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 use status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7초

경기도 접경지역 환경부하의 공간적 특성 분석 (Spatial Pattern of Environmental loadings on Border Region of Gyeonggi Province)

  • 류호상;김상빈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7-170
    • /
    • 2004
  • 경기도 접경지역은 저개발로 인해 청정한 환경을 유지해 왔으나 개발압력과 주민들의 개발 욕구로 인해 환경훼손에 취약한 지역이다. 이 논문은 경기 접경지역의 토지이용 변화패턴과 지역정서, 환경관리 기반시설의 현황을 분석하여 이 지역이 직면한 환경부하의 실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김포, 파주, 동두천, 양주 등 서울과 근접한 서남부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개발 압력이 높아지고 있으며, 토지규제 기반의 생태서식지 보전정책에 대한 저항 정서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오염배출 시설의 입지가 서부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높아지고 있으나 수질$.$폐기물 관련 환경관리 기반시설이 미비하여 환경훼손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접경지역의 환경부하에 대한 체계적인 대책이 요청된다.

  • PDF

Mixed Use Complex 디자인에 관한 연구 -업무/상업/문화오락/주거기능 복합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ixed Use Complex Design)

  • 이혜진
    • 디자인학연구
    • /
    • 제21권
    • /
    • pp.207-217
    • /
    • 1997
  • Mixed Use Area (Multifaceted Integration) is getting increasingly demanded since it has several merits such as preventing CBD from being emptied during night time, making daily life comfortable and utilizing the land more efficiently. However, the characteristic of Mixed Use Area -as advantages of it-, which is that it combines residence, retail, office, cultural, entertainment facilities altogether could be regarded as a weakness when it is viewed from each functions' original purposes such as residential and retail areas'. Accordingly, it is needed to do basic research and develop design guidelines of the Mixed Use Area to prepare its another take-off.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oretical background of Mixed Use Area's birth, understand its status quo by examining examples overseas and presented possible standardized ways of developing it.

  • PDF

유역의 토지이용과 오염원 현황이 수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Land Use and Pollutant Source Effect on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atershed)

  • 정광욱;장재호;김형철;윤춘경
    • 생태와환경
    • /
    • 제39권1호통권115호
    • /
    • pp.41-51
    • /
    • 2006
  • 본 연구는 전형적인 비도시 유역인 화옹유역을 대상으로 토지이용과 인구 및 축산의 사육두수를 이용하여 수질항목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화옹담수호로 유입되는 3개의 주요하천의 수질을 평가한 결과 남양천의 N1과 N2지점과 어은천의 E3지점이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 지점에 설치중인 하수처리장이 완공될 경우 화옹담수호로 유입되는 하천수질개선과 담수호로 유입되는 부하량이 상당히 감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토지이용과 하천수질과의 상관성 분석결과 주거지역의 경우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생활하수의 유입이 직접적인 원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도시 유역에서는 형성된 주거지역의 정화조의 정비와 하수처리장 신설, 하수관거 정비 등의 관리가 필요하며, 본 연구지역과같이 하구담수호가 위치한 지역에서는 더욱 중요하고 간척지토지이용에서도 고려해야 하는 사안이다. 논의 경우에는 수질항목들과 유의성을 갖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는데, 논은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측면보다 하천생태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인구와 수질과의 상관분석결과 낮은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단위면적당 인구수로 분석했을 때에는 비교한 결과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인구수로 유역의 오염물질 배출을 평가하기 보다는 밀도를 고려해서 평가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축산의 경우는 단위면적당 오염원을 고려하여 평가한 경우 사육두수로 평가하는 것 보다 합리적인 결론을 보였으나 상관성은 높지 않았다. 본 연구는 토지이용과 인구와 축산 등 오염원자료를 이용하여 수질항목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이며 비도시 유역의 오염부하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며, 유역특성이 유사한 지역에서는 본 연구와 유사한 방법으로 유역내 오염원 특성을 파악하여 합리적인 관리계획을 세우는데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로드킬의 발생현황과 원인조사를 통한 야생동물 치사감소방안에 대한 연구 - 대전~서산 구간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Status and Cause of the Road Kill for Wildlife Killing Reduce - A Case Study of National Road in Daejeon~Seosan Section -)

  • 권형근;최윤호;김명준;이준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99-109
    • /
    • 2008
  • 본 연구에서 충청남도의 국도 121 km를 대상으로 로드킬 현황조사를 6회에 걸쳐 실시한 결과 총 94개체가 발견되었다. 그리고 도로의 구조에 따른 로드킬 발생현황은 2차선 44회(1.13회/km), 3차선 1회(1.90회/km), 4차선 23회(0.35회/km)로 나타났다. 또한, 도로의 토지이용에 따른 로드킬 발생은 산지와 농경지의 경우 26회, 농경지와 농경지의 경우 25회, 산지와 산지의 경우 20회 등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야생동물의 로드킬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로의 구조 및 시설물 등에 대해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 PDF

인천 1호선전철 역세권의 변화 및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ation and Development of Railroad Station Zones on Incheon Metro Train Rail Line 1)

  • 박만희;안경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7-39
    • /
    • 2009
  • 인천광역시는 1999년 10월 도시철도1호선 개통에 따른 역세권 개발은 대규모 도시계획사업이지만 역주변의 토지이용을 특성화 하지 못하여서 교통 혼잡 발생과 이용자의 불편을 초례하고 도시문제가 개선되기 못하고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천 1호선 전철의 역세권 주변 인구 및 토지이용현황 등을 분석하여 도시전체에 대한 합리적인 기능의 배분과 적정한 개발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각 역세권의 기능과 목적을 고려하였다. 각각의 역세권 유형별 특성변화를 분석하여 향후 건설될 역세권에 대한 건설로 발생하게 될 파급효과와 교통 및 토지이용의 변화를 고려한 통합적이고 특성화된 역세권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서울시 무주택 청년가구의 주거지원 정책이용 의사 영향요인 분석: 가구 및 정책특성을 고려하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the Housing Support Policy of 2030 Households in Seoul: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and Policy)

  • 성진욱;송기욱;정기성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3호
    • /
    • pp.57-68
    • /
    • 2022
  • 본 연구는 서울시 무주택 취약계층 2030가구를 대상으로 향후 청년주거지원 정책의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과 그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시사점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가구특성과 정책특성 변수를 포괄적으로 분석 모형에 적용하여 최근의 상황에서 청년계층의 주거불안 상황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이 낮을수록, 경제활동을 하는 청년인 경우, 원룸에 거주하는 경우, 월세로 사는 경우, 코로나 시기 고용부문 상황이 나아진 경우, 청년주거지원정책을 인지하고 있던 경우 주거지원정책에 향후 이용의사가 있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기존의 청년 주거지원 사업에 대해서 더욱 강화하고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청년 주거지원 정책들에 대한 정보전달 체계를 효율화하고 사회초년 청년계층을 위한 정교한 주거지원정책이 필요하다.

북한지역 산업단지 적지선정을 위한 GIS 적용 (A GIS Approach to Select a Suitable Site for Industrial Complex in North Korea)

  • 이근수;정종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241-249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GIS 분석기법에 의해 북한의 경제활동에 최적인 산업입지 지역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남포지역이 사례지역으로 선정되었다. 이는 환경적 요인과 사회문화적 요소에 의해 최적의 입지지역을 구분하기 위함이다. 두 번째로 자연환경 요소인 토지이용 상태와 지형요소가 분석되었다. 토지피복도와 식생지수 분포도가 작성되었고, 고도와 경사도 등을 분석하기 위해 수치고도모형이 작성되었다. 재해영향평가의 수단인 USLE는 산업단지 개발사업 도중의 환경변화를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제안되어 본 연구에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GIS와 USLE의 분석에 의해 환경변화를 최소화하는 최적의 산업입지지역 선정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Growth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of Epilobium hirsutum L., a class II endangered wildlife species

  • Kwang Jin Cho;Hyeong Cheol Lee;Sang Uk Han;Hae Seon Shin;Pyoung Beom Kim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7권4호
    • /
    • pp.282-289
    • /
    • 2023
  • Background: As wildlife habitats are being destroyed and growth environments are changing, the survival of animals and plants is under threat. Epilobium hirsutum L., a species that inhabits wetlands, has held legally protected status since 2012. However, no specific measures are currently in place to protect its habitat, leading to a decline in remaining populations as a result of land use change and human activities. Results: The growth environment (including location, climate, land use, soil, and vegetation) of the five habitat sites (Samcheok, Taebaek1, Taebaek2, Cheongsong, Ulleung) of E. hirsutum L.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se habitats were predominantly situated in flat areas with gentle south-facing slopes, at an average altitude of 452.7 m (8-726 m) above sea level in Gangwon-do and Gyeongsangbuk-do.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ranged 11.5℃ (9.2℃-12.9℃), whereas the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ranged 1,304.5 mm (1,062.7-1,590.7 mm). The surrounding land use status was mainly characterized by mountainous areas, and human interference, such as agricultural land and roads, was commonly found in proximity to these natural habitats. Soil physicochem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soil was predominantly sandy loam with a slightly high sand content. The average pH measured 7.64, indicating an alkaline environment, and electrical conductivity (EC) averaged 0.33 dS/m. Organic matter (OM) content averaged 66.44 g/kg, available phosphoric acid (P2O5) content averaged 115.73 mg/kg,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averaged 23.43 cmolc/kg. The exchangeable cations ranged 0.09-0.43 cmol+/kg for potassium (K), 10.23-16.21 cmol+/kg for calcium (Ca), 0.67-4.94 cmol+/kg for magnesium (Mg), and 0.05-0.74 cmol+/kg for sodium (Na). The vegetation type was categorized as E. hirsutum community with high numbers of E. hirsutum L., 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 Zucc.) H. Gross, Phragmites japonica Steud.,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and Bidens frondosa L.. An ecological flora analysis, including the proportion of lianas, naturalized plants, and annual herbaceous plants, revealed that the native habitat of E. hirsutum L. was ecologically unstable. Conclusions: Analysis of the habitat of E. hirsutum L., a class II endangered wildlife species, provided essential data for local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efforts.

토지이용 유형별 도시열섬강도 분석 (Urban Heat Island Intensity Analysis by Landuse Types)

  • 제민희;정승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12
    • /
    • 2018
  • 하절기 폭염은 도시환경의 질적 저하, 온열질환자 증가 등의 원인으로 도시열섬현상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 상황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폭염이 심각하게 발생한 시기의 기상측정정보를 수집하여 토지이용 유형별로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기상측정정보는 통신망으로 연결된 소형 자동기상 측정장비(AWS)로 소형화를 통해 기존의 일반적인 측정장비보다 측정지점의 간격이 현격히 줄어든 장점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토지이용 유형별 기온변화의 차이를 분석할 수 있었고, 시간대별 토지이용별 열섬강도 비교를 통해 열대야 현상 발생 패턴, 녹지의 온도저감 효과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기상정보 측정과 지도화, 시간대별 토지이용별 비교분석 방법론과 분석 결과는 향후 열섬 저감을 위한 도시계획수립 시 참고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아틀라스 개념을 적용한 공간정보서비스 방안 - 토지피복지도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Spati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he Concept of Atlas - A Case Study of Land Cover Map -)

  • 홍상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53-159
    • /
    • 2012
  • 최근 들어 일반인의 공간정보 활용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토지피복지도를 비롯한 국가공간정보의 구축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공간정보서비스가 미비하여 일반인의 공간정보 활용 증대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용 지리부도를 통해 우리에게 익숙한 아틀라스의 개념을 적용하여 일반인의 토지피복지도 활용을 증진할 수 있는 공간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국내 토지피복지도의 활용 현황 및 해외사례를 검토하여 콘텐츠, 사용자, 활용 시스템의 측면에서 토지피복지도를 활용한 공간정보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아틀라스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아틀라스정보시스템의 특성과 기능을 정의하였으며, 환경공간정보서비스 제공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토지피복지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가공간정보에 적용 가능하므로 일반인의 국가공간정보 활용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