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PC

검색결과 384건 처리시간 0.037초

루우핀콩 단백질 농축물(LPC)의 식품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Lupinseed Protein Concentrate)

  • 김영욱;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99-505
    • /
    • 1987
  • 루우핀콩 단백질 농축물(LPC-50, LPC-70)을 제조하여 이들의 식품기능성들을 분리대두단백질 및 카제인 과 비교 검토하였다. LPC-50은 2상용매 추출법에 의해 제조한 단백질 함량 50% 수준의 유백색 물질이며 LPC-70은 LPC-50의 탄수화물 일부를 가수분해 효소로 처리해서 제거하여 단백질 농도를 70% 수준으로 높인 것이다. LPC-50의 건물 수율은 73.7%였으며 LPC-70은 55.7%였다. 또한 단백질 수율면에서는 LPC-50이 91% 였고 LPC-70이 87.4%였다. LPC-50과 LPC-70의 단백질 용해도는 증류수에서는 SPI와 비슷한 경향이 보였으나, NaCl 첨가시 pH $4.0{\sim}6.0$ 범위에서는 SPI보다 높았다. LPC-50과 LPC-70의 흐름성질은 8% 농도에서 강한 의가소성을 보였으며. 겉보기 점도는 6%부터 지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 패턴은 카제인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유화력은 단백질 농도가 증가할수록 커졌으며, LPC-70은 우수한 유화력을 나타내었고 특히 NaCl 첨가시 SPI와 비슷한 유화력을 나타내었다. LPC-50과 LPC-70의 기포 형성력은 SPI의 기포 형성력과 비슷하였으나, 안정성이 pH 7.0에서 비교적 낮은 결과를 보였다. 루우핀콩 단백질 농축물들은 우수한 수분 및 유지 흡착력을 나타냈으며, 특히 LPC-70은 매우 높은 유지 흡착력을 보였다.

  • PDF

Lysophosphatidylcholine induces azurophil granule translocation via Rho/Rho kinase/F-actin polymerization in human neutrophils

  • Ham, Hwa-Yong;Kang, Shin-Hae;Song, Dong-Ke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6권3호
    • /
    • pp.175-182
    • /
    • 2022
  • Translocation of azurophil granules is pivotal for bactericidal activity of neutrophils, the first-line defense cells against pathogens. Previously, we reported that lysophosphatidylcholine (LPC), an endogenous lipid, enhances bactericidal activity of human neutrophils via increasing translocation of azurophil granules. However, the precise mechanism of LPC-induced azurophil granule translocation was not fully understood. Treatment of neutrophil with LPC significantly increased CD63 (an azurophil granule marker) surface expression. Interestingly, cytochalasin B, an inhibitor of action polymerization, blocked LPC-induced CD63 surface expression. LPC increased F-actin polymerization. LPC-induced CD63 surface expression was inhibited by both a Rho specific inhibitor, Tat-C3 exoenzyme, and a Rho kinase (ROCK) inhibitor, Y27632 which also inhibited LPC-induced F-actin polymerization. LPC induced Rho-GTP activation. NSC23766, a Rac inhibitor, however, did not affect LPC-induced CD63 surface expression. Theses results suggest a novel regulatory mechanism for azurophil granule translocation where LPC induces translocation of azurophil granules via Rho/ROCK/F-actin polymerization pathway.

한국어 음성 인식 시스템을 위한 MEL-LPC 분석 방법과 LPC-MEL 분석 방법의 비교 (Comparison of MEL-LPC and LPC-MEL Analysis Method for the Korean Speech Recognition Systems.)

  • 김주곤;김범국;정호열;정현열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제14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833-83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음성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 청각 주파수 분해능을 가진 MEL-LPC Cepstrum을 음소단위의 HMM(Hidden Markov Model)을 기반으로 하는 인식 시스템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선형예측(LP) 분석 후에 후처리로서 주파수를 왜곡시킨 LPC-MEL 분석이 계산량이 적고 효과적이라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주파수 분해능은 많이 개선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분해능을 개선하기 위해, 원 음성신호로부터 직접적으로 멜주파수로 왜곡시킨 후 선형 예측 분석을 수행하는 MEL-LPC 분석방법을 이용한 음소기반의 화자 독립 음성인식 시스템을 구성하여 기존의 LPC-MEL 분석방법과 비교실험을 통하여 MEL-LPC 분석방법의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음성 데이터베이스는 음소 및 단어 인식실험에서는 ETRI 445단어 DB, 연속 숫자음인식 실험에서는 KLE 4연속 숫자음 DB를 사용하였다. 화자 독립 음소인식 실험의 경우, 묵음을 제외한 47개의 유사 음소에 대하여 4상태 3출력의 Left-to-Right 모델을이용하였다. 단어 및 연속 숫자음 인식 실험의 경우, 유한상태 네트워크에 의한 OPDP법을 이용하였다. 화자 독립 음소, 단어 및 4연속 숫자음 인식 실험결과, 기존의 LPC-MEL Cepstrum을 사용한 경우보다 MEL-LPC Cepstum을 사용한 경우가 더 높은 인식률을 나타내어 한국어 음성인식 시스템에서 MEL-LPC 분석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밀전분 지방질에 함유된 리소레시친의 정량 (Quantitative Analysis of Lysophosphatidyl Choline (LPC) in Wheat Starch Lipid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신명곤;민봉기;장판식
    • 분석과학
    • /
    • 제5권3호
    • /
    • pp.339-343
    • /
    • 1992
  • HPLC-UV방법을 이용하여 밀전분 지방질의 주성분인 LPC를 정량하기 위해 HRW 밀전분 지방질로부터 순수한 LPC를 분리하여 LPC의 표준곡선을 작성하였다. 밀 품종별 LPC에서 대한 HPLC peak responses는 시료간 큰 차이를 보여주지 않아 HRW 밀전분 지방질로부터 만든 LPC의 HPLC-UV 표준곡선은 밀전분 지방질에 함유되어 있는 LPC의 함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량하는 데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여러 pH에서 가열응고(加熱凝固)시켜 조제(調製)한 녹엽단백질(綠葉蛋白質)의 지방산(脂肪酸)과 Sterol조성(組成) (Fatty Acid and Sterol Composition of Leaf Protein Coagulated at Different pH)

  • 김종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59-263
    • /
    • 1983
  • 응고시(凝固時) pH에 따라 green LPC중(中)의 지방산(脂肪酸)관 sterol의 조성(組成)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져 Italian ryegrass, red clover, oats 및 alfalfa의 녹즙(綠汁)을 pH 4, 6, 8로 조성하여 가열응고(加熱凝固)시켜 green LPC를 만들어 실험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Italian ryegrass, oats 및 alfalfa의 green LPC는 lin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nic acid의 순(順)으로 함량(含量)이 점점 많았고, 이 세 지방산(脂肪酸) methyl ester가 전체지방산(全體脂肪酸) methyl ester의 70.4%에서 86.2%를 점유했다. red clover의 green LPC는 palmit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의 순(順)으로 함량(含量)이 많았고 이 세 지방산(脂肪酸) methyl ester는 전체지방산(全體脂肪酸) methyl ester의 82.5%에서 86.2% 범위였다. 2. red clover, oats 및 alfalfa의 green LPC는 pH4, pH6, pH8에서 가열응고(加熱凝固)한 LPC순(順)으로 linolenic acid의 함량(含量)이 점점 많았다. Italian ryegrass의 green LPC는 pH4, pH8, pH6에서 가열응고(加熱凝固)시킨 LPC순(順)으로 linolenic acid의 함량(含量)이 점점 많았다. 3. red clover와 alfalfa의 green LPC에서 cholesterol이 검출(檢出)되었다. 모든 green LPC에서 campesterol, stigmasterol, sitosterol이 검출(檢出)되었다. 4. 일반적으로 pH6, pH4, pH8에서 가열응고(加熱凝固)시켜 조제(調製)한 green LPC순(順)으로 sterol의 함량(含量)이 점점 많았다. 다만 alfalfa의 green LPC는 pH4, pH6, pH8에서 가열응고(加熱凝固)시켜 조제(調製)한 LPC순(順)으로 sterol의 함량(含量)이 점점 많았다.

  • PDF

적응 분할과 벡터 근사에 기반한 고차원 이미지 색인 기법 (High-Dimensional Image Indexing based on Adaptive Partitioning ana Vector Approximation)

  • 차광호;정진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29권2호
    • /
    • pp.128-137
    • /
    • 2002
  • 이 논문은 고차원 이미지 데이타의 효율적인 색인을 위한 LCP+-file을 제시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타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고차원 이미지 데이타의 색인과 검색의 지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고차원 데이타의 색인을 위해 벡터 근사에 기반한 LPC-file (5)이 개발되었다. LPC-file은 특히, 데이터 집합이 균일하게 분포할 때는 좋은 성능을 나타내지만 클러스터(cluster)를 이를 때는 성능이 하락한다. 본 논문은 강하게 클러스터를 이루는 이미지 데이타 집합에 대해 LPC-file의 성능을 향상시킨 LCP+-file을 제시한다. 기본 아이디어는 고밀도 클러스터를 갖는 부분 공간을 찾기 위해 데이타 공간을 적응적으로 분할하고, 그 공간에 대해 벡터 근사의 식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더 많은 수의 비트를 할당한다. 그러나 분할된 공간이 비트들을 공유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전체 비트 수는 오히려 줄어든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LCP+-file은 강하게 클러스터를 이루는 이미지 데이터 집합에 대해 LPC-file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Succinylation이 엽농축단백질(葉濃縮蛋白質)의 기능성(機能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uccinylation on Functional Properties of Leaf Protein Concentrates)

  • 조영수;김종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51-258
    • /
    • 1983
  • 엽농축단백질(葉濃縮蛋白質)(LPC)을 이용해서 인공유(人工乳)를 만들 수 있는 기틀을 마련코저, 엽농축단백질(葉濃縮蛋白質)의 기능적(機能的) 성질(性質)을 milk casein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 섬바디(Dystaenia takeshimana Nakai) 잎에서 추출한 chloroplastic protein과 cytoplasmic protein 및 Italian ryegrass(Lolium multiflorum Lamb.)에서 추출(抽出)한 엽농축단백질(葉濃縮蛋白質) 1g당 succinic anhydride 0. 10, 0. 25, 100g씩을 가(加)해 숙시닐화시켜 기능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ulk density는 섬바디잎에서 추출한 chloroplastic protein 및 cytoplasmic protein과 Italian ryegrass에서 추출한 LPC가 succinic anhydride의 무처리구에서 높았으며 숙시닐화 시킴으로 감소한 후 숙시닐화가 증가하므로서 bulk density는 어느 정도 증가하는 추세였다. 2. 용해도는 숙시닐화를 시킨 각 구에서는 Italian ryegrass LPC 1g에 succinic anhydride 1g 첨가반응시 섬바디 chloroplastic protein에서는 시료 1g당 succinic anhydride 0.1g이상 첨가반응시 milk casein 보다 용해도가 높은 경향이었다. 3. 흡수도 및 지방흡착에서는 숙시닐화 시킨 것과 시키지 않은 것 모두가 milk casein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4. 유화능과 유제의 안정성에서는 숙시닐화를 시키지 않은 각(各) LPC가 약간 낮은 반면 숙시닐화 시킴에 따라 milk casein 보다도 높고 점점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Immunomodulatory Actions of Lysophosphatidylcholine

  • Hong, Chang-Won;Song, Dong-Keu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6권2호
    • /
    • pp.69-76
    • /
    • 2008
  • Lysophosphatidylcholine (LPC) is an endogenous phospholipid. LPC has various stimulating or modulating activities on immune cells, including lymphocytes, monocytes/macrophages and neutrophils. Studies generally revealed pro-inflammatory activities of LPC, but accumulating evidence indicates that LPC has also anti-inflammatory actions. Here we summarize immunomodulatory actions of LPC.

LPC 계수의 최적 양자화에 기초한 음성 코더 구현 (Implementation of a CELP coder based on optimum quantization of the LPC coefficients)

  • 이우종;박지태;장태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516-2518
    • /
    • 2001
  • The quantization of the LPC parameters is a very important aspect of the speech compression algorithm. This paper analyzes the quantization effect of the LPC coefficients and presents the implementation of a fixed-point CELP coder based on the LPC analysis.

  • PDF

거대세포바이러스 조기항원 단백질에 대한 단세포군 항체 제조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Monoclonal Antibody to Cytomegalovirus Maior Immediate-early(α) Protein)

  • 박지호;손영모;박규현;이원영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6권2호
    • /
    • pp.253-260
    • /
    • 1999
  • 목 적 : human CMV가 생성하는 분자량 72,000 dalton의 immediate early protein(p72)과 반응하는 단세포군 항체를 국내에서 분리된 CMV 야생주로 직접 제작하여 진단에 사용해 보기 위한 것이다. 방 법 : 정상 인체 섬유아세포(Foreskin 유래)를 10% 우태아혈청이 함유된 Eagle' s minimal essential medium(MEM)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으며 마우스 골수종세포는 P3X63 Ag8.653(ATCC, Mary land USA)을 $5{\times}10^5/ml$ 세포수를 유지하도록 배양하였다. 사용된 항원은 선천성 CMV 감염아의 소변으로부터 검출한 CMV(KJHJ90)를 대량 증식시켜 사용하였다. 생후 6~8주된 Balb/c마우스의 복강내에 CMV 항원을 1주일 간격으로 4회 주사한 후 면역시킨 마우스 비장에서 얻은 임파구와 형질세포종세포로 최적발육기의 P3X63-Ag8.653을 사용하여 융합하였다. 융합세포를 배양한 후 간접면역형광항체법을 이용하여 항체가가 높은 것을 골랐다. 결 과 : 생산된 28종의 단세포군항체 중 그림 1과 같이 LPC12와 LPC23클론이 AD169에 감염된 세포의 핵에 특히 강하게 반응하였다. 정제된 AD169를 SDS-PAGE한 후 Western blotting을 하여 생산된 단세포군항체가 반응하는 항원의 분자량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 LPC12와 LPC23클론에서 생성된 단세포군항체는 약 72KDA의 항원과 특이적으로 가장 강하게 반응하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제작된 LPC12와 LPC23 클론에서 생성된 단세포군 항체를 이용하여 선천성 CMV감염으로 확인된 소아의 소변을 이용하여 CMV AD 169 주 유래 항체(P63-27)과 비교한 DEAFF 검사상 동일한 결과를 확인한 바 LPC12와 LPC 23 클론 항체는 AD 169(P63-27)과 같이 CMV 감염의 조기진단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