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dislabia taczanowskii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한국산 냉수성 어류 새미(잉어목, 잉어과)의 분포현황 및 멸종위협평가 (Distribution Status and Extinction Threat Evaluation of Ladislabia taczanowskii (Cypriniformes, Cyprinidae), a Cold Water Fish in Korea)

  • 최광식;배양섭;고명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4-43
    • /
    • 2022
  • 한국산 냉수성 어류 새미 Ladislabia taczanowskii Dybowski의 분포양상 및 서식지 특징, 멸종위협을 평가하기 위해 2021년 3월부터 8월까지 분포조사를 실시하였다. 과거 출현기록은 1997~2005년, 2006~2012년, 2013~2019년으로 구분하였고, 분포조사는 169개 지점을 조사하여 72개 지점에서 1,040개체가 채집되었다. 서식이 확인된 지역은 남한강(27지점), 임진강(17지점), 북한강(16지점), 삼척오십천(4지점), 연곡천(3지점), 강릉남대천(2지점), 전천(1지점), 추천(2지점)이었다. 새미의 주 서식지는 고도가 300 m 이상의 상류로 유폭은 2~30 m, 수심은 0.3~1.5 m이며 하상은 큰돌의 비율이 50~90%, 돌의 비율이 10~50%인 곳이었다. 새미의 위협요인으로는 보의 축조와 댐건설, 교량공사, 골재 채취 등의 하천공사와 생활 하수유입, 유원지, 태풍으로 인한 홍수 및 복구공사 등이었다. IUCN 평가기준에 따른 멸종위협 등급은 2010~2019년 대비 서식지 감소율(36.1%), 출현범위(7,820 km2), 점유면적(288 km2), 지소수(19개), 서식지 질 하락 등을 근거로 취약(Vulnerable, VU A2ac)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새미의 보존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송천에 서식하는 새미(Ladislabia taczanowskii)의 생태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achanovsky's Gudgeon, Ladislabia taczanowskii in Songcheon Stream, Korea)

  • 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51-557
    • /
    • 2020
  • 새미(Ladislabia taczanowskii)의 생태적 특징을 연구하기 위해 2019년 3월부터 11월까지 송천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종은 하천 상류역에 분포하며 하상구조는 큰돌(boulder)과 작은돌(cobble)이 풍부였으며, 수심은 31~148 cm이었고, 유속은 0.94±0.23 (0.51~1.39) m/sec로 빨랐다. 암수 성비는 1 : 0.89 이었다. 전장빈도분포도에 따른 연령은 전장 38~70 mm 미만은 만1년생, 70~100 mm은 만 2년생, 100~120 mm은 만 3년생, 120~128 mm은 만 4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생식가능 전장의 크기는 암컷이 70 mm, 수컷은 75 mm 이상이었다. 산란시기는 5월에서 8월까지 이었으며(수온은 15.5~20.1℃), 산란 성기는 6~7월로 추정되었다(수온은 15.8~17.2℃). 산란장은 소에서 여울이 시작되는 부분으로 모래와 자갈로 형성된 하천 바닥이었으며 폭은 약 70 cm, 길이는 약 150 cm, 수심은 20~50 cm이었다. 포란수는 평균 821 (401~1,314)개이었고 성숙란은 짙은 노란색 구형으로 직경이 1.62±0.02(1.43~2.01) mm 이었다. 먹이생물은 부착조류에 속하는 남조류(Cyanophyta), 녹조류(Chlorophyta), 규조류(Bacillariophyta), 수서곤충에 속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과 파리목(Diptera) 등 이었다. 식성은 잡식성 이었으나 섭취된 먹이의 90% 이상은 부착조류로 식물성이었다.

강릉 연곡천의 어류상 (Ichthyofauna in Yeongok Stream, Gangneung, Korea)

  • 김치홍;홍관의;김종화;김경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4-250
    • /
    • 2006
  • 2005년 4월부터 12월까지 매월 강릉 연곡천 5개 지점에서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총 10과 29종이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Zacco platypus (상대풍부도, 29.0%), 아우점종은 Rhynchocypris steindachneri (12.1%)이었다. 한국고유종은 Rhynchocypris kumgangensis 등 6종이 출현하였으며, 인근 하천에 비해 연곡천에만 서식하는 종으로는 Koreocobitis rotundicaudata와 Luciogobius guttatus 2종이 확인되었다. Ladislabia taczanowskii는 지리 분포상 주목되는 종이었다. 연곡천 어류의 종 다양도는 2.521로 높아 서식 종이 다양하고 안정된 군집구조를 이루고 있다.

강릉남대천의 어류군집 변화 및 도입어종의 서식 현황 (Fluctuation of Fish Community and Inhabiting Status of Introduced fish in Gangeungnamdae Stream, Korea)

  • 변화근;오재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18-728
    • /
    • 2015
  • 강릉남대천의 어류군집 변화와 도입된 어종의 서식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9개 지점에서 2013년 9월에서 2014년 5월에 걸쳐 실시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14과 36종 이었고, 멸종위기종에 속하는 가시고기(Pungitius sinensis) 1종이 출현하였다. 한반도 고유종은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을 포함하여 9종으로 고유화빈도가 25.0% 이었다. 우점종은 버들개(Rhynchocypris steindachneri, St. 1), 참갈겨니(Zacco koreanus, St. 2, 4, 5, 6), 새미(Ladislabia taczanowskii, St. 3), 피라미(Zacco platypus, St. 7, 8), 황어(Tribolodon hakonensis, St. 9) 이었다. 한강수계에서 강릉남대천으로 도입된 어종은 새미, 돌고기(Pungtungia herzi),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 긴몰개(Squalidus gracilis majimae), 모래무지(Pseudogobio esocinus), 금강모치(Rhynchocypris kumgangensis), 피라미, 참갈겨니, 새코미꾸리(Koreocobitis rotundicaudata), 퉁가리(Liobagrus andersoni), 꺽지(Coreoperca herzi) 11종이었다. 개체군과 분포역이 급격히 확대되는 도입어종은 피라미, 참갈겨니, 돌고기, 긴몰개 등이었으며 정착되어 안정적인 개체군을 형성하였으며 서식지가 급격히 확대되지 않은 어종은 새미, 쉬리, 버들개 등 이었다. 정착하였으나 개체군이 매우 적은 어종은 꺽지와 퉁가리이었다. 1973년에 비해 개체수 구성비가 3%이상 감소된 어종은 버들개, 종개(Orthrias toni), 북방종개(Iksookimia pacifica), 은어(Plecoglossus altivelis), 가시고기, 꾹저구(Gymnogobius urotaenia) 등 이었고 버들개는 56.1%에서 12.9%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Prevalence of Zoonotic Trematode Metacercariae in Freshwater Fish from Gangwon-do, Korea

  • Cho, Shin-Hyeong;Lee, Won-Ja;Kim, Tong-Soo;Seok, Won-Seok;Lee, Taejoon;Jeong, Kyungjin;Na, Byoung-Kuk;Sohn, Woon-M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2권4호
    • /
    • pp.399-412
    • /
    • 2014
  • The infection status of zoonotic trematode metacercariae was investigated in a total of 2,293 freshwater fish collected from 11 rivers or streams in 9 administrative regions of Gangwon-do, Korea for 5 years (2009-2013). All fish were collected by netting methods and examined using the artificial digestion methods. Clonorchis sinensis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4 fish species, i.e., Pungtungia herzi,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Acheilognathus rhombeus, and Ladislabia taczanowskii, from only Hantangang in Cheorwon-gun. Metagonimus spp. metacercariae were found in 1,154 (50.3%) fish and their average number per infected fish was 55.8. Among the positive fish species, especially Tribolodon hakonensis from Namdaecheon in Yangyang-gun and Plecoglossus altivelis from Osipcheon in Samcheok-si were most heavily infected. Centrocestus armatus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611 (26.7%) fish and the average metacercarial burden per infected fish was 1,032. Two chub species, Zacco platypus and Zacco temminckii were highly and heavily infected with C. armatus metacercariae in almost all regions surveyed. Echinostoma spp. metacercariae were also found in 24 fish from a few localities, but their numbers per fish infected were very low.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 metacercariae of intestinal flukes, especially Metagonimus spp. and C. armatus, were heavily infected, while C. sinensis metacercariae were rarely found in fish from Gangwon-do,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