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elling process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5초

친환경 패션산업 동향과 쓰레기 발생 감량화(Zero Waste)를 위한 실험적 디자인 사례 연구 (Eco-Fashion Industry Trend and Creative Fashion Design Technic for Zero-Waste)

  • 박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16권4호
    • /
    • pp.29-4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providing not only the latest design technique trend for zero waste fashion, but information about creative fashion design education through eco-fashion industry trend in globally and domestic which is focusing on eco-fashion labelling. The research were processed with literature related eco, sustainable, green fashion books, former articles, newspapers, and web sites. The results as follows; The certification about eco-fashion product is moving to 'Life Cycle Assessment' from focused on primary process like material, finishing, dyeing. Especially simplicity of process means reducing the wastes. And fabric wastage for adult outwear was estimated 15% percent of total fabric used in general design studios. Three cases for Zero waste fashion were as follows; First, Jigsaw puzzle by Timo Rissane and Mark Liu were different zero waste methods, but the result was same. Rissene's method was based on traditional cutting like 'cut and sew' but traditional cutting can lead to design that have an abundance of fabric and drape. Jigsaw of Rissene was approached with description a pattern-cutting technique in which all piece interlock with each other generating no waste from design production. Another Jigsaw by Liu was related with innovative textile design. DTP makes the possibilities for zero waste garment production almost endless. The dress intricately cut from 10 pieces, wastes none of the fabric required to make it. Second, Subtraction Cutting by Julian Roberts provides unexpected fluid, organic forms and zero waste fabric. Utilizing Roberts plug(tunnel) technique enables any part of the garment that is removed for fit or aesthetics to be reincorporated into the design of garment. Third was 'Bio Couture' by Suzanne Lee. She has created garments from cellulose bacteria which grow in a bathtub using only green methods addressing in such as way ecological issues and exploring the future of fashion design in conjunction with technology.

코덱스 영양소기준치 설정을 위한 인구집단 및 영양소의 종류 선정 (The Scope of Population Groups and Nutrients for Codex Nutrient Reference Values)

  • 조윤옥;김혜영;최영선;임현숙;권오란;장남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2호
    • /
    • pp.189-196
    • /
    • 200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stablish the scope of population groups to be set and nutrients to be included for Codex Nutrient Reference Values (NRVs). Examination of a variety of documents and reports on the principles of scientific evidence was gone through to choose representative groups from a variety of population groups and kinds of nutrients for setting Codex NRVs. Also, hearings from the groups of NRVs expertise has been formed and was gone through by e-working process. The differences of food and foods being consumed in general and by specific population groups and limited actual space on packages for food labeling were considered. This paper suggest the options on the scope of population groups to be set and nutrients to be included for Codex NRVs on the basis of the above procedures. Also,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se options are commented when the options are applied for establishment and revision of the Codex NRVs.

계층적 군집화를 이용한 능동적 학습 (Active Learning based on Hierarchical Clustering)

  • 우호영;박정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2권10호
    • /
    • pp.705-712
    • /
    • 2013
  • 능동적 학습(active learning)은 소수의 라벨 데이터로 구성된 훈련 집합이 주어진 경우에 분류기 학습에 가장 도움이 될 만한 언라벨드 데이터를 선택하여 전문가에 의한 라벨링을 통해 훈련 집합에 포함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분류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워드 연결(ward's linkage)을 이용한 계층적 군집화(hierarchical clustering)를 바탕으로 한 능동적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각 군집에서 적어도 하나의 샘플을 포함하도록 초기 훈련 집합을 능동적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기존의 훈련 집합을 확장함으로써 전체 데이터 분포를 반영할 수 있게 한다. 기존의 능동적 학습 방법들 중 대부분은 초기 훈련 집합이 주어져 있을 경우를 가정하는 반면에 제안하는 방법은 초기 클래스 정보를 가진 훈련 데이터가 주어지지 않은 경우와 주어진 경우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방법이 비교 방법들에 비해 분류기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데이터 선택을 수행함을 보인다.

혼밥이 건강한 메뉴 선택에 미치는 영향: 소비 목적 지향과 메뉴 영양 정보 표시의 역할 (Can Dining Alone Lead to Healthier Menu Item Decisions than Dining with Others? The Roles of Consumption Orientation and Menu Nutrition Information)

  • 허은솔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55-166
    • /
    • 2021
  • Objectives: Driven by a growth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individualized lifestyles, solo dining in restaurants is an increasingly recognizable trend. However, a research gap exists in the comparison of solo and group diners' menu-decision making processes. Based on the self-control dilemma and the temporal construal theo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is study compared the ordering intentions of solo vs. group diners with healthy vs. indulgent (less healthy) entrées. The mediating role of consumption orientat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amount of menu nutrition information were further explor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 and a boundary condition. Methods: A scenario-based online survey was developed using a 2 (dining social context: solo vs. with others) × 3 (amount of menu nutrition information: no nutrition information vs. calories vs. calories/fat/sodium), between-subjects, experimental design. Consumers' level of nutrition involvement was controlled. A nationwide survey data (n = 224) were collected from a crowdsourcing platform in the U.S.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independent t-test, un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and moderated mediation analyses. Results: Findings reveal that solo (vs. group) diners have less (vs. more) intentions to order indulgent menu items due to a more utilitarian (vs. more hedonic) consumption orientation in restaurant dining. Findings also show that solo (vs. group) diners have more (vs. less) intentions to order healthy menu items when the restaurant menu presented nutrition information including calories, fat, and sodium. Conclusions: The findings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f foodservice management, healthy eating, and consumer behavior by revealing a mechanism and an external stimuli of solo vs. group diners' healthy menu-decision making process in restaurants. Furthermore, the findings provide restauranteurs and health professionals with insights into the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f menu nutrition labelling on consumers' menu-decisions.

움직임 벡터 정보를 이용한 SPIHT 부호화 기반의 디지털 비디오 워터마킹 (Digital Video Watermarking Based on SPIHT Coding Using Motion Vector Analysis)

  • 권성근;황의창;이미희;정태일;권기룡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427-1438
    • /
    • 2007
  • 비디오 워터마킹은 일반적으로 네 가지의 타입으로 분류되어진다. 첫 번째로는 원 비디오 신호에 워터마크를 삽입한 후 부호화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비디오 워터마킹 기법이 이에 속한다. 두 번째로는 블록 DCT, 양자화 등의 부호화 과정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이고, 세 번째로는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으로 이를 라벨링(labeling)이라고도 한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로는 움직임 벡터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으로, 이는 높은 복잡도가 요구되며 블록화 현상과 같은 화질 열화가 발생된다. 본 논문에서는 움직임 벡터 추정을 이용한 I 프레임 상에서 SPIHT 기반의 비디오 부호화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블록 DCT 기반의 부호화기에 발생되는 블록화 현상을 제거하고, 점진적 전송 특성을 가진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I 프레임 상에서 이전 P 또는 B 예측 프레임으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추정한 후에 이를 기반으로 워터마크 삽입 영역을 선택한다. 그리고 DWT를 수행하여 워터마크 삽입 영역 상에서 움직임 벡터의 방향과 동일한 부대역 상의 웨이브릿 계수를 HVS에 기반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SPIHT 부호화기에 의하여 워터마크가 삽입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방법이 객관적 및 주관적인 화질 측면에서 우수한 비가시성을 확인하였고, 다양한 압축률 및 MPEG 재부호화 등에 대하여 우수한 강인성을 확인하였다.

  • PDF

동적 XML 조각 스트림에 대한 메모리 효율적 질의 처리 (Memory Efficient Query Processing over Dynamic XML Fragment Stream)

  • 이상욱;김진;강현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1호
    • /
    • pp.1-14
    • /
    • 2008
  • 본 논문은 메모리 용량이 제약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XML 데이터에 대한 질의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대량의 XML 데이터에 대한 질의를 메모리 용량이 크지 않은 단말기에서 처리하는 경우 XML 데이터를 XML 조각(fragment)으로 분할하여 스트림으로 전송하고 처리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는 전체 XML 문서를 재구성하지 않고 XML 데이터에 대한 질의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XFrag[4], XFPro[5], XFLab[6] 등 기존에 제시된 기법들은 질의 처리를 위해 조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한 후 더 이상 불필요해진 것들을 식별하여 삭제하지 못하기 때문에 조각 정보가 메모리에 계속 누적되어 대용량의 XML 데이터에 대해 질의 처리를 수행하기에는 문서 크기에 따른 확장성(scalability)이 떨어진다. 특히, XML 조각이 동적으로 생성되어 무한정 스트리밍되는 경우에 한정된 메모리로는 질의 처리를 보장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 XML 조각 스트림에 대한 질의 처리에 있어 문서 크기에 따른 확장성 있는 질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누적된 조각 정보 삭제 기법들을 제시하고 이들을 바탕으로 기존 기법의 확장을 제시한다. 구현 및 성능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확장된 기법이 기존의 기법보다 메모리 효율성이 현저히 높고 문서 크기에 따른 확장성이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에 의해 흰쥐 소장에서 발생되는 세포고사 및 유사분열사 (Radiation-Induced Apoptosis and Mitotic Death in the Small Intestinal Crypts of Rat)

  • 최영민;이지신;조흥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259-264
    • /
    • 2001
  • 목적 : 방사선에 의한 급성 손상으로 소장 음와에서 발생되는 세포고사와 유사분열사의 발생 정도를 시간 경과에 따라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웅성 $200\~250\;g$ Sprague Dawley 쥐를 대상으로 6 MV선형가속기로 2 Gy 전신 방사선조사를 한 후, 2, 4, 8, 24, 48시간에 희생하였다. 소장 음와당 평균 세포고사 수와 유사분열 중인 세포 수의 평균을 정상 대조군과 방사선조사 후 시간대별로 측정하였다. 세포고사가 가장 현저하였던 시간대를 대상으로 In Situ End Labeling (ISEL) 법으로 염색하여 헤마톡실린 에오진 염색법과 비교하였다. 결과 : 음와당 세포고사의 평균 빈도는 정상 대조군에서 0.14였고 방사선조사 후 2, 4, 8, 24, 48시간에 각각 1.43, 3.19, 1.15, 0.26, 0.17로, 방사선조사 후 4시간 경에 가장 많이 증가되었다가 점차 감소되어 24시간에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정상 대조군에서 1.29였던 음와당 유사분열 세포 수의 평균은 방사선조사 후 2, 4, 8, 24, 48시간에 각각 0.56, 0.47, 0.23, 0.65, 1.19로 측정되어서, 방사선조사 후 8시간까지 감소되었다가 48시간 경에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세포고사의 발생이 유사분열 세포 수의 감소보다 변화의 정도도 크고, 조기에 발생되었다. ISEL법에 의한 세포고사의 검출은 발색 시간의 조건에 따라서 위양성이 발생되었다. 결론 : 방사선에 의한 소장의 급성 손상으로 유발되는 세포 사망은 방사선조사 후 대개 $24\~48$시간 내에 정상치로 회복되었고, 유사분열사보다는 세포고사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자동합성장치를 이용한 [$^{18}F$]Fallypride의 합성 (Automated Synthesis of [$^{18}F$]Fallypride for Routine Clinical Use)

  • 박준형;문병석;이홍진;이효준;이인원;이병철;김상은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104-109
    • /
    • 2010
  • $[^{18}F]$Fallypride는 뇌의 도파민(dopamine) $D_2/D_3$ 수용체 (receptor)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길항제(antagonist)로 대뇌피질의 도파민 기능을 규명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어지는 방사성의약품이다. 그동안 발표되어진 자동 합성화 장치를 이용한 [$^{18}F$]Fallypride 합성은 20~30%의 낮은 합성 수율과 33~63 GBq/mmol의 낮은 비방사능이 보고되어졌고, 또, 상대적으로 긴 표지시간과 높은 농도의 base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부산물이 생성되어 정제의 어려움이 있어 임상에 사용되기에 한계가 많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목적 F-18 합성장치인 GE TracerLab $FX_{FN}$ 모듈을 사용하여 base 농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고, [$^{18}F$]fallypride 합성에 적용하여 높은 합성수율과 비방사능(specific activity) 및 방사화학적 순도(radiochemical purity)를 합성하는 최적의 조건을 찾을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66{\pm}1.4%$ (decay-corrected, n=28)의 높은 합성수율과 HPLC 분리, SPE 정제시간을 포함하여 총 $51{\pm}1.2$분에 빠르게 합성할 수 있었다. 합성 후, 품질관리 테스를 해 본 결과, 방사 화학적 순도는 95%이상, 비방사능은 166~470 $GBq/{\mu}mol$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합성법은 [$^{18}F$]Fallypride를 이용한 dopamine $D_2/D_3$ 연구의 임상적 사용에 도움이 될 것이며, 낮은 농도의 base를 사용한 이 F-18 추출방법은 base에 민감한 전구체의 자동합성 생산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탄소발자국' 개념의 발전 과정과 농림 부문에서의 활용 전망 (Development of 'Carbon Footprint' Concept and Its Utilization Prospects in the Agricultural and Forestry Sector)

  • 최성원;김학영;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58-383
    • /
    • 2015
  • 지구 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들의 구체적인 배출량을 정량화하는 수단으로서 2000년대 중반부터 '탄소발자국'의 개념이 발전하였다. 아직도 명확한 정의나 측정 단위 또는 범위에 대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지만, '개인이나 조직에 의해 제품의 전 생산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대기로 배출된 전체 온실가스의 양을 이산화탄소 상당량으로 나타낸 것'이라는 의미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ISO/TS 14067에 따르면, 제품의 탄소발자국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단위 공정들의 활동량 자료에 해당 공정의 배출계수를 곱하고 이를 모두 합산하여 산정한다.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에게 비교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고 생산자들의 자발적인 온실가스 배출 감축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탄소성적표지' 제도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다. 이 제도의 일환으로 농업 분야에서 시범 운영되고 있는 '저탄소농축산물인증제'는 구매자의 윤리적 소비를 돕는 판단 근거로서 활용 가치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 과정에서 농산물에 대한 전과정평가의 경계를 설정하는 데에는 주로 사용 및 폐기 단계가 제외된 'cradle to gate' 접근법이 사용된다. 범위를 넓혀 농림 부문 전체에 대한 탄소발자국 산정은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에서 유일하게 배출량뿐만 아니라 제거량도 고려해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현재 산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농경지의 다년생 입목 바이오매스에 축적된 탄소의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을 상당 부분 감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전 과정의 이산화탄소 교환을 직접 정량화할 수 있는 타워 기반의 플럭스 관측이 사용될 수 있다. 탄소발자국 정보는 다른 지표들과 융합하여 지속가능한 농림생태계를 위한 좀 더 총체적인 지표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