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Q control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17초

관측기를 이용한 다변수 제어계의 로바스트성 회복 (Robustness Recovery of Observer Based Multivariable Control Systems)

  • 김상봉;정석권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5권1호
    • /
    • pp.18-23
    • /
    • 1989
  • 최적제어이론은 -6유에서 무한대까지의 게인여유와 60$^{\circ}$의 위상여유, 그리고 원조건(Circle Condition)에 의해 보증되는 감도감소 등과 같은 로바스트성에 대한 긍정적인 면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전상태 피드백 경우일 때는 타당하지만, 실현문제에 있어, 관측기나 칼만필터가 사용되어질 경우에는 위의 조건이 완전히 만족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관측기를 이용하여 다변수 제어계를 설계할 경우, 입\ulcorner출력부분에서 안정여유가 회복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안했다. 플랜트 입력과 출력에서 LQ가 보증하는 최소안정여유는 K=1의 경우에서도 회복될 수 있음을 보였다. 로바스트성 회복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종래의 방법(K=$\infty$의 조건)과는 달리 유한값으로 하중행렬이 주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방법은 하나의 명료한 로바스트성 회복법이라 할 수 있다. F=MC(or K=BM)를 만족하는 행렬 M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그 해는 얻어질 수 없다. 그러나 K를 유한값으로 취했을 경우, 이 방법 이외의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입력과 출력에서 로바스트성 회복을 가지게 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토란밭의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과 몇가지 제초제(除草劑)의 단제(單劑) 및 조합처리(組合處理)가 제초효과(除草效果)와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Pattern of Weed Occurence and the Effect of single or combinated Treatment of several Herbicides on Weed Control and Yield in Taro (Colocasia antiquorum var. esculenta Engl. ) Field)

  • 강병화;이상각;심상인;이기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3-169
    • /
    • 1992
  • 본(本) 시험(試驗)은 1989년에 경기도 광주에서 토수(土垂)토란을 공시(供試)하여 재식밀도(栽植密度)는 60×30cm로 하고 손제초구(除草區)와 방임구(放任區) 외(外)에 Ethalfluralin과 Clomazone의 각각의 단제처리구(單劑處理區)와 Paraquat fb Ethalfluralin과 Paraquat fb Cloazone의 각각의 조합처리구(組合處理區)를 두어 토란밭의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과 각 처리(處理)에 따른 제초효과(除草效果) 및 수량(收量)에 관한 기초(基礎) 자료(資料)를 제공(提供)하고자 본(本) 시험(試驗)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발생(發生) 잡초(雜草)는 총(總) 12과(科) 15종(種)이었다(돌피, 바랭이, 강아지풀, 개비름, 여뀌, 깨풀, 명아주, 좀명아주, 쇠비름, 참방동산이, 개갓냉이, 진득찰, 토끼풀, 괭이밥, 꽃바지). 2. 피>쇠비름>깨풀 순으(順)로 우점도(優占度)가 우세(優勢)하였다. 3. 단제처리구(單劑處理區)보다 조합처리구(組合處理區)가 높은 방제가(防除價)를 보였다. 4. 손제초구(除草區)에 비하여 방임구(放任區)의 수량(收量)이 91.8% 감수(減收)하였다. 5. 단제처리구(單劑處理區)보다 조합처리구(組合處理區)의 수량(收量)이 더 높았다.

  • PDF

테니스라켓의 안정타점 영역확장을 위한 CAD화에 관한 연구 (CAD for extension of sweet spot of the tennis racket)

  • 오재응;박호;염성하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86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한국과학기술대학, 충남; 17-18 Oct. 1986
    • /
    • pp.607-612
    • /
    • 1986
  • 최근 테니스의 저변인구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테니스 라켓의 제작기술도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고 설계제작의 자동화에 의해서 양질의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라켓에 볼이 임팩트될때 생기는 진동으로 야기되는 테니스 엘보우 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아직도 남아 있다. 이와같이 테니스 라켓의 정적인 강도 뿐만아니라 동적인 특성도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어감에 따라 볼 컨트롤을 용이하게 한다거나, 안정타점영역(Sweet Spot)의 확장과 그립부의 진동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엘보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가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특히, 다차원 스펙트럼해석 및 모우드 해석법에의해 그립부에 미치는 진동원의 동정과 라켓의 동적거동에 대해서 연구되었고, 라켓의 재질변경과 그립부의 구조변경에 의한 안정타점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모우드 파라미터(Modal Parameter)의 추정에 관한 연구도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결국 안정타점영역을 확장시키거나 테니스 엘보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테니스 라켓의 진동 모우드에 관계되는 파라미터들을 찾아서 그 모우드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르느 진동 모우드의 거동에 대해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적인 모우드 해석법을 실제 테니스 라켓에 적용하여 모우드 파라미터들을 구한 다음 그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르는 안정타점영역의 변화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예측하였다. 또한 안정타점영역을 넓히고 라켓의 동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모우드 파라미터를 찾아서 테니스 라켓의 설계, 제작 단계에 정보를 제공하는 CAD(Computer Aided Design)에 좋은 자료를 얻고자 한다. 있으나 파도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크므로 본 논문에서는 파도에 의한 영향만을 고려하였다. 파도는 쌍동선에 외란으로 작용하며 측정할 수 없는 양이므로 PID, LQ 제어에서는 제어모델에 포함되지 않지만 LQG 제어에서는 제어모델에 포함된다. LQG 제어의 경우 제어모델에 파도를 백색잡음으로 가정하고 제어기를 구성한 것 (LQG1)과 2차의 쉐이핑필터(shaping filter)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LQG2)으로 나누었다.져 한다.) 식도 이물에 의한, 또는 식도경술에 의한 합병증이 초래한 경우는 식도점막열상 1례 (1.8 %), 식도 천공 1례 (1.8 %) 였으며, 기도이물에 의한, 또는 기관지경술에 의한 합병증이 초래한 경우는 무기폐 2례 (11.1 %), 폐렴 3례 (16.7 %)로 나타났다.5예에서 소실되었다. 5 ) 청각심리검사 (Psychoacoustic evaluation)에서 폴립은 술전에 Grade 1∼2의 사성이 있었던 11예중 술후 10예에서 Grade 0로 되었으며 Grade 1∼2의 사성이 있었던 3예의 결절에서도 모두 Grade 0로 정상화되었다.>치를 측정한 결과 투여전과 차이가 없었다. 7) 이상의 결과로 볼때 Cis-platinum 사용으로 인한 이중독증은 신장기능이 정상일때는 충분한 hydration으로써 예방이 가능하며 동시에 금기로 알려져왔던 감음성난청이 있는 두경부악성종양환자에서도 세심한 주의하에 적절히 사용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1) 이관폐쇄술후 18시간에 최초로 삼출액이 확인되었으며 그 이후는 전실험군에서 삼출성중이염이 유발되다. 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