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fill soils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4초

난지도 하수슬러지 매립지반의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Properties of Sewage Sludge Landfill Ground in Nanji-Do)

  • 송영석;윤중만
    • 지질공학
    • /
    • 제17권1호
    • /
    • pp.125-13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난지도 매립지내 하수슬러지만으로 이루어진 8호 매립장에 대하여 환경 및 지반공학적 특성을 조사한다. 이를 위하여 대상현장에 대하여 시료를 채취하고, 용출시험, 중금속 총량시험 등을 실시하여 환경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중금속 총량시험결과 Pb, Zn, Cu, Ni, Cd, Cr 등의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Cu의 경우 캘리포니아주 규제기준을 초과하므로 하수슬러지 재활용시 함량을 낮추어야 할 것이다 한편, 하수슬러지의 비중, 입도분석, 액소성한계, 다짐, 투수, 전단시험을 실시하여 지반공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하수슬러지는 모래, 실트 및 점토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성지수는 42.3%로서 압축성이 큰 무기질 실트 혹은 유기질 점토인 것으로 분류된다. 다짐시험결과 건조단위중량이 낮고 다짐곡선이 비교적 평탄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므로 함수비 변화에 따른 다짐효과가 비교적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직접전단시험결과 점착력은 $0.058kg/cm^2$이고, 내부마찰각은 $14^{\circ}$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현장의 하수슬러지는 다짐이 잘 되지 않으며, 전단강도도 비교적 낮으므로 매립지의 복토층 등으로 재활용할 경우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하수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의 용출에 따른 지하수 오염문제도 예상된다. 따라서 대상현장의 하수슬러지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보완 및 처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중성계 및 알칼리성 고화재를 이용한 고화하수슬러지의 복토재가 모형매립조 내 유기물 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idified/Stabilized Sewage Sludge using Neutral Solidifying Chemical Agent and Alkaline Agent as Landfill Cover on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in Lysimeter)

  • 김혜진;박진규;송상훈;이남훈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768-774
    • /
    • 2008
  • 하수슬러지 고화물이 매립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형매립조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형매립조는 총 3기를 제작하였으며, 충전물질은 퇴비와 사료, 모래를 각각 10 : 10 : 80으로 혼합하여 충전하였고, 복토재는 개발한 중성계 고화제로 하수 슬러지를 고화한 G고화물(LR1), 알칼리성 고화재로 고화한 A고화물(LR2), 마사토(LR3)로 하였다. 이를 30 $\pm$ 2$^{\circ}C$의 항온실에서 약450일 동안 운전한 결과 누적발생가스발생량과 VS성분에 따른 가스발생량, CO$_2$와 CH$_4$의 누적발생량은 LR2 > LR1 > LR3순 나타났다. 그리고 LR1, LR2, LR3의 COD$_{Cr}$변화를 살펴본 결과 LR1의 COD$_{Cr}$농도는 LR3와 같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G고화물은 침출수의 COD$_{Cr}$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LR2는 250일경 재슬러리화되어 COD$_{Cr}$농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T-N, T-P농도에 있어서도 LR3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하수슬러지고화물 복토에 의한 침출수의 T-N, T-P에는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판단된다.

호기 및 혐기매립에 의한 굴착폐기물의 안정화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Stabilization of Excavated Solid Wastes by Aerobic and Anaerobic Landfilling)

  • 박진규;오동익;이남훈
    • 유기물자원화
    • /
    • 제12권3호
    • /
    • pp.76-85
    • /
    • 2004
  • 폐기물의 혐기성 분해반응은 메탄 발생 및 건강 위해성 등과 같은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폐기물을 호기적인 조건에서 분해하는 것은 메탄발생 억제 및 폐기물의 조기 안정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굴착폐기물을 충전한 모의 매립조를 호기 및 혐기 조건으로 운전함으로써 공기주입이 매립지의 조기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주 S 비위생 매립지(매립기간: 1991. 11~1994. 11)에서 폐기물을 굴착하여 시료로 이용하였다. 굴착폐기물은 물리적 조성은 토사류, 비닐/플라스틱류의 난분해성 및 비분해성 물질이 대부분이었다. 호기성 매립조의 발생가스 조성에서 비교적 높은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가 나타나 미생물에 의한 호기성 분해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굴착폐기물의 혐기성 분해는 매우 미미하여 혐기성 매립조에서는 저농도의 $CH_4$ 가스가 발생하였다. 모의매립조의 침출수 pH는 혐기성 매립조 7.7~8.9, 호기성 매립조 7.3~8.5로 약알카리성을 나타내었다. BOD, COD, $NH_4-N$, $NO_3-N$의 농도변화를 관찰해 보았을 때, 굴착폐기물에 공기를 주입하여 호기성 조건을 만들어 주는 것은 유기물의 생물학적 분해를 가속화하여 침출수의 수질 개선에 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광주광역시 풍암매립지 주변 하상퇴적물과 물의 지구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ream Sediments and Waters around the Pungam Landfill in Gwangju City, Korea)

  • 박천영;신인현;배종필;안건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90-302
    • /
    • 2003
  • 광주광역시의 풍암매립지 주변에 분포하는 하상퇴적물, 주변토양, 침출수의 배수관 내에서 채취한 슬러지 그리고 물(하천수, 침출수, 지하수)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하상퇴적물에서 상류에서 하류 쪽으로 규칙적인 함량변화는 나타나지 않는다. 하상퇴적물에서 가장 풍부하게 산출되는 주원소는 Fe(7.08wt.%)이다. 하상퇴적물 GJ-23, 34는 중금속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지만, 심각한 환경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농도는 아니다. 주변 토양 중에서 침출수 저장고와 인접한 토양(GJ-8)에서의 철 함량은 35.1wt.%, 비소 함량은 38.8ppm으로 가장 높다. 침출수구에서 채취한 슬러지 시료 GJ-7의 Cr함량은 .45.6ppm으로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훨씬 초과한다. 침출수는 총용존물질(2210, 2470mg/L)과 전기전도도(468, 530ms/cm)가 높고, 양이온에서 Na, K가, 음이온에서 HCO$_3$가 우세하다. 침출수인 PK-3은 Cl함량이 비교적 높아 파이퍼도에서 Na-Cl 영역에 점시된다. 지하수와 하천수는 질산성질소의 함량이 음용수 기준을 훨씬 넘어서 식수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Decision of Available Soil Depth Based on Physical and Hydraulic Properties of Soils for Landscape Vegetation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 Jung, Yeong-Sang;Lee, Hyun-Il;Jung, Mun-Ho;Lee, Jeong-Ho;Kim, Jeong-Tae;Yang, Jae 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522-527
    • /
    • 2015
  • Decision of available soil depth based on soil physical and hydraulic properties for the $3^{rd}$ Landscape Vegetation Project in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as attempted. Th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8 sites at different depths, 0-20 and 20-60cm, for the three project fields, A, B, and C area.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organic matter content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analyzed. Hydrological properties including bulk density and water holding capacity at different water potential, -6 kPa, -10 kPa, -33 kPa, and -1500 kPa were calculated by SPAW model of Saxton and Rawls (2006), and air entry value was calculated by Campbell model (1985). Based on physical and hydrological limitation, feasibility and design criteria of soil depth for vegetation and landfill were recommended. Since the soil salinity of the soil in area A area was $19.18dS\;m^{-1}$ in top soil and $22.27dS\;m^{-1}$ in deep soil, respectively, landscape vegetation without amendment would not be possible on this area. Available soil depth required for vegetation was 2.51 m that would secure root zone water holding capacity, capillary fringe, and porosity. Available soil depth required for landscape vegetation of the B area soil was 1.51 m including capillary fringe 0.14 m and available depth for 10% porosity 1.35 m. The soils in this area were feasible for landscape vegetation. The soil in area C was feasible for bottom fill purpose only due to low water holding capacity.

준설퇴적물 유효활용을 위한 압축강도 및 환경성 평가 (Compressive Strength and Environmental Investigation for Beneficial Use of Dredged Sediments)

  • 윤길림;배윤신;윤여원;김석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2C호
    • /
    • pp.119-13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해양오염 준설퇴적물을 활용한 시제품 제작 및 역학적, 환경적 실험을 통한 건설재료로서의 활용성을 조사하였다. 울산 방어진에서 수거한 준설토로 고화처리토 및 경량혼합토 공시체를 제작하여 압축특성 및 응력-변형 거동 등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는 다양한 공학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해양오염토 유효활용을 위해 물리적 특성 외에 환경실험도 실시하였다. 제안된 준설토사 처리활용기준에 적용하였을 때는 구리성분 만이 활용가능기준을 약간 초과하였고 준설토 활용우려기준에는 모든 기준에 적합하여서 건설재료로 재활용하여도 환경적인 유해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립복토재로서 활용성 검토를 위한 준설토의 입도분석, 다짐시험, 아터버그 한계시험, 비중시험 및 단위중량시험 등을 수행한 결과, 모든 조건의 고화처리토는 매립작업을 원활히 하기위한 강도(대략 50kPa)를 만족하였다.

시공조건이 시멘트계 고화토의 투수계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Construction Variables on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Soil-Cement in Low Permeable Applications)

  • 정문경;김강석;우제윤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27-434
    • /
    • 2000
  • Hydraulic conductivity of soil-cement was measured as a function of some selected construction variables that are often encountered in practice. They are initial (or compaction) water content, delayed compaction after mixing, and repeated freezing and thawing. Sandy and clayey soils were used. The hardening agent used was a cement based soil stabilizer consisting of 80% of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20% of a combination of supplementary materials. Hydraulic conductivity of soil-cement with varying initial water content was, in trend, similar to that of compacted clay. Hydraulic conductivity of soil-cement de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water content and reached its minimum when compacted wet of optimum water content. Pore size distributions of soil cement at different initial water contents were analyzed using mercury intrusion porosimetry. The analysis showed that dryer condition led to the formation of larger pores with lesser total pore volume; smaller pores with larger total pore volume at wetter condition. Hydraulic conductivity of soil-cement increased by orders in magnitude when specimen underwent delayed compaction of longer than 4 hours after mixing and repeated freezing and thawing.

  • PDF

A Review of Porous Media Theory from Woltmans Work to Biots Work

  • Park, Taehyo;Jung, Sochan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93-104
    • /
    • 2003
  • Porous media consist of physically and chemically different materials and have an extremely complicated behavior due to the different material properties of each of its constituents. In addition, the internal structure of porous materials has generally a complex geometry that makes the description of its mechanical behavior quite complex. Thus, classical continuum mechanics cannot explain the behavior of materials with pore spaces, such as concrete, soils and organic materials in waste landfill. For these reasons, porous media theory has been developed in the nineteenth century. Bio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porous media theory. Biot's work has been referred by many authors in the literature. Development of numerous fundamental equations in porous media theory were made possible due to Biot's work. His contributions made the greatest influence on porous media theory. Therefore, it is highly advantageous to review Biot's publications. This work presents a review of Biot's work. It shows how porous media theory has been developing so far and provides a chance to discuss the contribution of his work to the modern porous media theory.

  • PDF

해성점토와 풍화토의 오염물 흡착능에 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Contaminant Sorption Capacity of Marine Clay and Decomposed Soil)

  • 장연수;임종주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8-84
    • /
    • 1997
  • 수도권 매립지 지반의 침출수에 대한 흡착성 분석을 위한 벳치실험과 컬럼시험을 수행하였다. 벳치실험에서는 제 1공구와 제 3공구 각각에서 채취한 지반토의 무기물, 중금속에 대한 흡착능과 흡착등온식을 알아보았으며 컬럼실험에서는 염소, 요오드, 칼륨, 납, 카드뮴을 사용하여 분산성과 오염 저감능력을 알아보았다. 시험결과 토양 시료 모두 Freundlich 등온식에 잘 따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해성점토시료 모두 중금속과 무기물인 칼륨에 대한 흡착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료 채취 지점의 지질변화에 따른 실험된 성분에 대한 흡착성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폐기물매립지 차수재로서 고화토의 중금속 고정능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xation of Heavy Metals with Stabilized Soils in the Landfill Liner)

  • 노희정;이재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5-149
    • /
    • 2000
  • We performed the geotechnical experiments of the hydraulic conductivity and compressive strength test with the stabilized soil in the laboratory, proved that it is useful to use the stabilized soil as an alternative for natural clay soil. Also, for mixing adding materials in the stabilized soil, it was determined that 1) the optimal mixing ratio of cement : bentonite : stabilizing agent was 90:60:1 of mass ratio(kg) for 1㎥ with soil, 2) it was also possible to use low quality bentonite(B\circled2) classified by swelling grade because of little difference from results of the hydraulic conductivity and compressive strength test with high quality bentonite(B\circled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ixation ability of heavy metals(Pb$^{2+}$, Cu$^{2+}$, Cd$^{2+}$, Zn$^{2+}$) with soil and additives, authors can conclude that the higher pH condition had the more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B\circled1 and cement had especially high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in a whole pH because of high alkalinity.alin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