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NCaP cells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7초

Finasteride Increases the Expression of Hemoxygenase-1 (HO-1) and NF-E2-Related Factor-2 (Nrf2) Proteins in PC-3 Cells: Implication of Finasteride-Mediated High-Grade Prostate Tumor Occurrence

  • Yun, Do-Kyung;Lee, June;Keum, Young-Sam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1권1호
    • /
    • pp.49-53
    • /
    • 2013
  • A number of naturally-occurring or synthetic chemicals have been reported to exhibit prostate chemopreventive effects. Synthetic $5{\alpha}$-reductase (5-AR) inhibitors, e.g. finasteride and durasteride, gained special interests as possible prostate chemopreventive agents. Indeed, two large-scale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finasteride or durasteride significantly reduced the incidence of prostate cancer formation in men. However, these studies have raised an unexpected concern; finasteride and durasteride increased the occurrence of aggressive prostate tumor form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observed that treatment of finasteride did not affect the growth of androgen-refractory PC-3 prostate cancer cells. Finasteride also failed to induce apoptosis or affect the expression of proto-oncogenes in PC-3 cells. Interestingly, we found that treatment of finasteride induced the expression of Nrf2 and HO-1 proteins in PC-3 cells. In particular, basal level of Nrf2 protein was higher in androgen-refractory prostate cancer cells, e.g. DU-145 and PC-3 cells, compared with androgen-responsive prostate cancer cells, e.g. LNCaP cells. Also, treatment of finasteride resulted in a selective induction of Nrf2 protein in DU-145 and PC-3 cells, but not in LNCaP cells. In view of the fact that upregulation of Nrf2-mediated phase II cytoprotective enzymes contribute to attenuating tumor promotion in normal cells, but, on the other hand, confers a selective advantage for cancer cells to proliferate and survive against chemical carcinogenesis and other forms of toxicity, we propose that finasteride-mediated induction of Nrf2 protein might be responsible, at least in part, for an increased risk of high-grade prostate tumor formation in men.

Effects of Oxya chinensis sinuosa hot water extract o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n LNCaP cells

  • Hyun Jung Lim;Sohyun Park;Ra-Yeong Choi;In-Woo Kim;Minchul Seo;Hae Yong Kweon;Joon Ha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7권2호
    • /
    • pp.140-146
    • /
    • 2023
  •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a condition that commonly occurs in elderly men, has increased due to aging and the adoption of western dietary habits. Treatment with chemical drugs, such as finasteride or dutasteride, can cause side effects such as erectile dysfunction or sexual problems. This necessitates the development of remedies using natural substances derived from food ingredi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Oxya chinensis sinuosa hot water extract (OCH) on BPH production in LNCaP cells, a hormone-dependent prostate cancer cell line. We found that the mRNA expression of androgen receptor (AR), prostate specific antigen (PSA), and, 5α-reductases 1, and 2 decreased following treatment with OCH. Furthermore, OCH treatment resulted in reduced protein expression of BPH regulators, such as AR.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OCH exerts a beneficial effect on BPH by inhibiting the AR signaling pathway, indicating the potential of OCH as a therapeutic age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PH.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이 전립선암 세포주와 전립선비대 백서모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nripe Black Raspberry Extracts on Prostate Cancer Cell Line and Rat Model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 이수정;최혜란;이정현;권지웅;이희권;정종태;이태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07-515
    • /
    • 2014
  • 본 연구는 전립선암세포주인 LNCaP 세포주와 테스토스테론으로 유도된 전립선비대 백서모델에서 복분자 추출물의 전립선비대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첫째, 전립선암 세포주(LNCaP)에서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의 안드로겐 관련 전립선비대 유전자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은 안드로겐 수용체(AR)뿐만 아니라 전립선특이항원(PSA)과 5-알파 환원 효소 type 2(5AR2)의 발현을 가장 높게 억제하였다. 또한 LNCaP 세포에 DHT로 안드로겐 관련 유전자를 유도한 후 복분자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AR과 PSA mRNA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테스토스테론을 이용하여 전립선비대를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복분자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을 6주간 투여한 후 전립선비대 개선 효과를 조사한 결과, 전립선비대유발군에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전립선 무게, 전립선 소포의 상피세포 두께 및 면적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전립선비대 유발 호르몬인 DHT level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버섯류 추출물이 전립선 암 세포 내 PSA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mushrooms extract on the PSA expression in prostate cancer cells)

  • 김은경;당옥교;최희리;최은주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1-184
    • /
    • 2015
  • 버섯은 영양소 및 풍미가 뛰어나 오래전부터 식재료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항염증 및 항산화효능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버섯의 항산화 효능은 아직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버섯의 항전립선암 효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식용버섯인 참송이버섯, 꽃송이버섯, 편각영지버섯, 녹각영지, 현미동충하초버섯, 잎새버섯, 석이버섯, 상황버섯 등 8종 버섯의 열수 추출물에 대한 항전립선암 효능을 전립선암 세포주인 LNCaP에서 확인한 결과 참송이버섯, 편각영지버섯 및 현미동충하초버섯이 PSA 발현을 저해하는 효능이 탁월한 것을 확인하였다.

Vitamin C+etoposide 복합투여에 의한 전립선 암세포 성장 억제의 상승 효과 (Vitamin C Enhances the Effect of Etoposide to Inhibit Human Prostate Cancer Growth in vitro)

  • 이명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3호
    • /
    • pp.245-250
    • /
    • 2008
  • 전립선암은 남성 사망의 주된 원인이 되는 치명적인 질병으로 남성호르몬 의존형과 비의존형이 있다. Etoposide (Eto)는 현재 전립선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고 있으나 남성호르몬 비의존형에는 치료 성공률이 낮아서, 보다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왔다. 본 연구는 항산화제인 vitamin C (VC)가 전립선 암세포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남성호르몬 의존형-전립선 암세포인 LNCaP와 비의존형 암세포인 DU-145에 비교적 낮은 농도의 Eto와 VC를 복합처리한 결과, Eto만을 투여한 것과 비교하여 암세포의 성장이 현저하게 억제되었고, apoptosis의 발생률 역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러한 결과는 VC가 전립선암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는 Eto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강력히 시사하는 것이다.

산지별 고초균 발효누에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Water Extracts from Bacillus subtilis-fermented Silkworm (Bombyx mori L.) Powder by Origin)

  • 김태훈;안희영;김영완;심소연;서권일;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470-1478
    • /
    • 2017
  • 본 연구는 건강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서 활용하기 위해 부안, 남원 및 보은의 산지별 누에분말을 단백질 분해능이 뛰어난 Bacillus subtilis KACC 91157 균주로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누에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구성 아미노산 함량은 부안 누에군(BU)에서 가장 높았으나, 발효 후에는 보은 발효누에군(BBO)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미네랄 함량은 K, Ca, Mg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나, Na가 가장 높은 미네랄 함량의 증가율을 보였다. DPPH를 통한 자유라디칼 소거능과 혈전용해 효소활성은 발효 전에 비하여 발효누에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BBO군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전립선암 세포(LNcaP)와 유방암 세포(MCF-7) 성장 저해능은 BBO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PS 처리 RAW 264.7세포의 NO생성 억제활성 역시 BBO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산지별 고초균 발효누에 추출물을 비교해본 결과 보은 누에가 건강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서 활용할 가치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모링가와 칡이 호르몬-민감성 인체 전립선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s of Kadzu and Moringa on Hormone-Sensitive Human Prostate Cancer)

  • 이명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53-259
    • /
    • 2019
  • 본 연구는 식물성 모링가와 칡이 호르몬-민감성 전립선암에 어떤 효능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고자 전립선 특이항원 및 항산화 활성과 항암활성을 분석하였다. 각각 에탄올로 추출하여 control, 0.1, 1.0, 10.0, 50.0mg/ml의 농도에서 DPPH 분석한 결과 칡은 50mg/ml에서 42.1%, 과라나는 73.9%의 소거율을 보여 유의적인 항산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p<0.05). 호르몬에 민감한 인체 전립선암 세포주인 LNCaP에서 항암효과를 분석한 결과, 10mg/ml의 농도에서 모링가는 22±4.24%, 칡은 39.9±3.53%의 성장률을 나타냄으로써 분석한 두 가지 추출물 모두에서 뚜렷한 항암 효과가 있었고, 모링가 추출물이 칡 추출물보다 다소 높은 항산화 활성과 항암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천연 식물성 성분인 칡과 모링가가 호르몬에 민감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새로운 항암제로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며, 향후 이들 추출물 중에 어떤 특정성분이 이러한 역할을 하는지와 이에 대한 작용기작 및 안전성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nticancer activity and potential mechanisms of 1C, a ginseng saponin derivative, on prostate cancer cells

  • Wang, Xu De;Su, Guang Yue;Zhao, Chen;Qu, Fan Zhi;Wang, Peng;Zhao, Yu Qi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2권2호
    • /
    • pp.133-143
    • /
    • 2018
  • Background: AD-2 (20(R)-dammarane-3b, 12b, 20, 25-tetrol; 25-OH-PPD) is a ginsenoside and isolated from Panax ginseng, showing anticancer activity against extensive human cancer cell lines. In this study, effects and mechanisms of 1C ((20R)-3b-O-(L-alanyl)-dammarane-12b, 20, 25-triol), a modified version of AD-2, were evaluated for its development as a novel anticancer drug. Methods: MTT assay was performed to evaluate cell cytotoxic activity. Cell cycle and levels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ere determined using flow cytometry analysis. Western blotting was employed to analyze signaling pathways. Results: 1C concentration-dependently reduces prostate cancer cell viability without affecting normal human gastric epithelial cell line-1 viability. In LNCaP prostate cancer cells, 1C triggered apoptosis via Bcl-2 family-mediated mitochondria pathway, downregulated expression of mouse double minute 2, upregulated expression of p53 and stimulated ROS production. ROS scavenger, N-acetylcysteine, can attenuate 1C-induced apoptosis. 1C also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LNCaP cells through inhibition on $Wnt/{\beta}-catenin$ signaling pathway. Conclusion: 1C shows obvious anticancer activity based on inducing cell apoptosis by Bcl-2 family-mediated mitochondria pathway and ROS production, inhibiting $Wnt/{\beta}-catenin$ signaling pathwa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1C may provide leads as a potential agent for cancer therapy.

전립선암쥐모형의 신생혈관생성의 평가를 위해 시행된 역동적 조영 증강 초음파에서 얻은 변수간의 상관성연구 (The Correlations of Parameters Using Contrast Enhanced Ultrasonography in the Evaluation of Prostate Cancer Angiogenesis)

  • 황성일;이학종;김길중;정진행;정현숙;전종준
    • Ultrasonography
    • /
    • 제32권2호
    • /
    • pp.132-142
    • /
    • 2013
  • 목적: 전립선암 (PC-3, LNCaP)의 이종이식쥐 모델에서 초음파 조영제를 이용하여 측정한 시간-신호강도 곡선을 통해 얻은 역학적 변수를 조직병리적 변수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마리의 누드마우스에 인간전립선암세포(15 PC-3, 5 LNCaP)를 다리에 주입하여 이종이식쥐 모델을 제작하였다. 이후 $500{\mu}L$의 2세대 초음파 조영제인 Sonovue를 후안와정맥을 통해 주입하였다. 관심영역은 종양의 전체를 포함할 수 있게 그린 후, 시간-신호강도 곡선을 얻고 이를 감마변량함수에 적합시켰다. 최고신호강도(A), 최고도달시간 (Tp), 최고유입률 (washin), 최고 유출률 (washout), 50초까지의 곡선하면적 ($AUC_{50}$), 유입기면적 ($AUC_{in}$), 유출기면적 ($AUC_{out}$) 등을 감마변량함수에서 도출하였다. VEGF와 CD31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시행하였고, 종양부피, 시야당 VEGF 면적백분율, CD31 양성 미세혈관수 (MVD) 등을 계산한 후 이를 시간신호강도에서 얻은 역학적 변수와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PC-3 와 LNCaP간 동적 및 조직병리학적 변수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MVD는 A (r=0.625, p=0.003), washin (r=0.462, p=0.040), AUC (r=0.604, p=0.005), $AUC_{out}$ (r=0.587, p=0.007) 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종양부피와 $AUC_{50}$ (r=0.481, p=0.032), washin(r=0.662, p=0.001), $AUC_{out}$ (r=0.547, p=0.012) 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washout은 MVD (r=-0.454, p=0.044) 및 종양부피 (r=-0.464, p=0.039)에 모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시야당 VEGF 면적백분율은 역학적 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MVD는 다수의 역학적 변수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초음파 조영제를 이용한 초음파는 전립선암 동물모델에서 종양의 혈관성을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