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an 정신분석학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6초

라캉의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해명된 초등학교폭력의 이해와 예방 (Understanding and Prevention of Viol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by J. Lacan's Psychoanalysis)

  • 문장수
    • 철학연구
    • /
    • 제130권
    • /
    • pp.79-107
    • /
    • 2014
  • 학교폭력이라는 개념은 오늘날 우리 사회의 핵심 키워드가 되었다. 학계 차원에서는 이미 1990년대 초부터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날이 갈수록 학교폭력의 양상은 점점 더 다양해지고 흉악해졌다. 이에 학교폭력의 문제는 학계와 지역사회의 차원에서만 다루어져야 할 사항이 아니라, 범정부의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쇄도했으며 이러한 운동은 결국 국회를 움직여 법령을 제정하게 하고, 범정부적 대책기구까지 상정하게 하였다. 그러나 학교, 지역사회, 정부차원 등 다방면의 예방노력에도 불구하고 학교폭력의 양상은 더 흉포해지고 조직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가해자와 피해자가 중 고등학생 중심에서 초등학생으로 저연령화되고 있다. 또한 많은 연구들은 초등학교 저학년 때 학교폭력을 경험한 아동이 고학년이 되어 가해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명시적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우선 첫째로, 라캉의 주체 개념을 해명하고, 둘째로, 학교폭력 발생의 원인과 폭력의 양상을 분석하고, 셋째로, 지금까지 제안된 학교폭력을 위한 중요 예방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넷째로, 라캉의 정신분석적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애니메이션 에서 나타나는 'abjection' 분석 (Analysis of "abjection" appeared in the animation )

  • 임운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517-522
    • /
    • 2012
  • 이 연구는 애니메이션 Paprika에서 나타나는 'abjection'에 관한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Julia Kristeva의 'abjection'은 육체적이면서 상징적인 강력한 느낌으로 abject에 대한 주체의 반응이며 저항이다. 주체는 항상 분리를 갈망하면서도 분리되기 어려운 경계에서 갈등을 나타낸다. Julia Kristeva는 Freud와 Lacan의 정신분석학을 페미니즘으로 재해석하여 주체의 형성과정과 여기서 나타나는 정신분석학적 견해를 밝히고 있다. 이러한 견해는 프로이드와 라캉이 주장한 상징계로의 진입에 대한 견해를 부성중심에서 모성 중심으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 것이다. 이는 어머니의 몸은 상징계(the symbolic)에서 제외되어 전-오이디푸스적 영역에만 한정된 몸이 아니라, 상징계의 경계를 가로지르며 상징질서를 위협하는 힘으로서의 'abjection'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Julia Kristeva 이론에 근거한 'abjection'이 애니메이션을 통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심층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등장인물이 가지고 있는 욕망과 무의식의 세계에서 나타난 'abjection'은 등장인물들의 주체 형성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를 파악하고 그 의미를 분석할 것이다.

영화 <부러진 화살>의 정서적 이중성 (Movie 's Emotional Ambivalence)

  • 김길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65-75
    • /
    • 2013
  • 영화는 색(色)과 음(音), 그리고 연상 작용에 의한 향(香)을 공감각화한 비쥬얼 스토리텔링이며, 관객이 감각적으로 영화적 사건을 체험하게 한다. 관객은 영화적 이야기에 몰입함으로써 현실세계에서 분리된 객석의 자아를 통해 영화적 세계, 즉 압축된 시 공간의 장(場)에서 억압되고 병치된 인간의 원형적 감정, 쾌락, 공포, 두려움을 재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영화 <부러진 화살>을 통해 관객의 쾌감과 두려움의 감정을 볼 것이다. 먼저 쾌감은 니체의 "힘에의 의지"의 관점에서 볼 것이다. 니체는 숨 쉬고, 움직이며, 의지가 있는 것이 살아있는 생명적 존재라고 정의하고, 그것의 동력은 힘에의 의지라고 주장한다. "인간은 힘을 요구하고, 얻고자 하고, 증대시키려 하며 소망한다. 이것이 인간행위와 현상의 원인이다. 또한 인간은 자기보존충동이 있고, 그것은 심적 동기인 쾌감추구로서 작동한다". 우리는 힘의 관점에서 일반적인 심적 동기로서의 쾌감을 <부러진 화살>의 관객의 기쁨과 연계시켜 볼 것이다. 관객은 개념적 약자로서 가난한 자, 여성, 성적 소수자 등등의 도전과 승리에서 자기 보존적 본능을, 즉 쾌감을 느낀다. 이어 관객의 불안, 공포, 두려움의 징후들을 라캉의 정신분석학에 나오는 '아버지의 이름 Name-of-the-Father'의 관점에서 분석할 것이다. 라캉은 프로이트의 이드, 자아, 초자아의 개념을 실재계, 상상계, 상징계로 확장하고, 이 계(界)들 가운데 상징계(질서세계)에서 '아버지의 이름'을 언급한다. 익히 알려진 것처럼 소쉬르가 "일반 언어학 강의"에서 언어의 기본적 구조로서 기표와 기의를 규명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라캉은 '아버지의 이름'을 사회화의 기본적 기표로, 그리고 연결장치로서 제시한다. 아버지의 이름은 법의 상징이자 은유로서, 그의 부재와 그에 대한 항거는 사회의 불안으로 직결된다. 마지막으로 자기 보존적 본능에서 촉발되는 저항의 쾌감과 법(질서)의 부재에서 오는 두려움, 이러한 본래적 감정이 진보와 보수의 가치관에 연계되어 있음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