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Fermentation

검색결과 963건 처리시간 0.024초

Lactobacillus plantarum BHN-LAB 33의 생물전환공정을 통한 방풍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활성 증대 효과 (Increased Anti-oxidative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s of a Saposhnikovia Extract Following Bioconversion Fermentation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BHN-LAB 33)

  • 김병혁;장종옥;이준형;박예은;김중규;윤여초;정수진;권기석;이중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08-1217
    • /
    • 2019
  • 방풍의 화합물은 동양 전통 의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식물로 항염증, 비염, 미백, 아토피, 항알레르기 및 각종피부질환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발효식품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plantarum BHN-LAB 33를 이용해 발효한 방풍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L. plantarum BHN-LAB 33 발효는 $37^{\circ}C$에서 3일간 발효하였으며, 발효하지 않은 방풍 추출물에 비해 L. plantarum BHN-LAB 33 발효 방풍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은 약 14%,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약 09%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SOD 유사활성능, DPPH radical 소거활성능과 ABTS radical 소거활성능, 환원력은 각각 약 70%, 80%, 45% 및 39% 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tyrosinase 저해 활성은 44%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L. plantarum BHN-LAB 33을 이용한 생물전환을 통한 방풍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능 증대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물전환기술은 생리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매우 유용한 기술임을 확인하였으며, 생물전환기법을 통한 기능성 식품소재 및 화장품 소재 개발 및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인 유아 분변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acidophilus KY1909의 프로바이오틱 특성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KY1909 Isolated from Korean Breast-Fed Infant)

  • 박종길;윤석영;오세종;신정걸;백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244-1247
    • /
    • 2003
  • 발효 및 유산균 제품에 모유만을 먹은 생후 3개월된 유아의 분변으로부터 bromocresol pule을 함유한 MRS 배지에서 노란색의 집락을 형성하는 균주들을 내산성 및 담즙산 내성이 우수한 13종의 Lactobacillus 균주들을 분리하였으며 당발효성 및 생화학적 실험을 토대로 분리된 유산균들을 동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선발한 균주를 L. acidophilus로 KY1909로 명명하였다. Lactic acid 생성 능력을 평가한 후 이성질체를 분석한 결과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L. acidophilus NCFM, L. acidophilus CH5, L. acidophilus NOCKS 균주들은 전체 lactic acid 중에서 L(+) form이 차지하는 비율이 각각 52.49, 40.63 및 63.13%로 나타났으나, L. acidophilus KY1909는 L(+) lactic acid의 비율이 93.96%로 나타났다.

방향족 아미노산에 의한 김치 유산균 생장의 제어 (Control of Lactic Acid Bacterial Growth in Kimchi by Aromatic Amino Acids)

  • 박현근;양문;한홍의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7-251
    • /
    • 1997
  • 아미노산이 김치유산균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발효온도 $15^{\circ}C$에서 형태가 다른 집락을 73개 분리하였다. 이 중에서 69.9%가 덱스트란 생성균주이었으며, Leuconostoc 속이 4.1%, Lactobacillus 속이 65.8%를 차지하였다. Tyrosine 500 ppm이 되도록 첨가한 배지에서 분리균주의 생장은 완전히 억제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이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만든 김치에서 분리된 총 집락수는 58개 이었고, 이 중에서 덱스트란 생성균주가 70.7%로 큰 변동이 없었으나 대신에 Leuconostoc 속이 41.4%로 증가하였고, Lactobacillus 속은 29.3%로 감소하였다. 각 속에서 우점종은 Leu. mesenteroides와 Lac. minor이었다. 따라서 실제 김치에서 tyrosine은 Lactobacillus 속의 생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 PDF

매실농축액의 첨가가 동치미 발효 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on Dongchimi Fermentation)

  • 최무영;오혜숙;박희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1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매실농축액을 동치미에 첨가함으로써 동치미의 발효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매실농축액을 0, 0.05, 0.1, 0.2 및 0.3% 첨가하여 제조한 동치미를 $10^{\circ}C$에서 30일간 숙성시키면서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pH는 발효가 진행되면서 감소하고, 발효 6~8일에 pH 3.8 - 4.2를 나타내었다. 산도의 변화는 매실농축액 첨가에 의해 감소하였다 산도의 증가 및 pH의 감소는 매실농축액 첨가에 비해 무첨가구에서 보다 빨리 나타났다. 총 비타민 C의 함량은 발효 10일까지 지속적 증가를 보이다가 점차 감소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발효 10일까지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매실농축액 0.3%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동치미 발효 시 총균수와 젖산균의 경우는 매실농축액 첨가에 따라 생육이 억제되었다. 관능검사는 매실농축액 첨가구가 발효 10일에 좋은 향기와 전체적 기호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매실농축액이 동치미 내에 미생물들을 억제하여 동치미 발효숙성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 PDF

매실농축액이 김치 발효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on Kimchi Fermentation)

  • 박희준;최무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42-347
    • /
    • 2007
  • 본 연구는 매실농축액이 김치의 발효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매실농축액을 0, 0.1, 0.3 및 0.5% 첨가하여 만든 김치를 $4^{\circ}C$에서 한 달 동안 발효시키면서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매실농축액 무첨가구의 pH는 발효 2일째 크게 낮아졌고, 매실 첨가구들은 일시적 증가 현상을 보였다. 그 후 모든 첨가구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다가 18일 부터 pH값은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총산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매실농축액 무첨가구에 비해 첨가구의 총산 함량은 전반적으로 낮게 관찰되었다. 환원당 함량은 발효 10~12일동안 매실농축액 첨가구에서 약 70%정도 감소하였다. 총 비타민 C 함량은 모든 첨가구에서 발효 6일에 최고수준에 도달한 뒤 서서히 감소하였다. 환원당 함량 및 총 비타민 C 함량은 매실농축액 무 첨가구보다 첨가구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매실농축액에 함유된 환원당 및 비타민 C 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모든 첨가구에서 발효가 진행되면서 서서히 증가하여 최대균수를 도달한 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매실농축액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은 매실농축액이 pH의 저하를 지연시키고 미생물 생육을 억제함으로써 김치의 발육 숙성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김치의 부재료가 김치 숙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Various Ingredients of Kimchi on the Kimchi Fermentation)

  • 이신호;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9-254
    • /
    • 1988
  • 마늘, 생강, 부추 등의 부재료가 김치의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성장에 미치는 부재료의 효과와 절임 배추에서 부재료 첨가효과 그리고 부재료가 김치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장 맛이 좋은 상태의 김치에서 Lactosaciffeg plantaruut, HSU025, Lactobacillus brevis, HSU01, Pediococus cerevisiae HSU02 그리고 Leuconostoc mesenteroides HSU05 등의 유산균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이들 미생물의 부재료 첨가에 의한 성장은 생강과 마늘에 의해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강에 의해 뚜렷하게 성장이 억제된 유산균은 L. plantaruut, HSU025와 P. cerevutoe HSU02이었다. 마늘에 비해 생강이 분리 유산균의 성장을 더 억제하였으며 부추는 분리 유산균의 성장을 다소 촉진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절임 배추에 부재료를 각각 3% 첨가하여 $25^{\circ}C$에서 숙성시킨 결과 마늘 첨가구는 숙성 1일째까지는 숙성을 지연시키는 현상을 나타내었으나 그후 오히려 숙성을 촉진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생강 첨가구가 초기 숙성을 지연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재료 혼합 첨가 김치는 고추가루만 첨가한 김치에 비해 초기 숙성이 지연되었고 부재료 첨가에 의해 김치의 숙성은 $25^{\circ}C$에서 약 24시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초기 숙성 지연 현상은 부재료가 유산균의 초기 증식을 억제하는 현상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Effects of using different roughages in the total mixed ration inoculated with or without cocultur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Bacillus subtilis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and microbial population

  • Miguel, Michelle;Mamuad, Lovelia;Ramos, Sonny;Ku, Min Jung;Jeong, Chang Dae;Kim, Seon Ho;Cho, Yong Il;Lee, Sang Suk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4호
    • /
    • pp.642-651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roughages in total mixed ration (TMR) inoculated with or without cocultur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L. acidophilus) and Bacillus subtilis (B. subtilis)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and microbial population. Methods: Three TMRs formulations composed of different forages were used and each TMR was grouped into two treatments: non-fermented TMR and fermented TMR (F-TMR) (inoculated with coculture of L. acidophilus and B. subtilis). After fermentation, the fermentation, chemical and microbial profile of the TMRs were determined. The treatments were used for in vitro rumen fermentation to determine total gas production, pH, ammonianitrogen (NH3-N), and volatile fatty acids (VFA). Microbial populations were determined by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ll data were analyzed as a 3×2 factorial arrangement design using the MIXED procedure of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Results: Changes in the fermentation (pH, lactate, acetate, propionate, and NH3-N) and chemical composition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iber, and ash) were observed. For in vitro rumen fermentation, lower rumen pH, higher acetate, propionate, and total VFA content were observed in the F-TMR group after 24 h incubation (p<0.05). F-TMR group had higher acetate concentration compared with the non-fermented group. Total VFA was highest (p<0.05) in F-TMR containing combined forage of domestic and imported source (F-CF) and F-TMR containing Italian ryegrass silage and corn silage (F-IRS-CS) than that of TMR diet containing oat, timothy, and alfalfa hay. The microbial population was not affected by the different TMR diets. Conclusion: The use of Italian ryegrass silage and corn silage, as well as the inoculation of coculture of L. acidophilus and B. subtilis, in the TMR caused changes in the pH, lactate and acetate concentration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experimental diets. In addition, F-TMR composed with Italian ryegrass silage and corn silage altered ruminal pH and VFA concentrations during in vitro rumen fermentation experiment.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의 김치 미생물 군집의 분포 및 다양성 분석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the Microbial Community in Kimchi Samples from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in Korea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 노윤정;하광수;김진원;이수영;정도연;양희종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5-33
    • /
    • 2023
  • 한국 전통 음식으로 알려진 김치의 발효는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일어나며, 주로 Leuconostoc 속, Weissella 속, Lactobacillus 속 유산균들이 관여한다. 또한 김치의 미생물 군집은 김치의 종류, 발효 조건, 재료 및 성분 등에 따라 분포와 차이가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중부지방(강원도, 경기도)과 남부지방 (전라도, 경상도) 김치에 대한 미생물 군집을 분석하기 위해 16S rRNA 유전자를 증폭하여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실시하였다. 모든 시료가 99% 이상의 Good's coverage of library를 보여 비교분석을 하는데 충분한 신뢰성을 얻었으며, α-diversity 분석에서 종 풍부도와 다양성은 시료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부지방과 남부지방 김치에 공통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주요 세균 문은 Frimicutes 이었으며, 속 수준에서 Weissella kandleri 가 각 46.5%(중부지방), 30.8%(남부지방)로 가장 우점하였다. 마지막으로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의 미생물 군집을 대표하는 바이오마커를 확인하기 위해 LEfSe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부지방에서 Leuconostocaceae (71.4%) 과, 남부지방에서 Lactobacillaceae (61.0%) 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빈도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에서 나타나는 김치 미생물 군집의 분포와 차이를 규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별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미생물 군집의 분포를 연구하기 위한 과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Microbiota and Physicochemical Analysis on Traditional Kocho Fermentation Enhancer to Reduce Losses (Gammaa) in the Highlands of Ethiopia

  • Dibaba, Adane Hailu;Tuffa, Ashenafi Chaka;Gebremedhin, Endrias Zewdu;Nugus, Gerbaba Guta;Gebresenbet, Girma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10-224
    • /
    • 2018
  • Warqe (Ensete ventricosum) has been traditionally fermented in an earthen pit to yield a carbohydrate-rich food product named kocho, for generations. A fermentation enhancer (gammaa) was added to this fermenting mass to enhance the fermentation proces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ota of the kocho fermentation enhancer culture to reduce losses.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implemented to collect 131 gammaa samples on the first day of fermentation. The samples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fermentation (14, 21, 30, and 60 days) practised in various households traditio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rmentation time significantly affec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load of gammaa (p < 0.01).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d from day 1 to 60, the pH decreased and the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The total coliform, Enterobacteriaceae, aerobicmesophilic bacteria (AMB), yeast, and mould coun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t the end of fermentation. In contrast,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LAB) increased significantly until day 30 of fermentation, because of the ability of the LAB to grow at low pH. Lactobacillus species from LAB isolates and Enter obacteriaceae from AMB isolates were the most abundant microorganisms in gammaa fermentation. However, the Enterobacteriaceae and Lactobacilli species count showed decreasing and increasing trends, respectively,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d. These isolates must be investigated further to identify the species and strain, so as to develop gammaa at the commercial scal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 Activity on Egg Albumen Fermentation

  • Nahariah, N.;Legowo, A.M.;Abustam, E.;Hintono,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6호
    • /
    • pp.855-861
    • /
    • 2015
  • Lactobacillus plantarum is used for fermentation of fish products, meat and milk. However, the utilization of these bacteria in egg processing has not been don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fermented egg albumen as a functional food that is rich in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s activity (ACE-inhibitor activity) and is antihypertensive.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with six durations of fermentation (6, 12, 18, 24, 30, and 36 h) as treatments. Six hundred eggs obtained from the same chicken farm were used in the experiment as sources of egg albumen. Bacteria L. plantarum FNCC 0027 used in the fermentation was isolated from cow's milk. The parameters measured were the total bacteria, dissolved protein, pH, total acid and the activity of ACE-inhibit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fermentation time on the parameters tested. Total bacteria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fermentation for 6, 12, 18, and 24 h and then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time of fermentation to 30 and 36 h. Soluble protein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fermentation to 18 h and then subsequently decreased during of fermentation to 24, 30, and 36 h. The pH value decreased markedly during fermentation. The activities of ACE-inhibitor in fermented egg albumen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to 18 h and then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of the duration of fermentation to 24, 30, and 36 h. The egg albumen which was fermented for 18 h resulted in a functional food that was rich in ACE-inhibitor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