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eling gap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1초

pCASL 관류 영상에서 표지 간격과 자화감수성 인공물이 영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abeling gap and susceptibility artifacts in pCASL perfusion MRI)

  • 김성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13-217
    • /
    • 2015
  •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한 환자에게 ASL 방법 중 pCASL을 이용한 관류영상에서 나타난 인공물을 보고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pCASL데이터는 구조적 이미지와 함께 스텐트를 피해 표지 펄스(labeling pulse)의 위치를 변경하여 획득하였다. 데이터는 ASLtbx를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pCASL을 이용하여 관류영상을 획득하였을 때 기존의 표지 펄스(표지 간격(labeling gap) 24 mm)의 위치가 스텐트의 위치와 겹쳐져서 우뇌 조직의 신호강도가 비어 있는 것처럼 나타났다. 스텐트를 피해 표지 펄스(표지 간격 15 mm)를 위치시킬 때 높은 신호강도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으며, 표지 펄스(표지 간격 170 mm)에서는 labeled 혈액이 영상절편에 도달하기 전에 이완이 되어 낮은 신호강도의 영상을 획득 하였다. pCASL은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반복측정이 가능하며 양질의 영상 획득을 위해서는 알맞은 영상획득인자와 방법들이 선택되어야 한다.

동맥스핀표지 뇌 관류 자기공명영상에서 라벨링 간격 및 지연시간, 표지 두께, 절편 획득 순서의 변화에 따른 관류 신호변화 연구 (Investigation of Perfusion-weighted Signal Changes on a Pulsed Arterial Spin Label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Technique: Dependence on the Labeling Gap, Delay Time, Labeling Thickness, and Slice Scan Order)

  • 변재후;박명환;강지연;이진완;이강원;장건호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4권2호
    • /
    • pp.108-118
    • /
    • 2013
  • 동맥스핀표지(Arterial Spin Labeling: ASL) 뇌 관류 자기공명영상법을 이용한 뇌 관류영상기술이 일반적으로 환자의 질병진단에 일반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이유는 영상을 얻을 때 여러 인자들을 최적화시켜야만 좋은 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동맥스핀표지 자기공명영상의 뇌 관류영상을 최적화 하기 위하여 필요한 여러 인자들의 변화에 따른 동맥스핀표지 신호변화를 3.0 테슬라 자기공명영상에서 관찰하는 것이다. 특히, 동맥시 핀표지 자기공명영상 신호 변화가 이들 인자에서 뇌 세포(brain tissues)의 영역에 따라서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평가하였다. 정상 성인 남성 5명을(평균연령 36세; 29세~41세) 대상에서 STAR (Signal Targeting with Alternating Radiofrequency) 동맥스핀표지 방법을 이용하여 3T 자기공명영상에서 영상을 얻었다. 실험은 첫째 영상획득 영역과 라벨링 영역간의 간격 변화에 따른 신호 변화 평가 실험, 둘째 라벨링 후의 시간 변화에 따른 신호 변화 평가 실험, 셋째 라벨링 두께의 변화에 따른 신호 변화 평가 실험, 넷째 슬라이스 획득 순서에 따른 신호 변화 평가실험을 하였다. 획득한 영상의 분석은 회백질과 백질, 전두엽, 측두엽, 후두엽, 두정엽에서의 관류신호변화를 얻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영상획득 영역과 라벨링 영역간의 간격 변화에 따른 관류 신호 변화 연구결과 전체 절편의 평균 값을 보면 회백질에서 좌측과 우측 모두에서 라벨링 간격이 증가할수록 신호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라벨링 간격의 변화에 두정엽이 가장 영향을 적게 받고 후두엽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다. 2) 라벨링 후의 시간 변화에 따른 관류 신호 변화 연구결과 회백질은 라벨링 지연시간 400 ms까지 양쪽 모두 감소하다가 라벨링 지연시간이 1,000 ms까지 증가하였다. 3) 라벨링 두께의 변화에 따른 관류 신호 변화 연구 결과 라벨링 두께가 증가에 따라 회백질과 백질의 신호강도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다가 120 mm 두께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4) 절편 획득 순서에 따른 관류 신호 변화 연구 결과 절편 획득 순서에 따른 백질과 회백질의 관류신호강도 값은 회백질과 백질 모두 머리의 꼭대기부터 영상을 획득하는 descend에서 신호강도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각 실험 조건에 따라서 관류신호 강도가 크게 변화를 하는 것을 보여 주었고, 따라서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관류 영상을 얻고자 할 경우에는 실제 임상 적용 전에 최적화된 프로토콜을 만든 후에 사용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백질의 뇌 관류영상을 얻는 것은 아직 문제가 있는 것으로 생각이 된다.

Growth-Suppressing Activity of the Transfected Cx26 on BICR-M1Rk Breast Cancer Cell Line

  • Lee, Hae-Jung;Rhee, Seung-Ke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5호
    • /
    • pp.477-482
    • /
    • 2011
  • There are accumulating evidences suggesting that connexin (Cx), a gap junction channel-forming protein, acts as a growth suppressor in various cancer cells, and this effect is attributeed to the gap junction-mediated intercellular communication (GJIC).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arresting activity of Cx26 and its cytoplasmic localizations after expression, we linked a nuclear export signal (NES) sequence to Cx26 cDNA before transfecting into a rat breast cancer cell line. A confocal fluorescent microscopic observation revealed that the insertion of NES minimized the nuclear expression of Cx26, and increased its cytoplasmic expression, including plasma membrane junctions. Total cell counting and BrdUrd-labeling experiments showed that the growth of the breast cancer cells was inhibited by 74% upon transfection of Cx26-NES, whereas only 9% inhibition was observed with only Cx26 cDNA.

드론 영상의 차량 레이블링을 통한 간선도로 차간간격(GAP) 산정 (GAP Estimation on Arterial Road via Vehicle Labeling of Drone Image)

  • 진유진;배상훈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90-10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지점 및 구간 검지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드론 촬영영상을 활용하여 차량을 검지 및 레이블링 하고 이를 기반으로 도심부 간선도로상 차간간격을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드론 영상 데이터 획득 시 적정 시간대, 위치, 고도를 선정하기 위하여 여러 조건하에서 촬영을 실시하여 최종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다양한 영상분석기법 중 혼합 Gaussian, 영상 이진화, 모폴로지 기법을 적용시켜 차량을 검지하였고 칼만 필터를 적용하여 차량을 레이블링 하였다. 레이블링율 분석 결과 실제 차량 수 285대 중 185대를 검지함으로써 차량 레이블링율은 65%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차간간격은 픽셀 단위화를 통해 산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 지도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검증을 수행하였다. 검증 결과 차간간격 오차가 모두 5m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오차는 선행차량과의 차간간격은 1.67m, 후행차량과의 차간간격은 1.1m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산출된 차간간격은 도심부 도로의 밀도, 서비스 수준 판단 기준 설정 등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스핀 라벨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사람 뇌에서의 뇌 관류영상의 현실적 문제점을 향상 시키는 방법 연구 (Practical Considerations of Arterial Spin Labeling MRI for Measuring the Multi-slice Perfusion in the Human Brain)

  • 장건호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8권1호
    • /
    • pp.35-41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침습적 동맥스핀라벨링(arterial spin labeling)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다편(multislice) 뇌 관류영상(perfusion-weighted Images)을 얻을 수 있는 최적화 방법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인자를 최적화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첫째, 뇌로 흘러 들어오는 혈액을 최적으로 라벨링할 수 있는 펄스를 만드는 것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900도의 각을 이루는 반전펄스(adiabatic hyperbolic secant Inversion pulse)는 반전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반전을 이루는 형태가 직각에 가깝게 할 수 있는 최적이었다. 둘째, 영상을 얻고 난 후에 계속하여 남아 있는 자화(residual magnetization)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포화 펄스(saturation pulses)와 자화를 손상시키는 자장(speller gradients)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임을 알았다. 마지막으로, 라벨링하는 영역과 영상을 얻는 영역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두 영역 간의 최소 거리는 약 20 mm 정도가 최적임을 발견하였다. 위에서 얻은 최적화된 인자들을 바탕으로 13명의 정상인의 뇌에서 관류 영상을 얻은 결과 매우 좋은 대조도의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나노간극 구동기를 이용한 나노기계적 단백질 검출기 (Nanomechanical Protein Detectors Using Electrothermal Nano-gap Actuators)

  • 이원철;조영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8권12호
    • /
    • pp.1997-2003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 and an associated device, capable of detecting protein presence and size from the shift of the mechanical stiffness changing points due to the presence and size of proteins in a nano-gap actuato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esonant detection method, the present nanomechanical stiffness detection method shows higher precision for protein detection. The present method also offers simple and inexpensive protein detection devices by removing labeling process and optical components. We design and fabricate the nanomechanical protein detector using an electrothermal actuator with a nano-gap. In the experimental study, we measure the stiffness changing points and their coordinate shift from the devices with and without target proteins. The fabricated device detects the protein presence and the protein size of 14.0$\pm$7.4nm based on the coordinate shift of stiffness changing points. We experimentally verify the protein presence and size detection capability of the nanomechanical protein detector for applications to high-precision biomolecule detection.

이중 면역금입자 표지법을 이용한 인삼 배유세포내 Vicilin과 Legumin의 합성시기 및 수송방식 (Determination of the Synthetic Time and the Transport Pattern of Vicilin and Legumin in Ginseng Endosperm Cell Using Double Immunogold Labeling)

  • 이창섭;유성철;김우갑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67-274
    • /
    • 1995
  • Vicilin and legumin, the storage Proteins of seed, were Purified from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endosperm cells. They were immunized in rabbits, and antibodies were raised respectively. Using these two antibodies, double immunogold labeling of vicilin and legumin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gap of synthetic time and the transport pattern of vicilin and legumin in the ginseng endosperm cells. Vicilin and legumin were synthesized at the same time at early embryo developmental stage. They were secreted from the Golgi bodies and accumulated into the small vacuoles. As the endosperm cells developed, vicilin and legumin localized in the small vacuoles were gradually transported toward the large central vacuole where they were stored. Protein bodies were derived from the vacuoles filled with proteins and distributed in the endosperm cells of mature red seed. Protein bodies were various in size from 1 to 8 ${\mu}{\textrm}{m}$ in which vicilin and legumin were mixed each other. The number of small particles labeled on the vicilin was greater than that of large particles labeled on the legumin in the protein bodies indicating that the amount of vicilin is higher than that of legumin in the protein bodies.

  • PDF

Similar Image Retrieval Technique based on Semantics through Automatic Labeling Extraction of Personalized Images

  • Jung-Hee, Seo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2권1호
    • /
    • pp.56-63
    • /
    • 2024
  • Despite the rapid strides in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a notable disparity persists between the visual features of images and the semantic features discerned by humans. Hence, image retrieval based on the association of semantic similarities recognized by humans with visual similarities is a difficult task for most image-retrieval systems. Our study endeavors to bridge this gap by refining image semantics, aligning them more closely with human perception. Deep learning techniques are used to semantically classify images and retrieve those that are semantically similar to personalized images. Moreover, we introduce a keyword-based image retrieval, enabling automatic labeling of images in mobile environments. The proposed approach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mobile device with limited resources and bandwidth by performing retrieval based on the visual features and keywords of the image on the mobile device.

Radioactive iodine analysis in environmental samples around nuclear facilities and sewage treatment plants

  • Lee, UkJae;Kim, Min Ji;Kim, Hee Reyo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0권8호
    • /
    • pp.1355-1363
    • /
    • 2018
  • Many radionuclides exist in norm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radionuclides also can be detected. The radionuclides ($^{131}I$) are widely used for labeling compounds and radiation therapy. In Korea, the radionuclide ($^{131}I$) is produced at the Radioisotope Production Facility (RIPF) at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in Daejeon. The residents around the RIPF assume that $^{131}I$ detected in environmental samples is produced from RIPF. To ensure the safety of the residents, the radioactive concentration of $^{131}I$ near the RIPF was investigated by monitoring environmental samples along the Gap River. The selected geographical places are near the nuclear installation, another possible location for $^{131}I$ detection, and downstream of the Gap River. The first selected places are the "front gate of KAERI", and the "Donghwa bridge". The second selected place is the sewage treatment plant. Therefore, the Wonchon bridge is selected for the upstream of the plant and the sewage treatment plant is selected for the downstream of the plant. The last selected places are the downstream where the two paths converged, which is Yongshin bridge (in front of the cogeneration plant). In these places, environmental samples, including sediment, fish, surface water, and aquatic plants, were collected. In this study, the radioactive iodine ($^{131}I$) detection along the Gap River will be investigated.

어린이용품의 환경유해인자 표시 현황과 독성자료에 대한 연구 (Investigation of Labeling Status and Toxicity Data of Environmentally Hazardous Substances in Children's Products)

  • 이지윤;김지효;문명희;이기영;지경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43-456
    • /
    • 2019
  • Objectives: Children are exposed to various environmental pollutants through contact with children's products. We investigated the KC mark, certification number, and contained substances labeled on children's products through market research and collected the toxicological data on these substances. Methods: The environmentally hazardous substances labeled on children's products (n=6576), including toys (n=2812), personal care products (n=2212), stationary/books (n=1333), and playground equipment (n=219) were examined. For the components that could be identified by CAS number, toxicological data on oral, inhalation, and dermal routes, cancer slope factor, and reference dose were collected. Results: Among the investigated products, KC marks or certification numbers were found for 4557 products (69.3%). Except for cosmetics and cleansers, the material information was labeled on most of the products. The frequency of labeling substance information in toys and stationary/books was low since this information could be omitted if KC certification was obtained. In the target products, 617 substances were identified by CAS number, and polypropylen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nd polyester were the most frequently displayed. Chronic toxicity data was found for only 32.4% of individual components, and information on toxicity through the dermal route was also highly limited. Conclusion: Our study suggested that labeling guidelines should be required to identify the environmentally hazardous substances contained in children's products. In addition, the toxicological data on many ingredients in children's products were insufficient. The data gap for toxicity data should be filled for future risk assess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