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ke

검색결과 2,167건 처리시간 0.033초

영랑호 수질의 공간적 분포 및 개선방안 (Spatial Distribution and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the Youngrang Lake)

  • 허인량;이건호;정원구;권재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41-347
    • /
    • 2017
  • From 2014 to 2016 water quality survey results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depth of Youngrang Lake are as follows: Distribution of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depth was investigated by the middle section and the downstream 1st, 3rd, 5th, when investigating bottem 1m interval anoxic layer. In organic matter and nutrient concentration distribution COD upstream 2.8 mg/L, middle section 4.2 mg/L downstream 4.1 mg/L, more than two times higher in bottem layer and TP concentrations showed a similar trend with COD, upstream of 0.047 mg/L, middle section was 0.051 mg/L, downstream of 0.059 mg/L. There was a difference in salinity every survey period the average salinity is lowest with 28.5‰ when the second survey. And the highest with 32.1‰ in the fourth investigation. Korean trophic state index($TSI_{KO}$) were showed eutrophic conditions in the middle section and downstream else showed mesotrophic state in the entire period. In order to evaluate the cause of water pollution Youngrang lake,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alinity and DO, COD, TN, TP, Chl-a results, $R^2$ is from 0.63 to 0.95 Youngrang lake water quality was foun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salinity due to inflow of seawater. As a resul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Youngrang lake efficient incorporation of the amount of water through the seawater influent as it is considered the key.

횡성호 일대의 어류군집 동태 (Study on the Dynamics of the Fish Community in the Lake Hoengseong Region)

  • 최재석;신현선;박승철;최준길
    • 생태와환경
    • /
    • 제38권2호통권112호
    • /
    • pp.188-195
    • /
    • 2005
  • 2000년부터 2004년까지 5년간 횡성호 일대의 어류군집 동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동안 출현한 어류는 총 10과 39종이었으며 이 중 한국고유종은 Rhodeus pseudosericeus 등을 포함하여 총 17종 (43.59%) 이었다. 우점종은 Acheilognathus lanceolatus (20.10%), Zacco platypus (15.94%), Z. temmincki (6.92%), Carassius cuvieri (6.33%), A. rhombeus (6.18%), Pungtungia herzi (5.13%), Pseudorasbora parva (4.93) 등이었다. 조사시기별 출현종을 근거로 생활형에 따른 어류군집은 담수가 되면서 점차 저서성 어종의 수가 감소하였고 부유성 어종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시기별 유사도 분석을 한 결과 각 조사시기는 비가중치 평균연결법 (UPGMA)에 의해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한편 다른 인공호와 본 조사의 어류상을 근거로 유사도 분석을 한 결과 수계에 따라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으며 같은 수계 내에서 다시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이 중 횡성호 어류군집의 현재 상태는 북한강 중류의 춘천-청평호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동호의 시기별 및 계절별 수질변화 평가 (Assessment of Seasonal Variation in Water Quality in Daedong Lake)

  • 윤진주;강세원;박종환;서동철;김현우;조주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97-203
    • /
    • 2020
  • BACKGROUND: Most lakes have increased concerns about water pollution due to the inflow of non-point sources caused by human activities. Therefore, the lake water quality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propose effective plans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lakes and the change of water quality. METHODS AND RESUL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in Daedong lake, water quality analysis was undertaken from July 2018 to June 2019. Water temperature was ranged from 7.8 to 34.3℃ and pH varied from 6.9 to 10.2.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oxygen, Suspended solid,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and Chemical Oxygen Demand (COD) were 5.6 ~ 17.2 mg/L, 2.4 ~ 35.3 mg/L, and 4.5 ~ 15.1 mg/L, and 0.9 ~ 2.8 mg/L, respectively. The Total Nitrogen (T-N) concentration ranged from 0.974 ~ 2.126 mg/L, and Total Phosphorus (T-P) concentration ranged from 0.014 ~ 0.057 mg/L. The Chlorophyll-a (Chl-a) ranged from 2.7 ~ 37.9 mg/㎥. Through Carlson TSIm assessment using T-P and Chl-a results, evaluating trophic state, Daedong lake was evaluated as mesotrophic. CONCLUSION: Water pollution management plan needs such as nutrient removal technology and nonpoint source management for prevention of eutrophication in Daedong lake.

댐호화된 하천의 조류 과다 발생원인과 해소 방안 - 낙동강 물금 지역의 수질 분석 데이터를 중심으로 - (Causes and Overcoming of the Algae Excess in a Dam Water - Based on the Data of Water Quality Analysis of Mulgum Area -)

  • 양시천;하첨첨;강태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1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term of decade of water quality data of the Mulgum intake station on the Nakdong river(dam) to find the cause of algal blooms and to set an alternative to prevent artificial lake water pollution. Our study shows that water quality changes have regular periodic regularity and there was a certain correlation between specific analytical item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each factor, the decline in precipitation was not the main reason for algal blooms. TP concentration had a slight effect on Chl-a concentration but was not a limiting nutrient of a bloom. TN concentration had a strong correlation with Chl-a and strong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emperature, but was not a bloom's limiting nutrient, and was only a dependent variable. As the temperatur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hl-a concentration, it is found that the aspect of the ecological influence of the temperatur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phytoplankton concentration change. The N/P ratio lies under a power function with a high degree of reliability by the TP concentration, and the phenomenon appeared to be the same as the results of two other comparative areas. This result confirms that TN is dependent on TP and the biota in the lake that TN is a dependent variable whose concentration is determined by TP it. In conclusion, the increase in lake bloom is the result of a food chain change, and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ecosystem by the food chain in the lake in order to reduce the lake's bloom.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keep the benthic ecosystem as wide as possible in the aerobic state.

임진강 수역의 자연 하적호 장좌못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at Jangjwa Lake, a Natural River Bed Lake in the Imjin River)

  • 윤숙경;이경
    • 생태와환경
    • /
    • 제35권2호통권98호
    • /
    • pp.103-110
    • /
    • 2002
  •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장좌리에 위치한 자연 하적호인 장좌못을 대상으로 이화학적 환경요인 및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조사가 2000년 7월부터 2001년 4월까지 계절별로 실시되었다. 총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112종류로 5문에 속하는 83종. 30변종, 1변품종, 1품종, 17미동정종으로 구성되었다. 조사 시기 전반에 걸쳐 녹조류 및 돌말류의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2001년 1월 $5,742{\times}10^3\;cells/l$의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2001년 4월 $2,943{\times}10^3\;cells/l$의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년 중 $3,000{\times}10^3\;cells/l$이상의 대발생을 나타내었으며 겨울철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주요 우점종으로는 Aulacoseira granulata, Chlamyodomonas nivalis v. kobayasii, Dinobryon sertularia, Mougeotia sp., Uroglenopsis americana 등을 볼 수 있었으며 이들 중 낮은 수온에서 주로 출현하는 Chlamydomonas nivalis v. kobayasii는 겨울철의 주요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장자못의 생태학적 연구 제II보 춘계 장자못의 기초생산 (Ecological Studies of the Lake Changjamot II. Primary Production in Lake Changjamot During Spring Season)

  • 엄규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7권2호
    • /
    • pp.53-62
    • /
    • 1974
  • A study was made on the primary production of Lake Changjamot during the spring season of 1973 by menas of the oxygen method. The stratification of temperature and dissolved oxygen were formed in May with the stratified structure of phytoplankton. The range of Secchi disc transparency was from 0.8m to 2.3m during the nine months of this investigation, which was begun in January, 1973. The value was lowest in early June when the phytoplankton blooming reached the peak. The concentration of PO4-P, NH3-N, NO3-N and NO3-N was reduced at the beginning of the phytoplankton blooming and increased again after May except PO4-P. It might have been caused by the inflow of the nitogenous fertilizer from the surrounding agricultural area since May when farming was started. The total amount of chlorophyll-a in the entire water column varied from 25mg/$m^2$ to 277mg/$m^2$ from January till September with the maximum value occurring in early June. These values show a considerable eutrophication of the in comparison with the data obtained in 1969. The daily gross production in the lake varied from a low of 655mgC/$m^2$ to a high of 2,859 mgC/$m^2$ during the spring season and this corresponds to the variation of the amount of chlorophyll. The total amount of daily respiration varied from 650mg C/$m^2$ in winter to 2,307 mg C/$m^2$ in late spring and exceeds gross primary production especially in late May showing the negative balance of daily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organic material at that time. In conclusion, Lake Changjamot is a fairly productive and a moderately autotrophic lake and has been eutrophicated much during the past four years.

  • PDF

Impact of the Mekong River Flow Alteration on the Tonle Sap Lake in Cambodia

  • Lee, Giha;Kim, Joocheol;Jung, Kwansue;Lee, Hyunseok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31-231
    • /
    • 2015
  • Rapid development in the upper reaches of the Mekong River, in the form of construction of large hydropower dams and reservoirs, large irrigation schemes, and rapid urban development, is putting water resources under stress. Many scientific reports have pointed out that cascade dams along the Mekong River lead to serious problems: not only hydrologically but also a decline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due to a decrease of sediment supply in the Mekong Delta and a change of fish amount due to drastic change of the water environment. Cambodia and Vietnam, located in the lowest Mekong basin, are gravely affected by radical changes of hydrologic regime due to Mekong River developments. In particular, the Tonle Sap Lake in Cambodia is very sensitive to the flood cycle and flow variation of the Mekong River as well as inflow water quality from the Mekong River. More than 50% of Cambodian GDP depends on the primary industries such as agriculture, fishing, and forestry, and the Tonle Sap Lake plays an important role to support the national economy in Cambodia. In addition, Cambodian people usually take nourishment from the fish of Tonle Sap Lake. This research aims to assess the impacts of the Mekong river flow alternation on the hydrologic regime of the Mekong River - Tonle Sap Lake. We carried out rainfall-runoff-inundation simulation using CAESER-LISFLOOD for integrated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the Tonle Sap Basin and then analyze flood inundation variation of the Tonle Sap Lake due to the scenarios. Furthermore, the simulated inundation maps were compared to MODIS satellite images for model verification and hydrologic prediction.

  • PDF

Connected Data Architecture 개념의 확장을 통한 AI 서비스 초안 설계 (Draft Design of AI Services through Concept Extension of Connected Data Architecture)

  • 차병래;박선;오수열;김종원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7권4호
    • /
    • pp.30-36
    • /
    • 2018
  • DataLake 프레임워크와 같은 단일 도메인 모델은 비즈니스 시스템의 규모 확장과 대량의 다양한 데이터들이 생성되는 빅데이터 환경, 그리고 데이터를 보다 스마트하게 처리하여 효율성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논리적인 단일 도메인 모델은 컴퓨팅 리소스의 유한함과 공유 경제에 의한 물리적으로 분할된 멀티 사이트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네트워크, 스토리지, 그리고 컴퓨팅 자원의 효율적 운영이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Data Lake 프레임워크의 장점들을 기반으로 다양한 영역의 멀티 사이트들을 통합 및 데이터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기 위한 DataLake 프레임워크의 Connected Data Architecture 개념과 기능들의 확장을 통한 다양한 응용 영역에 활용 가능한 CDA 기반 AI 서비스의 초안 설계 및 시나리오를 제안하고자 한다.

수질평가지수를 이용한 시화호 내측 및 외측 해역의 시·공간적 수질 변화 평가: 조력발전소 가동에 따른 영향 연구 (Evaluation of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Lake Shihwa and Outer Sea by Using Water Quality Index in Korea: A Case Study of Influence of Tidal Power Plant Operation)

  • 나공태;김종근;김은수;김경태;이정무;김성근;김의열;이승용;박은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2-114
    • /
    • 2013
  • 인공호수인 시화호 유역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고도로 산업화가 진행되고 있는 지역 중 하나이며 현재 조력발전소 가동으로 인한 수질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2012년 동안 총 14회에 거쳐 시화호 내 외측의 투명도, 저층 용존산소 포화도, 용존무기인, 용존무기질소 및 클로로필-a의 조사결과를 개정된 수질평가기준(수질평가지수, WQI)에 적용하여 시화호 주변해역의 시 공간적 수질변화 특성과 조력발전소 가동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수질평가지수는 시화호 내측의 산업단지 주변과 외측의 하수처리장 방류구 주변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각각 시화방조제와 외해역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수평분포 특성을 나타내었다. 시화호 내 외측의 수질은 주로 시화호 유역의 산업지역, 도심지역 및 농촌지역에 산재하는 비점오염유출과 하수처리장 방류에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화호 내측 수질평가지수는 2011년 평균 53.0(IV 등급, 나쁨)에서 2012년 평균 42.8(III 등급, 보통)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조력발전소 가동이 해수교환량을 증가시켜 저층 빈산소 환경이 약화되어 시화호 수질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화호 외측 수질평가지수는 2011년과 2012년 각각 37.4와 35.3으로 모두 보통(III 등급)의 수질상태를 보여 조력발전소 가동 이후 내측 해수의 외측 방류에 의한 수질 오염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군집분석 결과, 산업단지 주변의 시화호 상류지역은 조력발전소 가동을 통한 수질개선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우가 집중되는 여름철에 수질이 악화되고 있어 시화호 전체 수질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하천이나 우수토구를 통한 비점오염물질 관리 및 저감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통계분석을 이용한 새만금호의 수질특성 평가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emangeum Lake Using Statistical Analysis)

  • 김종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97-306
    • /
    • 2023
  • 새만금호는 우리나라 최대의 인공호수로 호수의 수질은 갈수록 악화되어 가고 있어 호수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수질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새만금호의 국가수질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분석 기법에 의한 새만금호의 시공간적 수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질항목간의 상관성에서 수온과 TP는 상관성이 있고, 염분과 TN, 그리고 pH와 COD가 상관성이 높았다. 그 외 항목들 간에는 낮은 상관성을 나타내어 관련성이 낮았다.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새만금호의 공간적 수질특성을 보면, 크게 4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는데, 담수 영향구역과 해수 영향구역,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중간 수역이 2개 그룹으로 구분되어 각각 다른 수질특성을 나타내었다.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시간적 수질특성은 계절적으로 4가지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그룹I은 늦봄과 초여름에 해당되는 5, 6월이고, 그룹 II는 계절적으로 초봄(3, 4월)과 늦가을(11, 12월)에 해당되는 시기로 나타났으며, 그룹 III은 낮은 수온에 의한 용존산소의 증가가 나타나는 계절인 겨울철(1, 2월)의 수질 특성을 보였고, 그룹 IV는 하계(7, 8, 9, 10월) 성층의 발달로 저층 퇴적물의 높은 인농도와 하계 고수온의 상관성을 가지는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이는 새만금호가 인위적으로 조성된 호수로써 상류 만경강과 동진강의 유입 영향을 받는 것과 동시에 새만금 방조제에 설치된 가력과 신시갑문을 통한 외해수 유입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수질의 변동요소가 달라진 것으로 평가된다. 새만금호의 목표수질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류 유역의 오염원 관리 대책과 함께 새만금호의 수질관리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