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miaceae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5초

LPS로 유도한 대식세포에서 Nitric Oxide 생성을 저해하는 쉽싸리 성분의 분리 (Isolation of the Constituent Inhibiting Nitric Oxide formation from Lycopus lucidus in LPS-induced Macrophage Cells)

  • 박희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64-269
    • /
    • 2019
  • 쉽싸리(L. lucidus)가 가지는 효능의 하나로 알려진 항염증효과의 활성물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항염효과는 LPS로 활성화한 macrophage 264.7이 생산하는 NO의 감소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쉽싸리 추출물에서 얻은 비극성 분획물인 $CHCl_3$ 분획물은 농도의존적으로 현저히 NO 생산을 감소시켰다. 이에 비해 극성 분획물인 BuOH 분획물은 그 효과가 약하였다.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이 $CHCl_3$ 분획물로부터 주요 화합물인 ursolic acid를 분리하고 분광학적 방법으로 동정할 수 있었다. 효과가 약하였던 BuOH 분획물로부터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와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로 이 분획의 주요 화합물인 rosmarinic acid를 분리하고 역시 분광학적 방법으로 동정하였다. Ursolic acid는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산을 억제하였으나 rosmarinic acid는 그 효과가 상대적으로 약하였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쉽싸리의 항염효과는 주로 ursolic acid의 존재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쉽사리속(Lycopus속, 박하족-꿀풀과) 화판 및 악편 미세형태의 분류학적 검토 (The taxonomic consideration of petal and sepal micromorphology in Lycopus L. (Mentheae-Lamiaceae))

  • 문혜경;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3-285
    • /
    • 2004
  • Lycopus속 15종의 화판(petal)과 악편(sepal)의 미세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과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Lycopus속 분류군들의 화관과 악에 분포하는 모용과 선모는 단세포 원주모(unicellular cylindrical trichome), 표면에 돌기가 있는 단세포 모용(unicellular trichome with papillae), 다세포 모용(simple multicellular trichome), 두상선모(capitate glandular trichome) 및 방패형 선모(peltate glandular trichome) 등 5 종류로 나타났으며, 모용의 종류, 분포, 밀도가 분류군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화관 안쪽면에 단세포 원주모(unicellular cylindrical trichome)의 분포 정도가 각 분류군마다 다르게 나타나, 그 분포 부위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악(calyx)은 악편이 갈라지는 정도와 악편 정단(apex)의 모양으로 4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었다. 화판과 악편의 안쪽 빛 바깥면을 구성하는 세포의 형태는 그 위치와 분류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관찰된 Lycopus속의 화판 및 악편 미세형태를 검토한 결과 종간 식별에 유용하였다.

단삼(丹蔘) 추출물의 흰쥐 흉부 대동맥 이완 효과 (Vasorelaxant effect of Salvia miltiorrhiza Radix extract on isolated rat aorta)

  • 김현영;김영균
    • 혜화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5-94
    • /
    • 2013
  • 단삼(丹蔘) (Salvia miltiorrhiza)은 꿀풀과(일과(―科) Lam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약용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재배하고 있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상품(上品)에 수재(收載)되어 있으며, 거어지통(祛瘀止痛), 양혈소종(凉血消腫), 청심제번(淸心除煩), 활혈조혈(活血調血) 등의 효능이 있어 부인과 질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약재에 속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삼(丹蔘) 추출물이 흰쥐의 흉부 대동맥 절편에 어떠한 양상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단삼 추출물 특히 헥산 분획에서 강력한 혈관 이완 작용이 나타났으며, 혈관 내피 세포의 존재 유무에 상관없이 농도 의존적으로 혈관을 이완시켰으나 혈관 내피 세포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더욱 강력한 혈관 이완 작용을 보였다. 이러한 과정에 NO에 의한 cGMP 증가가 주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칼슘 통로 차단 효과에 의한 세포 내 $Ca^{2+}$의 감소도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In Vitro Flowering Response of Ocimum basilicum L.

  • Sudhakaran, S.;Sivasankari, V.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권4호
    • /
    • pp.179-181
    • /
    • 2002
  • Nodal explants of Ocimum basilicum L. (Sweet basil, Lamiaceae), showed shoot proliferation after 7-10 days on MS media containing 1.5 mg/L kinetin. In vitro flowering was achieved from 90% of the shootlets which were sub cultured on a half strength MS media fortified with 5 mg/L BAP and 1 mg/L IAA. Cytokinin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CA_3$and NAA resulted in shoot proliferation only. For rooting the plantlets were subcultured on MS basal medium supplemented with 3 mg/L NAA and rootlets emerged after 10 days of incubation. The survival percentage of transplanted plantlets was 70%.

영상처리를 이용한 식용 들깻잎 등급 자동화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Grading System for the Green Perilla Leaves Using Image Processing)

  • 정쌍양;장동일;방승훈;이승주;조한성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3-308
    • /
    • 2003
  •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는 꿀풀과(Lamiaceae)에 속하는 1년생초로써 키는 60-90cm 정도이며, 줄기는 네모지고 곧게 서며 긴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원형으로 뾰족하며 밑부분은 둥글다. 잎은 길이 7-12cm, 나비 5-8cm로 톱니가 있고 앞면은 녹색이지만 뒷면에는 자줏빛이 돈다. 들깨는 식용계란, 돼지고기, 양식어류 등의 생산을 위한 기능성 보조식품의 사료와 한방에서는 만성위염, 기침, 위산과다 등의 약용으로도 쓰이고 있다. 또한 들깻잎은 특유의 향취로 인해 육류나 생선회, 영양탕 등의 음식점에서 상추와 함께 대량소비가 되고 있다. (중략)

  • PDF

Melissa parviflora Benth. A Review on its Ethnobotany,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ical profile

  • Khan, Afshan;Siddiqui, Aisha;Jamal, Anwar
    • 셀메드
    • /
    • 제9권4호
    • /
    • pp.3.1-3.6
    • /
    • 2019
  • Melissa parviflora Benth. is an aromatic perennial herb of Lamiaceae family. It is one of the most influencial plant and used from centuries in Unani system of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malady such as Epilepsy (mirgi), hemiplegia (falij), migraine (shaqeeqa), insomnia (sehar), indigestion (sue hazm) and palpitation (khafqaan) etc. The Persian physician Avicenna endorsed it for heart problems. It has antitubercular, antipyretic, analgesic and stomachic properties, also used to remove bad breath from mouth, strengthen the gums but its main action is as a tranquillizer and nervine relaxant, it is greatly esteemed for its calming properties. Preliminary performed phytochemical analysis revealed that tannin, flavonoid and saponins are the major components of the plant extract. The plants containing saponins or flavonoids exhibit anticonvulsant activity whereas the flavonoids show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cytotoxic-antitumor etc. Keeping in view the tremendous medicinal importance of the plant Badranjboya in Unani Medicine, this review provides updated information on its phytochemistry, therapeutic uses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New records of flowering plants of the flora of Myanmar collected from Natma Taung National Park (Chin State)

  • Kang, Dae-Hyun;Ling, Shein Man;Kim, Young-Dong;Ong, Homervergel 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99-206
    • /
    • 2017
  • The last four years of joint botanical collections by the governments of Myanmar and South Korea in Natma Taung National Park and adjacent areas in the Chin State of Myanmar have revealed the presence of 20 naturally occurring species of angiosperms new to the flora of Myanmar. Plants not previously recorded include species originally considered to be only found in neighboring mega-diverse countries. Examples (e.g., for India) include Boehmeria manipurensis Friis & Wilmot-Dear (Urticaceae), Trigonotis hookeri Benth. ex C. B. Clarke (Boraginaceae) and Mycetia radiciflora (C. B. Clarke) Airy Shaw (Rubiaceae); those for China include Microtoena delavayi Prain (Lamiaceae), Pimpinella kingdon-wardii H. Wolff (Apiaceae) and Senecio diversipinnus Y. Ling (Asteraceae). The data presented in this report are expected to be useful sources for phytogeographical studies of these species.

Holomorph and phylogeny of Neoerysiphe galeopsidis found on Lamium album subsp. barbatum in Korea

  • In-Young Choi;Lamiya Abasova;Joon-Ho Choi;Byoung-Ki Choi;Hyeon-Dong Shin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35-139
    • /
    • 2023
  • Since the first record of an anamorph of Neoerysiphe galeopsidis (syn. Erysiphe galeopsidis) on Lamium album subsp. barbatum in Korea in 1992, no scientific information has been added. Seven additional anamorphic samples (2003-2022) and one teleomorphic collection (November 2022) of N. galeopsidis on L. album subsp. barbatum in Korea enabled us to provide holomorph morphology and phylogeny of this powdery mildew for the first time. The presence of aerial hyphae around the chasmothecia was proposed and documented for the first time.

소구상체(Orbicules)의 계통분류학적 검토 (The phylogenetic potential of orbicules in angiosperms)

  • 문혜경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9-23
    • /
    • 2018
  • Orbicule(소구상체)의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꿀풀과에 속하는 6속 11분류군과 마편초과 3속 4분류군의 약벽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문헌조사를 통해 현화식물 내 소구상체의 분포가 갖는 계통분류학적 유용성 및 융단조직 유형과의 관련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꿀풀과 분류군들에서는 모두 소구상체가 관찰되지 않았고, 마편초과 분류군들에서는 평균 $1{\mu}m$ 이하, 구형의 소구상체들이 조밀하게 분포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과 수준에서 일관성 있는 소구상체의 분포 특징은 현화식물 전체 orbicules에 대해 조사된 150과 중 123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소구상체의 분포 유형 자체가 분류학적 예견적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융단조직 유형이 확인된 분류군들 중 분비형 융단조직을 갖는 분류군의 약 84%에서 소구상체가 나타나고, 아메바형 융단조직을 갖는 분류군의 약 80%은 소구상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어 소구상체의 발달이 융단조직 유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현재까지 수행된 소구상체 연구는 현화식물 전체 416과들 중 150과에 제한되어 있고, 이들 분류군들 중 융단조직 유형은 92과에서만 알려져 있어 소구상체의 기능 및 융단조직 유형과의 유연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광범위한 분류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긴병꽃풀속(Glechoma L. 꿀풀과) 및 근연분류군의 소견과 형태에 관한 연구 (The nutlet morphology of the genus Glechoma L. (Lamiaceae) and its related taxa)

  • 장태수;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0-58
    • /
    • 2010
  • Glechoma속 4종(G. grandis, G. hederacea, G. hirsuta, G. longituba)과 Nepetinae아족 중 Glechoma속과 가장 근연 분류군인 Agastache속, Dracocephalum속, Marmoritis속, Meehania속, Nepeta속 일부 분류군의 소견과 특징을 주사전자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통하여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된 분류군의 소견과 모양은 난형에서 타원형으로 나타났다. 소견과 크기는 길이 1.36-3.83 mm, 폭 0.80-2.65 mm로, Marmoritis rotundifolia가 가장 크고, Agastache nepetoides가 가장 작았다. 소견과의 표면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Type I은 Agastache속으로 표면은 불규칙적으로 돌출되며, 장방형의 세포가 연결되는 유형이고, Type II는 Dracocephalum속으로 표면은 불규칙적이며, 원형의 세포가 움푹 들어간 유형이다. Type III은 Glechoma속, Marmoritis속, Meehania속, Nepeta속으로 표면은 매끄러우며, 세포가 능선으로 연결된 망상형이다. 모용(다세포성 비선모, 단세포성 비선모, 방패형 선모)은 일부 분류군에서 관찰되었다. 과피는 외과피와 중과피, 내과피로 구성되며, 과피의 두께($39.0-237.5{\mu}m$)가 분류군간 큰 차이를 보였다. Glechoma속과 근연속 일부 근연분류군에 대한 소견과의 형태학적 해부학적 형질(소견과의 모양, 표면 무늬, 선모와 모용 분포, 해부학적 구조)을 기재하였고, 그 분류학적 유용성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