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STM 알고리즘

Search Result 18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coFESA: A Hybrid Platform for Feature-based Sentiment Analysis Based on DECO-LGG Linguistic Resources with Parser and LSTM (DECO-LGG 언어자원 및 의존파서와 LSTM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자질기반 감성분석 플랫폼 DecoFESA 구현)

  • Hwang, Changhoe;Yoo, Gwanghoon;Nam, Je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321-32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감성분석 성능 향상을 위한 DECO(Dictionnaire Electronique du COreen) 한국어 전자사전과 LGG(Local-Grammar Graph) 패턴문법 기술 프레임에 의존파서 및 LSTM을 적용하는 하이브리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DECO-LGG 언어자원을 소개하고, 이에 기반하여 의미 정보를 의존파서(D-PARS)와 페어링하는 한편 OOV(Out Of Vocabulary)의 문제를 LSTM을 통해 해결하여 자질기반 감성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부트스트랩 방식으로 반복 확장될 수 있는 LGG 언어자원 및 알고리즘을 통해 수행되는 자질기반 감성분석 프로세스는 전용 플랫폼 DecoFESA를 통해 그 범용성을 확장하였다. 실험을 위해서 네이버 쇼핑몰의 '화장품 구매 후기글'을 크롤링하였으며, DecoFESA 플랫폼을 통해 현재 구축된 DECO-LGG 언어자원 기반의 감성분석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대용량 언어자원의 구축과 이를 활용하기 위한 어휘 시퀀스 처리 알고리즘의 구현이 보다 정확한 자질기반 감성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n Explainable Deep Learning Algorithm based on Video Classification (비디오 분류에 기반 해석가능한 딥러닝 알고리즘)

  • Jin Zewei;Inwhee Jo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449-452
    • /
    • 2023
  •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has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multimedia content in social networks. How to better analyze and improve video classification models has become an important task. Deep learning models have typical "black box" characteristics. The model requires explainable analysis. This article uses two classification models: ConvLSTM and VGG16+LSTM models. And combined with the explainable method of LRP, generate visualized explainable results. Finally,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accuracy of the classification model is: ConvLSTM: 75.94%, VGG16+LSTM: 92.50%. We conducted explainable analysis on the VGG16+LSTM model combined with the LRP method. We found VGG16+LSTM classification model tends to use the frames biased towards the latter half of the video and the last frame as the basis for classification.

Parameter Generation Algorithm for LSTM-RNN-based Speech Synthesis (LSTM-RNN 기반 음성합성을 위한 파라미터 생성 알고리즘)

  • Park, Sangjun;Hahn, Mi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105-10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최대 우도 기반 파라미터 생성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공 신경망의 출력인 음향 파라미터 열의 정확성 및 자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인공 신경망의 출력으로 정적 특징벡터 뿐 만 아니라 동적 특징벡터도 함께 사용하였고, 미리 계산된 파라미터 분산을 파라미터 생성에 사용하였다. 추정된 정적, 동적 특징벡터의 평균, 분산을 EM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최대 우도 기준 파라미터를 추정할 수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파라미터 생성 시 동적 특징벡터 및 분산을 함께 적용하여 시간축에서의 자연성을 향상시켰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객관적 평가로 MCD, F0 의 RMSE 를 측정하였고, 주관적평가로 선호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존 알고리즘 대비 객관적, 주관적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검증하였다.

  • PDF

Performance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in the Prediction for Amount of Power Market (전력 거래량 예측에서의 머신 러닝 성능 비교)

  • Choi, Jeong-G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4 no.5
    • /
    • pp.943-950
    • /
    • 2019
  • Machine learning can greatly improve the efficiency of work by replacing people.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machine learning is increasing according to the requests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paper predicts monthly power transactions using MLP, RNN, LSTM, and ANFIS of neural network algorithms. Also, this paper used monthly electricity transactions for mount and money, final energy consumption, and diesel fuel prices for vehicle provid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rom 2001 to 2017. This paper learns each algorithm, and then shows predicted result by using time series. Moreover, this paper proposed most excellent algorithm among them by using RMSE.

Comparison of High Concentration Prediction Performance of Particulate Matter by Deep Learning Algorithm (딥러닝 알고리즘별 미세먼지 고농도 예측 성능 비교)

  • Lee, Jong-sung;Jung, Yong-jin;Oh, Chang-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10a
    • /
    • pp.348-350
    • /
    • 2021
  • When predict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using deep learn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 high concentration of 81㎍/m3 or more are not well reflected in the prediction model. In this paper, a comparison through predictive performance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sults of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fine dust in the high concentration area according to the deep learning algorithm. As a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 overall, similar levels of results were shown, but the RNN model showed higher accuracy than other models at concentrations of "very bad" based on AQI. This confirmed that the RNN algorithm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 concentration better than the DNN and LSTM algorithms.

  • PDF

Prediction of the DO concentration using the RNN-LSTM algorithm in Oncheoncheon basin, Busan, Republic of Korea (부산광역시 온천천 유역의 RNN-LSTM 알고리즘을 이용한 DO농도 예측)

  • Lim, Heesung;An, Hyun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86-86
    • /
    • 2021
  • 온천천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동래구, 연제구를 흐르는 도심 하천으로 부산 시민들의 도심 속 산책길, 자전거 길 등으로 활용되는 도시하천이다. 그러나 온천천 양안의 동래 곡저 평야가 시가지화 되고 온천천 발원지인 금정산 주변에서 무허가 상수도를 사용하고 각종 쓰레기와 하수의 유입으로 인해 하천 전체가 하수관으로 변해왔다. 이에 따라 부산광역시는 온천천 정비 계획을 시행하여 하천 정비와 함께 자동측정망을 설치하여 하천의 DO (dissolved oxygen), 탁도, TDS농도 등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측정망으로 쌓여가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DO농도 예측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DO는 하천의 수질 오염 정도를 판단하는 수질인자로 역사적으로 하천 연구의 주요 연구 대상이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일 자료 뿐만 아니라 시 자료를 기반으로 RNN-LSTM 알고리즘을 활용한 DO예측을 시도하였다. RNN-LSTM은 시계열 학습에 뛰어난 알고리즘으로 인공신경망의 발전된 형태인 순환신경망이다. 연구에 앞서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정보 공개시스템으로부터 받은 자료 중에서 교정, 보수 중, 비사용, 장비전원단절 등으로 인해 누락데이터를 2014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의 데이터 전수조사 후 이상데이터를 확인하여 선형 보간하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에서는 Google에서 개발한 딥러닝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인 텐서플로우를 활용하여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위치한 부곡교 관측소의 DO농도를 시간 또는 일 예측을 하였다. 일 예측 학습에는 2014년~ 2018년의 기상자료(기온, 상대습도, 풍속, 강수량), DO농도 자료를 사용하였고, 시 예측 학습에는 연속된 자료가 가장 많은 2015년 3월 ~ 12월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해 결정계수(R square)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ir Quality Prediction Model Based on DNN and LSTM (DNN과 LSTM 기반의 대기질 예측 모델 성능 비교 연구)

  • Jo, Sung-Jae;Kim, Junsuk;Kim, Sung-Hee;Youn, Jo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05a
    • /
    • pp.577-579
    • /
    • 2020
  • 최근 인공지능을 활용한 대기질 예측 모델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시계열 데이터 기반 예측 시스템 개발에 장점을 가진 DNN, LSTM 알고리즘을 활용한 다양한 예측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STM을 활용한 모델과 Fully-Connected 기반의 DNN 모델을 활용한 대기질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고 두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비교한다. 성능 평가 결과를 보면 LSTM 모델이 DNN 모델보다 모든 면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줬다. 그리고 이산화황(SO2), 이산화질소(NO2), 초미세먼지 (PM2.5)에 대해서는 그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Trajectory Prediction by Using Contextual LSTM based Variational AutoEncoder (Contextual LSTM 기반 변분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이동 경로 예측)

  • Cho, KwangHo;Cha, Jae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05a
    • /
    • pp.587-590
    • /
    • 2020
  • 스마트폰, GPS 장비, 위치 기반 소셜네트워크의 발달로 방대한 이동 경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게 됐다. 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GPS 데이터를 가지고 사람의 이동성을 분석하고 POI를 예측하는 기회가 많아졌다. 실생활에서 사람의 이동성은 다양한 상황에 영향을 받지만, 실제 GPS 데이터는 위치, 시간 정보의 수준이다. 따라서 다양한 상황을 내재하는 정보가 사람의 이동성 분석과 POI 예측에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POI의 순위, 사용자의 POI 활동, 카테고리 선호도 같은 맥락적 특징을 이용하여 이에 관련된 상황에 맞는 POI 시퀀스를 예측하는 Contextual LSTM 기반 딥러닝 기법을 제안한다. Contextual LSTM은 사람의 이동성에 영향을 주는 시퀀스의 맥락적 특징을 모델에 통합하기 위해 LSTM을 확장한다. 제안된 기법은 HITS 알고리즘과 여러 제약조건 기반으로 추출한 맥락적 특징별로 딥 러닝 모델에 통합하여 각각 POI 시퀀스를 검출했으며, 다양한 맥락적 특징에 대해서 공공 데이터와 수집한 데이터로 평가하였다.

Robust Multiple Object Tracking Algorithm for Occlusion Handling using LSTM and Kalman Filter (LSTM과 칼만 필터를 활용한 폐색에 강인한 다중 객체 추적 알고리즘)

  • Lee, Jaehoon;Park, Gyoungsoo;Kim, Byeong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251-254
    • /
    • 2020
  • 비디오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추적하는 문제에 있어서 폐색은 오늘날까지도 해결해야하는 문제 중 하나다. 폐색이란 영상 속 찾고자 하는 객체가 이전 프레임에서는 존재했지만 특정 프레임에서는 전경 혹은 다른 객체에 의해 가려져 모습이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폐색이 나타난 상황에서 해당 객체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이전 프레임까지 추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영상에 다시 객체가 나타날 때까지 위치를 잘 예측해야 한다. 본 논문은 비디오 영상의 폐색 환경에 강인한 다중 객체 추적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딥러닝 기반의 LSTM 구조를 활용하여 객체의 형태 정보를 학습하고 칼만 필터를 이용해 객체의 속도 정보를 학습한다. 두 정보를 조합하여 폐색이 발생하였을 때 객체의 형태와 위치를 예측하여 영상 속에 객체가 다시 등장하더라도 추적 성능을 최대화 한다.

  • PDF

External Noise Reduction with LSTM-Based ANC (LSTM 기반 ANC를 이용한 외부 소음 저감에 관한 연구)

  • Jun-Yeong Jang;Hyun-Jun Cho;Hwan-Woong Kim;Seung-Hun Kang;Jeong-Mi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108-1109
    • /
    • 2023
  • 본 논문은 선박 내부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ANC(Active Noise Cancellation)및 인공 지능 (AI) 결합 시스템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를 다룬다. 선박 환경에서의 소음은 승원의 스트레스 증가와 불편을 초래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외부 소음과 내부 소음 데이터를 수집하고, STFT(Short-Time Fourier Transform)알고리즘을 통해 소음 데이터를 분석 가능한 형태로 전처리한다. 그 후, LSTM(Long Short-Term Memory)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선박 외부에서 발생한 소음을 입력으로 받아 내부에서 들리는 외부 소음을 예측하고 제어하는 모델을 훈련시킨다. 이후 최적화 과정을 거쳐 예측 소음의 반대 파형을 생성 및 출력을 통해 ANC 를 구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