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 acid production

검색결과 1,045건 처리시간 0.023초

축산업 분야에서의 박테리오신의 산업적 이용 및 향후 전망 (Perspectives for the Industrial Use of Bacteriocin in Dairy and Meat Industry)

  • 이나경;이주연;곽형근;백현동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8
    • /
    • 2008
  • 최근까지 박테리오신 생산균주의 분리,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 정제, 구조 및 작용기작, 산업적인 적용 등의 논문 등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50개국 이상에서 치즈, 통조림식품 등에서 식품보존제로서 승인되어 있다. 박테리오신의 여러 장점으로 인해 현재 추진되고 있는 축산업 분야의 HACCP의 범위인, 사육장에서부터 식품제조에 이르기까지 항생물질, 인공적인 방부제나 식품첨가물이 적게 들어가거나 첨가되지 않은 자연식품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에 적합하다. 향후 축산업에서 항생제 대체방안의 하나로서 박테리오신의 사용은 확대되리라 기대된다. 경제적인 가격 경쟁력을 갖기 위해, 대량생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적절한 제형으로 보다 구체적인 적용실험이 수행되어 산업화를 앞당겨야 한다.

청고춧가루를 이용한 김치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imchi Made with Green Pepper Powder)

  • 정은자;서정숙;방병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3-67
    • /
    • 2007
  • 고추 자원을 최대 활용하고, 농가의 수익을 올리기 위하여, 청고춧가루로 김치를 제조한 후 홍고춧가루와 김치와 pH, 총산도, 생균수, 젖산균수 및 관능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청고추 김치와 홍고추 김치의 pH 및 총산도의 변화 양상은 거의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김치의 적숙기 초기에서 말기까지, 생균수와 젖산균수에 있어서도 거의 같은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관능은 청고추 김치가 홍고추 김치에 비해 전반적으로 아주 낮은 값을 보였는데, 이는 김치의 붉은 색에 대한 기본 관념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Expression of manB Gene from Escherichia coli in Lactococcus lactis and Characterization of Its Bifunctional Enzyme, Phosphomannomutase

  • Li, Ling;Kim, Seul Ah;Fang, Ruosi;Han, Nam 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8호
    • /
    • pp.1293-1298
    • /
    • 2018
  • Phosphomannomutase (ManB) converts mannose-6-phosphate (M-6-P) to mannose-1-phosphate (M-1-P), which is a key metabolic precursor for the production of GDP-D-mannose used for production of glycoconjugates and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of protei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ress the manB gene from Escherichia coli in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NZ9000 and to characterize the encoded enzyme. The manB gene from E. coli K12, of 1,371 bp and encoding 457 amino acids (52 kDa), was cloned and overexpressed in L. lactis NZ9000 using the nisin-controlled expression system. The enzyme was purified by Ni-NTA column chromatography and exhibited a specific activity of 5.34 units/mg,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previously reported ManB enzymes. The pH and temperature optima were 8.0 and $50^{\circ}C$, respectively. Interestingly, the ManB used in this study had two substrate specificity for both mannose-1-phosphate and glucose-1-phosphate, and the specific activity for glucose-1-phosphate was 3.76 units/mg showing 70% relative activity to that of mannose-1-phosphate. This is the first study on heterologous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nB in lactic acid bacteria. The ManB expression system constructed in this study canbe used to synthesize rare sugars or glycoconjugates.

한국, 일본, 중국 김치의 품질 비교 분석 (Comparative quality analysis of kimchi products manufactured in Korea, Japan, and China)

  • 이혜진;정수연;김재환;유승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67-976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김치의 수출 촉진을 위한 품질 차별화를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위해서 현지 수출 시장에서 제조된 김치와 한국에서 제조된 김치의 품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 중 일 삼국의 김치는 이화학적 특성(pH, 산도, 염도), 미생물적 특성, 관능적 특성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각국의 김치 재료 및 제조 방법 등이 김치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품질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저장 기간 동안 한국김치는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pp., Leuconostoc spp.와 전체적인 관능 기호도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한국 김치 품질의 우수성을 증명하고 타 국가에서의 김치 소비 특성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Safety Evaluation of Bifidobacterium breve IDCC4401 Isolated from Infant Feces for Use as a Commercial Probiotic

  • Choi, In Young;Kim, Jinhee;Kim, Su-Hyeon;Ban, O-Hyun;Yang, Jungwoo;Park, Mi-K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7호
    • /
    • pp.949-955
    • /
    • 2021
  • Previously, our research group isolated Bifidobacterium breve IDCC4401 from infant feces as a potential probiotic. For this study, we evaluated the safety of B. breve IDCC4401 using genomic and phenotypic analyses. Whole genome sequencing was performed to identify genomic characteristics and investigate the potential presence of genes encoding virulence, antibiotic resistance, and mobile genetic elements. Phenotypic analyses including antibiotic susceptibility, enzyme activity, production of biogenic amines (BAs), and proportion of D-/L-lactate were evaluated using E-test, API ZYM test,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D-/L-lactic acid assay respectively. The genome of B. breve IDCC4401 consists of 2,426,499 bp with a GC content of 58.70% and 2,016 coding regions. Confirmation of the genome as B. breve was provided by its 98.93% similarity with B. breve DSM20213. Furthermore, B. breve IDCC4401 genes encoding virulence and antibiotic resistance were not identified. Although B. breve IDCC4401 showed antibiotic resistance against vancomycin, we confirmed that this was an intrinsic feature since the antibiotic resistance gene was not present. B. breve IDCC4401 showed leucine arylamidase, cystine arylamidase, α-galactosidase, β-galactosidase, and α-glucosidase activities, whereas it did not show production of harmful enzymes such as β-glucosidase and β-glucuronidase. In addition, B. breve IDCC4401 did not produce any tyramine, histamine, putrescine, cadaverine, or 2-phenethylamine, which are frequently detected BAs during fermentation. B. breve IDCC4401 produced 95.08% of L-lactate and 4.92% of D-lactate. Therefore, our findings demonstrate the safety of B. breve IDCC 4401 as a potential probiotic for use in the food industry.

수확시기별 예건시간에 따른 귀리의 수분함량과 사일리지 품질변화 (Effect of Pre-wilting Time on the Change of Moisture Content and Its Silage Quality at Different Harvest Stages of Whole Crop Oat)

  • 송태화;한옥규;윤성근;박태일;김경훈;김기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5-142
    • /
    • 2010
  • 이 연구는 고품질 귀리 사일리지의 제조를 위한 수확시기별 적정 예건시간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은 국내 육성품종인 삼한귀리를 가을에 파종하고 이듬해 봄인 출수 후 20일 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수확하여 각 수확시기별로 0, 4, 8, 32시간동안 예건을 실시하였으며, 각 예건시간별 식물체의 수분변화와 사일리지 제조 후 품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귀리는 출수 후 20일 정도에 수확할 경우 4시간 정도 포장예건을 하고, 출수 후 30일 정도에 수확할 경우에는 사일리지 제조에 적합한 수분함량에 도달하여 예건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일리지도 수분함량이 약 55~65% 정도가 도달한 시기에 수확한 처리구나 그 수준에 도달하도록 예건한 처리구에서 전체적인 사료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일리지 품질 평가기준의 중요한 요인인 pH와 유기산은 수분변화에 따라 아주 큰 변이를 보였는데 55~65%의 수분조건에서 젖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초산과 낙산 함량이 낮았다. 따라서 귀리는 출수 후 20일 경에 수확 시에는 4시간 정도 포장예건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후에는 바로 수확하여 곤포로 제조하여도 양질의 사일리지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nsiled Green Tea Waste as Partial Replacement for Soybean Meal and Alfalfa Hay in Lactating Cows

  • Kondo, Makoto;Nakano, Masashi;Kaneko, Akemi;Agata, Hirobumi;Kita, Kazumi;Yokota, Hiroom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7호
    • /
    • pp.960-96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otein supplementation of green tea waste (GTW) on the performance of lactating cows. Another aim was to increase resource utilization and to eliminate any environmental negative impact from the tea waste. GTW from a beverage company was ensiled at a low pH (<4.0) and high acetic acid and lactic acid concentration, and it contained high crude protein (CP, 34.8%), total extractable tannins (TET, 9.2%) and condensed tannin (CT, 1.7%).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alatability and performance in lactating cows fed GTW. In the palatability trial, three lactating cows were allocat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 in a 3$\times$3 Latin square design. The animals were offered a total mixed ration (TMR) including GTW at rates of 0, 2.5 and 5.0% on a dry matter (DM) basis. Total DM intake was no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In the performance trial, four lactating cows were used in a 2$\times$2 Latin square design with a 3 week sampling period. GTW was incorporated into TMR at a rate of 5.0% on a DM and 10.0% on a CP basis. Thus GTW replaced alfalfa hay and soybean meal at a level of 25.0% on a DM. DM and CP intake were not affected by the inclusion of GTW, whereas TET and CT intak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Milk production, milk composition and the efficiency of milk production were not altered by the GTW inclusion. Although ruminal pH and VFA, and blood urea nitrogen were not changed, ruminal $NH_{3}-N$ and plasma total cholesterol were relatively low in the GTW group,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excretion of urinary purine derivatives and estimated MN supply were also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GTW treatment.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GTW can be used as a protein source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lactating cows.

고엽산 생산능의 유산균 탐색 및 발효 조건 최적화 (Screening of Lactic Acid Bacteria for Strong Folate Synthesis and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 두경민;박세진;박명수;지근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28-33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총 65균주의 Bifidobacterium과 Lactobacillus로부터 엽산 생성능력이 있는 11균주의 Lactobacillus를 1차 선정하였다. 그 중 microbiological assay를 통해 엽산 생성능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선발된 L. plantarum Fol 708을 이용하여, 우유배지에서 L. brevis GABA 100과의 공동배양 및 배양 pH을 일정하게 유지한 후, 각각의 pH조건에서 균체 내부 및 배양 상등액의 엽산 생성과 균체량을 측정하였다. 공동 배양은 1% glutamic acid가 첨가된 우유배지에 균주를 각각 1% (v/v) 접종하여 발효시켰으며, L. plantarum Fol 708과 L. brevis GABA 100의 접종비율이 1:1에서 가장 높은 엽산 생성(약 $8{\mu}g/100mL$)을 보여주었다. 배양 pH을 일정하게 유지한 후 균체량과 엽산 생성을 측정한 경우, 균체량은 pH 4.5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총 엽산 생성은 pH 5.5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선발한 L. plantarum Fol 708을 이용하면 엽산 함량이 높은 다양한 발효 식품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배양 조건에 따른 유산균의 Diacetyl 생성 (The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on the Diacetyl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 김동욱;정소영;박기문;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0-126
    • /
    • 1989
  • Str. diacetylactis와 Leu. cremoris를 commercial culture로부터 분리한 후 멸균된 10%(w/v) 환원 탈지유에 단독 및 혼합(1 : 1) 배양하면서 diacetyl 생성에 미치는 배양 조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생육최적 온도는 Str. diacetylactis의 경우 $30^{\circ}C$, Leu, cremoris는 $34^{circ}C$로 나타났으나, diacetyl 생성 최적 온도는 모두 $22^{\circ}C$로, 2%(v/v) starter 접종시 Str. diacetylactis, Leu. cremoris 그리고 혼합 배양의 경우 diacetyl 생성량은 각각 배양 60, 48, 48시간에 2.24, 2.29, 2.21ppm으로 최대치를 보인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지내 초기 pH는 pH 4.8에 모두 최고의 diacetyl 생성량을 보여 각각 4.32, 6.66, 7.30ppm을 나타내었다. Starter 접종량이 많아질수록 diacetyl 생성량은 증가하였지만 증가폭은 크지 않았으며 diacetyl의 전구 물질인 citrate를 sodium citrate형태로 농도별로 첨가하였을 때 0.3, 0.1, 0.1%(w/v) 첨가시에 각각 2.58, 2.54, 2.52ppm으로 최대치를 보였다. 최적 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시 diacetyl 생성량은 각각 4.40, 6.59, 7.25ppm으로 나타났으며, diacetyl생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초기 pH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기체 sparging에 의한 수소 발효의 효율 향상 (Enhancement of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by Gas Sparging)

  • 김동훈;한선기;김상현;배병욱;신항식
    • 유기물자원화
    • /
    • 제12권1호
    • /
    • pp.49-57
    • /
    • 2004
  • 기체 sparging이 수소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체의 종류($N_2$, $CO_2$) 및 sparging 유량의 변화(100, 200, 300, 400 ml/min)를 달리하여 연속 실험을 수행하였다. Sparging을 한 모든 경우,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더 높은 수소 전환율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sparging을 통한 수소 분압 감소가 수소 발효에 좋은 영향을 끼쳤음을 말해준다. 특히, $CO_2$로 sparging을 하는 경우가 $N_2$에 비하여 더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Clostridium sp.의 주요 부산물인 뷰틸산의 농도 및 조성비도 $CO_2$ sparging의 경우 훨씬 높았다. $CO_2$로 sparging 하는 경우, sparging 유량의 증가에 따라 수소 전환율이 상승하였지만, $N_2$의 경우는 유량 변동과는 무관하였다. 최적의 조건은 $CO_2$, 300 ml/min로 sparging 하는 경우였고, 이 때, 1.65 mol $H_2/mol$ hexoseconsumed의 높은 수소 전환율과 6.77 L $H_2/g$ VSS/day 의 높은 수소 발생율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CO_2$로 sparging을 하는 경우가 N2에 비하여 더 좋은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CO_2$로 sparging을 하는 경우, 수소 분압 감소에 따른 수소 발효 효율 향상 이외에 높은 $CO_2$분압이 수소 발효에 우호적인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높은 $CO_2$ 분압의 환경이 수소 생성균과 경쟁 관계에 있는 lactic acid bacteria나 acetogen과 같은 미생물에게 저해 작용을 주어 높은 수소 생산이 가능하였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