5 main performance parts are sound insulation related grading(Light-weight impact sound insulation, heavy-weight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noise emission in bathroom, airborne sound insulation for wall between units), Long-life housing related grading(flexibility, remodeling & maintenance, durability), environment related grading(landscape, indoor air quality and ventilation, energy performance), Living environment related grading(common resident facilities such as playground and consideration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such as the aged), Fire fire prevention grading(fire fire preven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results of 20 detailed performance items on "Housing Performance Grading Indication System" which was enforced 240 cases from Jan 9th, 2006 to Sep 30th, 2010. The analysis of approval condition of detailed performance items will be important comments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domestic level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도로건설사업 시 지형 훼손 최소화를 위한 절·성토 높이 기준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 of Cutting and Filling Height to Minimize Topographical Damage in Road Side Construction)

  • 김미리;김수련;신지훈;성현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5-12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도로건설사업의 환경영향평가서를 대상으로 도로 건설시 절 성토 높이와 비탈면 높이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도로 건설사업 시 지형적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합리적인 비탈면 높이 기준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도로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내 비탈면 높이와 관련된 전문가 의견이 제시된 44개의 사례를 검토하고, 그 중에서 절 성토고 높이에 관해 언급된 23개의 사례를 추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환경영향평가서 상에 제시된 대부분의 절 성토 높이 및 비탈면 높이는 기준 높이인 20~30m(성토 높이), 그리고 10~15m(절토 높이)를 초과하고 있으며, 도로변의 절 성토 높이가 비탈면의 높이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각각의 절 성토 높이는 절토 높이의 경우 25.33~33.23m, 성토 높이의 경우 14.56~18.08m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높이 기준은 일반적인 높이 기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환경영향평가서 검토 시에 충분히 고려되어야할 사항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환경영향평가서에 제시된 절 성토 높이 및 비탈면 높이만을 고려하고 있어, 실제 제안된 높이가 지형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은 불가능하였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높이 기준을 바탕으로 비탈면 높이에 대한 친환경성 검증을 위한 심층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환경공간정보를 이용한 식생부문 환경영향평가 고도화 방안 연구 (Environmental spatial data-based vegetation impact assessment for advance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최유영;이지연;성현찬
    • 환경생물
    • /
    • 제40권1호
    • /
    • pp.99-111
    • /
    • 2022
  • 생태계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인 식생은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 발전의 기반으로 보전의 필요성이 높다. 개발로 인한 자연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이고 효율적인 정책 수단인 환경영향평가에서 식생 관련한 평가는 정량적·객관적이지 못한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영향평가가 보호종의 존재 여부에 집중되어 있어 광역적 차원에서 서식처로서 식생의 역할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공간데이터를 활용하여 개발사업으로 인해 식생이 받는 영향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향후 식생 환경영향평가의 정량화·고도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거시적인 측면에서 식생 영향평가 시 다루어야 하는 항목으로 현재 활용하고 있는 식생보전등급 외에 핵심 면적, 연결성, 식생상태를 도출하였다. 각 항목을 토지피복도와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공간적으로 구축하고 시계열 변화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항목에서 개발로 인해 식생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으며, 특히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지 내부뿐 아니라 주변 지역에도 악영향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식생부문 환경영향평가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으나, 실제 환경영향평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방법론이 정립될 필요성이 있다. 다양한 환경공간자료를 적극 활용하여 개발사업으로 인해 자연생태계가 받는 영향을 보다 정량적·과학적으로 평가함으로써 개발사업이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저감대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국립공원(國立公園) 개발(開發)에 따른 경관영향평가(景觀影響平價)에 관(關)한 연구(硏究) - 덕유산(德裕山) 국립공원(國立公園)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Landscape Impact Assessment of National Park Development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National Park Mountain Dukyu -)

  • 김세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195-209
    • /
    • 1996
  • 본 연구는 우리 나라 대표적인 산악형 국립공원이라 할 수 있는 덕유산 국립공원의 개발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전과 개발후로 나누어 S.D Scale 측정에 의한 공간의 이미지 구조를 인자분석, 알고리즘을 통하여 밝히며,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공간의 선호도 결정요인 추출과 각 요인 상호간의 상대적 중요성을 설명한다. 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덕유산 국립공원의 공간 이미지를 함축하는 변인(變因)은 종합평가차원, 공간적차원, 친근감차원, 자연성차원, 호감성차원, 물리적차원 등 6개의 인자군(因子群)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변인들은 덕유산 국립공원의 공간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인자수 제어방법에 의하여 전체변량은 45.46%와 45.45%로 나타났다. 국립공원 개발에 따른 경관관리를 위한 계량적 접근의 기능적차원에 반영되어야 할 주요 척도적 요소라고 생각된다. 각 지점별 공간 이미지의 차이에 따라 시각적 선호도를 결정짓는 변수가 달라지며 동일지점에서도 공간이미지의 주된 변수적 기능을 수행하는 변인의 차이에 의하여 선호도 결정 요인의 차이가 인정된다 할 수 있다.

  • PDF

산림 생태계 서비스를 고려한 산림 보전가치 평가 - 가평군을 대상으로 - (Assessment on the Forest Conservation Value Considering Forest Ecosystem Services - The case of Gapyung-gun -)

  • 김예화;정승규;정슬기;이동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5호
    • /
    • pp.420-431
    • /
    • 2015
  • 최근 생물다양성, 기후변화 등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산림 생태계의 보전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산림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생태계 서비스를 고려한 산림 보전가치평가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산림생태계는 생물다양성 유지, 기후조절, 물 조절 등에서 생태적 가치를 나타 내며 평가를 위한 지표로 선정하였다. 생물다양성 유지는 생물의 보전을 위한 서식지의 구조적인 특성과 생물종의 분포 특징을 같이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기후조절은 탄소흡수량으로 계산하였고 물 조절은 물저장량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평군 산림의 50.1%가 보전가치가 높은 산림으로 나타났고, 국내 산림의 보전가치가 평가되고 있는 국내 환경지도와 비교한 결과 유사한 분포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가평군에 특화된 도면이나 평가 방법은 전국 산림의 보전가치 평가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