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casei LP1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A Novel Lactobacillus casei LP1 Producing 1,4-Dihydroxy-2-Naphthoic Acid, a Bifidogenic Growth Stimulator

  • Kang, Jo-Eun;Kim, Tae-Jung;Moon, Gi-Se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78-81
    • /
    • 2015
  • 1,4-Dihydroxy-2-naphthoic acid (DHNA) is a bifidogenic growth stimulator (BGS) and could be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since bifidobacteria are beneficial for human health. For that reason, lactic acid bacteria producing DHNA have been screened. A lactic acid bacterium LP1 strain isolated from a natural cheese was confirmed to produce DHNA, analyzed by a HPLC method.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Lactobacillus casei by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The cell-free supernatant of fermented whey produced by L. casei LP1 presented the BGS activity for three bifidobacterial strains such as Bifidobacterium longum subsp. infantis KCTC 3127, Bifidobacterium bifidum KCTC 3202, and Bifidobacterium breve KCTC 3220 which were human-originate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a L. casei strain which can produce DHNA was firstly identified in this study.

발효 미생물에 따른 포도가공 부산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활성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rape Pomace Fermented by Various Microorganisms)

  • 김경희;윤영식;천세영;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049-105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여러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물질 함량이 높은 포도박의 이용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Bacillus subtilis(BS), Lactobacillus plantarum(LP), L. casei(LC), Candida utilis(CU),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CHY1011(Y1), S. cerevisiae strain ZP 541(Y2), 혼합 발효(M) 등의 여러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포도박을 발효시킨 후 미생물별 포도박 발효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변화 및 항균활성을 탐색하였다. 포도박 발효물의 추출수율은 BS(10.74%) 발효물이 가장 높았고, M(9.71%), Y2(9.60%), CU(9.55%), LC(8.68%), Y1(7.49%%), LP(7.36%) 순이었다. 총 phenol 함량 측정 결과 대조군은 발효한 포도박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발효 균주 중에서는 LP로 발효한 발효물이 가장 큰 값을 나타내었다. 포도박 발효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의 $IC_{50}$값이 0.16 mg/mL로 나와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포도박 발효물의 경우 LP 발효물이 0.28 mg/mL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은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대조군의 $IC_{50}$값이 0.22 mg/mL로 가장 높게 나왔고, 포도박 발효물의 경우 LP 발효물이 0.53 m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FRAP value(5 mg/mL)는 LP로 발효한 시료가 2.44 mM로 가장 높게 나왔으나 대조군의 $12.27{\pm}0.16mM$과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항균활성은 대조군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은데 반해 LC로 발효시킨 포도박 발효액이 5 mg/disc의 농도에서 항균활성에 사용된 모든 균주에 대해 10.5~11 mm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LC배양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생산해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여러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포도박 발효의 경우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시 기능성 물질 생산 증진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리라 사료되며, 특히 L. casei를 이용한 포도박 발효는 항균활성과 같은 기능성 증가를, L. plantarum을 이용한 발효는 항산화 활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Improvement of blood lipid metabolism and obesity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mixed lactic acid bacteria including Lactobacillus plantarum K-1 in mice fed a high-fat diet

  • Hyeon Ju Lim;Young Geol Yo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328-337
    • /
    • 2023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ingle and combined administrations of Lactobacillus species (L. plantarum, LP; L. gasseri, LG; L. casei, LC) on blood lipid metabolism and obesity in mice fed a high-fat diet (HFD). The mice were continuously supplemented with LP, LP/LG, or LP/LG/LC, along with HFD, for 12 weeks. The consumption of HFD led to significant increases in body weight,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However, administration of LP, LP/LG, or LP/LG/LC to HFD-fed mice reduced body weight gain and showed a tendency to suppress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LDL-cholesterol, while increasing HDL-cholesterol levels. The HFD group exhibited increased abdominal fat weight and larger adipocytes in the epididymal adipose tissue compared to the NC group. However, the administered probiotics le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adipocyte size with decreasing tendency in abdominal fat weight compared with the HFD group. Additionally, the deposition of giant vesicular fat cells in the liver of the HFD group considerably decreased in the probiotic-administered group. Microbiome analysis revealed an imbalance in intestinal microbes in the HFD group, characterized by lower Bacteroidetes and higher Proteobacteria ratios. However, probiotic administration tended to restore the microbial distribution by controlling the abundance of Bacteroidetes and Proteobacteria, resulting in decreased Firmicutes/Bacteroidetes and Proteobacteria/Bacteroidetes ratio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ngle and combined administration of LP and other probiotics holds enormous potential in reducing obesity in HFD-fed mice as they regulate lipid metabolism, reduce adipocyte size, and restore the balance of intestinal microbes.

발효 미생물에 따른 인삼꽃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Panax ginseng Flower-buds Fermented with Various Microorganisms)

  • 김경희;김다미;변명우;윤영식;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63-669
    • /
    • 2013
  • 인삼과 마찬가지로 많은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는 인삼꽃의 이용 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Bacillus subtilis(BS), Lactobacillus plantarum(LP), Lactobacillus casei(LC), Candida utilis(CU),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CHY1011(Y1),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ZP 541(Y2), 혼합발효(M) 등의 여러 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인삼꽃을 발효시킨 후 미생물별 인삼꽃 발효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변화를 탐색하였다. 총 페놀함량 측정 결과 무발효 추출물은 인삼꽃 발효물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발효 균주 중에서는 BS로 발효한 발효물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측정 결과 BS 발효물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FRAP value(10 mg/mL)는 무발효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BS 발효물과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환원력 측정 결과, 대체적으로 무발효 추출물에 비해 미생물 발효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LC 발효물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여러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인삼꽃 발효의 경우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발효할 경우 다른 균주들을 이용하는 것보다 항산화 활성 증진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되며 다른 생리활성 증진 효과에 대한 연구가 좀 더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