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DERA SERICEA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조계산 털조장나무군낙의 구조와 동태 (Structure and Dynamics of Lindera sericea Community in Mt. Chogye, Korea)

  • Kim, J. H.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1호
    • /
    • pp.15-25
    • /
    • 1997
  • The deciduous shrubs, Lindera sericea belonging to family Lauracea are distributed in Mt. Chogye and Mudeung locally. To estimate the community structure of this shrub,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20 sites in Mt. Chogye were investigated. L. sericea community distributed at the hum양 zone of altitude 305-480 m in ES and NE slope of $15~30^{\circ}$.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this communities consisted of 17-32 species varied with sites. Sasa borealis, Sapium japonicum, and Quercus serrata were the constant species over 90%.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as Sasa borealis-Lindera sericea community, and the Sasa borealis-Meliosma oldhamii, and Sasa borealis-Callicarpa japonica were as subunit community. Acidity, organic matter content, inorganic phophate, potassium, calcium, magnesium,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conductivity were determined as environmental factors. Diameter of stem at ground surface and stem, distribution area and growth property of this plant were investigated, and this plant was presumed to be a relic endemic species.

  • PDF

털조장나무잎의 소염활성 및 Kaempferol 배당체의 분리 (Isolation of Kaempferol Glycoside from Lindera sericea and Anti-inflammatory Effect)

  • 박종철;박주권;김종홍;김성환;김남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19-522
    • /
    • 1996
  • From the leaves of Lindera sericea Bl., kaempferol-3,7-0-di-a-L-rhamnopyranoside was isolated and characterized by spectral data and acid hydrolysis. This compound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The content of kaempferol glycoside was high in May and June, and low in the fall. And the methoanolic extract of title plant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n carrageenin-induced edema.

  • PDF

무등산, 천봉산 및 조계산에서 털조장나무 개체군의 분포특성과 동태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the Lindera sericea Population at Mt. Mudeung, Mt. Cheonbong and Mt. Chogye)

  • 임동옥;최대훈;윤홍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70-579
    • /
    • 2015
  • 녹나무과 생강나무속인 털조장나무는 한국 희귀식물 가운데 약관심종(LC),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IV등급 종이며 무등산국립공원 깃대종이다. 무등산, 천봉산 및 조계산 지역에서 털조장나무는 경사도는 $12^{\circ}{\sim}51^{\circ}$, 분포사면은 북서사면에서 북동사면까지, 해발고는 220~533m사이에 분포하였다. 털조장나무를 조사한 방형구에서 확인한 관속식물은 37과 54속 66종 5변종 1품종 총 72분류군이었다. 이중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IV등급종은 털조장나무, III등급 종에는 노각나무와 단풍나무가 있었으며, 한국 고유종은 노각나무와 지리대사초였다. 털조장나무가 분포하는 무등산지역의 식생군집은 신갈나무와 졸참나무-털조장나무, 때죽나무 군집, 천봉산지역은 노각나무-털조장나무, 조릿대군집, 조계산지역의 선암사지역은 서어나무-털조장나무, 조릿대군집 그리고 송광사 지역은 노각나무-털조장나무, 조릿대군집이었다. 조사된 털조장나무는 총 662개체였는데 이중 치수를 포함한 줄기가 1개인 개체는 353개(53.32%)였고, 2~5개의 맹아지를 갖는 개체는 270개(40.79%)였다. 맹아지 수가 가장 많은 개체는 27개로 확인되었다. 전체 662개체에서 맹아지 수는 1,198줄기였다. 또한 수고는 50cm에서 150cm까지의 개체가 699개(58.34%)로 가장 많았고 가장 큰 맹아지는 565cm였다. 맹아지의 근원 직경은 1cm미만이 992개(82.81%)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직경 1.0~1.5cm는 156개(13.2%)였다. 가장 큰 줄기는 근원 직경이 3.2cm이고 키는 565cm이었는데 근원부는 50%가, 흉고부는 25%가 고사된 상태였고, 줄기 한쪽이 세로로 찢어져 있었다. 4m이상인 3개체의 줄기도 정단부의 가지가 일부 고사된 상태였다. 따라서 한국산 털조장나무는 정아우세인 수형을 유지하지만 일정 수고 이상의 줄기는 고사되고 맹아지 수를 증가시킴으로서 개체의 형태적 적응을 보이는 관목이다.

한국산 목본식물에 대한 계통분류학적 연구

  • Kim, Kyung Sik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7권1호
    • /
    • pp.15-24
    • /
    • 1984
  • Leaf venation of 12 species of Lauraceae in Korea, native or introduced, was investigated and described by the use of Soft X-Ray. They could be grouped by the venation types, such as, 1. Actinodromous; Lindera obtusiloba, 2. Acrodromous; Cinnamomum camphora, C. japonicum, C. loureirii, 3. Brochidodromous having strongly developed basal secondary vein; Neolitsea aciculata, N. sericea, 4. Brochidodromous hoving irregulary branched secondary vein; Lindera erythrocarpa, L. glauca, 5. Brochidodromous having weak marginal loop; Machilus thunbergii, M.Japonica, 6. Brochidodromous having typical venation; Iozoste lancifolia, Litsea japonicum. This grouping corresponded with current classifying system at genus level except for genus Lindera, and supported Nakai's system at Tribe level. They also showed a gradual transition from brochidodromous to actinodromous types, but to certify the systematic value of this transition warrented more study. Identifying key for the species could be made by the venation type.

  • PDF

무등산국립공원 옛길 2구간의 식생구조분석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on the 2nd Old Trail in Mudeungsan National Park)

  • 유승봉;이상철;강현미;김영선;신해선;장정은;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4-234
    • /
    • 2020
  • 본 연구는 무등산국립공원 옛길 제2구간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총 60개의 조사구를 설치 및 조사하여 TWINSPAN과 DCA를 통해 군락을 분류한 결과 총 5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군락I은 낙엽활엽수군락, II는 소나무-졸참나무군락, III은 졸참나무군락, IV는 비목나무군락, V는 신갈나무군락으로 최종 분류되었다. 분류된 군락들은 해발고에 따른 우점종의 분포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군락 IV를 제외한 4개의 군락은 교목층의 수종이 우점하는 가운데 아교목층에서 때죽나무가 우점하는 현재의 군락의 형태가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군락 II~IV의 관목층에 발달한 조릿대는 일시개화 및 고사 이후 하부식생 천연갱신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군락 II의 소나무-졸참나무간의 경쟁관계는 장기적인 측면에서 소나무군락의 세력 감소에 대한 관찰이 요구된다. 옛길 2구간은 해발고별 식생의 변화가 뚜렷하고 무등산국립공원의 깃대종인 털조장나무가 자생하는 등 생태적으로 가치가 높은 탐방로로써, 지속가능한 이용을 통해 우수한 산림생태계를 보전하여야 한다.

Chromosome Counts from the Flora of Korea with Emphasis on Apiaceae

  • Sun, Byung-Yun;Park, Jung-Hee;Kwak, Min-Ju;Kim, Chul-Hwan;Kim, Kyung-Sik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9권1호
    • /
    • pp.15-22
    • /
    • 1996
  • Seventy-three chromosome counts are reported from populations in 70 species from Korea, of which 34 counts in 32 species belong to Apiaceae. New species counts are in Acanthopanax chiisanensis(2n=48), Hydrocotyle japonica(2n=ca.96), H. maritima (n=12), Libanotis coreana (2n=22), Lindera sericea (n=12), Quercus myrsinaefolia (n=12), Rhamnus yoshinoi (n=12), Salix hulteni (n=19),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n=11) and Vaccinium oldhami (n=12). New chromosome level for Asperula odorata (n=11), Cryptotaenia japonica (2n=16) and Sium ninsi (2n=18) is also provided. The taxonomic implications of certain of these counts are discussed.

  • PDF

한국산 목본식물에 대한 계통분류학적 연구 (Systematic Studies on Some Korean Woody Plants -Anatomy of Lauraceous Stem Woods-)

  • Park, Sang Jin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7권2호
    • /
    • pp.81-94
    • /
    • 1984
  • Anatomical features and cell dimensions of the secondary xylem in the stem of the korean Lauraceas including 6 genera and 12 species were investigated under a light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Key to identification among genera or species was made from the anatomical features and systematic correlation investigated. The stem woods of Lauraceae exhibit the following characters: (1) quite evenly distributed pores (diffuse-porous wood) (2) perforation plates simple or occasionally scalariform in the latewood vessels (3) almostly 2-seriate and heterocellular rays (4) abundant paratracheal-vasicentric parenchyma (5) oil cells. Especially, the appearance of simple perforation plates suggest the Lauraceae to be more or less advanced. It is considered that the series of specialization in the Lauraceae from the perforation plates and the height of rays is as LinderalongrightarrowNeolitsealongrightarrow(Machilus, Litsea, Iozoste)longrightarrowCinnamomum, and Lindera sericea is the most pribitive in the Lauraceae.

  • PDF

진도 여귀산 상록활엽수림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Mt. Yeogwi in Jin-do Island)

  • 장정재;김준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6호
    • /
    • pp.410-419
    • /
    • 2005
  • 상록활엽수림의 지속적 보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전남 진도의 여귀산에서 상록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상록수종에 대하여 흉고직경분포와 개체군분포상황을 파악하였으며, 수종의 중요치를 사용하여 cluster 분석에 의하여 군집을 분류하였다. 군집별로 종다양도, 균재도, 종상관 등을 산출하였으며, CCA분석에 의하여 군집과 토양환경인자간의 연관관계를 파악하였다. Cluster 분석에 의하면 여귀산의 상록활엽수림은 동백나무군집군과 붉가시나무군집군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다시 동백나무-상록활엽수군집,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 동백나무-낙엽활엽수군집, 붉가시나무-동백나무군집, 붉가시나무군집의 5개 군집으로 세분되었다. 상록활엽수 수종 중에서는 동백나무, 붉가시나무, 참식나무, 후박나무, 붓순나무, 광나무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낙엽활엽수 수종 중에서는 때죽나무, 비목나무, 산딸나무, 산벚나무, 자귀나무, 상수리나무 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각 군집의 종다양도는 붉가시나무-동백나무군집이 종다양도가 0.823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붉가시나무군집(0.8135), 동백나무-낙엽활엽수군집(0.7931), 동백나무-상록활엽수군집(0.7674),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0.6164) 순이었다. 여귀산의 주요 상록수종은 2 cm~10 cm의 직경급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BH 5 cm 이하의 동백나무가 전 지역에 걸쳐 괴상으로 분포하고 DBH가 증가함에 따라 임의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DBH 15 cm 이상에서는 붉가시나무가 참식나무, 후박나무 등에 비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동백나무와 붉가시나무, 붓순나무, 산딸나무 사이에는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참식나무와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붉가시나무는 참식나무, 후박나무와는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붓순나무와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참식나무는 산딸나무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조사지의 토양 pH는 4.04~5.16이었고, 유기물함량은 3.15~9.21%, 유효인산함량은16.1~37.1 ppm, 양이온치환용량은 7.6~11.5 me/100 g이었다. CCA분석에 의하여 5개 군집 및 주요 수종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토양유기물함량과 양이온치환용량이 높고 토양 산도가 낮아질수록 동백나무가 우점종으로 생육하면서 점차 참식나무, 붉가시나무의 혼효군집으로 발달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Evaluation of Anti-Asthmatic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the Lauraceae Family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NCI-H292 Cells

  • Jiyoon, YANG;Su-Yeon, LEE;Hyunjeong, NA;Soo-Kyeong, JANG;Mi-Jin, PAR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6호
    • /
    • pp.414-426
    • /
    • 2022
  • The Lauraceae family has commercial uses, such as in the food, pharmaceutical, and perfume industr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ti-asthmatic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the seven species in the Lauraceae family. The essential oils were extracted from the leaves of seven species,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was investigat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major constituents of essential oils differed depending on the species, even if they belonged to the same family. The main constituents were camphor (89.09%) in Cinnamomum camphora, linalool (26.91%) in Cinnamomum cassia, 1,8-cineole (23.90%) in Cinnamomum japonicum, d-limonene (10.27%) and β-eudesmol (10.03%) in Lindera obtusiloba, δ-cadinene (13.85%) and α-phellandrene (11.57%) in Machilus japonica, cis-,trans-β-ocimene (13.80% and 12.06%) and elemol (11.46%) in Neolitsea aciculata, and cis-β-ocimene (37.94%) and sabinene (24.91%) in Neolitsea sericea. The anti-asthmatic activity of essential oils was investigated using the lipopolysaccharide-induced NCI-H292 cells. The relative expression levels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1β and IL-6] and mucus gene (MUC5AC and MUC5B)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essential oils from seven species in the Lauraceae family. Among the seven essential oils, the essential oil from L. obtusiloba had the most superior anti-asthmatic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ssential oil of L. obtusiloba leaves could be used as an agent to suppress mucus hypersecretion.

조계산(曹溪山) 삼림식생(森林植生)의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Ecological Studies on the Forest Vegetation in the Mt. Joghe)

  • 장석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1호
    • /
    • pp.54-71
    • /
    • 1991
  • 1980년(年) 7월(月)부터 1989년(年) 8월(月)까지 조계산(曹溪山) 삼림식생(森林植生)을 조사(調査)하고 식생구조(植生構造)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조사(調査)된 관속식물(管束植物)은 750종류(種類)로 49목(目), 122과(科), 434속(屬), 627종(種), 1아종(亞種), 111변종(變種), 11품종(品種)으로 조사(調査)되었으며, Abies, Erythrortium, Spiranthus, Paeonia, Dictammus, Bupleurum 6속(屬)과 단풍마(Dioscorea quinguelobia), 타래난초(Spiranthes sinensis), 금난초(Cephalanthera falcata), 참당귀(Angelica gigus), 큰꽃으아리(Clematis patens), 산작약(Paeonia japonica), 부용(Hibiscus mutabilis), 단풍취(Ainsliama aceritolin), 백선(Dictamnus dasycarpus), 민백미꽃(Cynanchum ascyritolium), 봄구슬봉이(Gentiana thunbergii), 병개암나무(Corylus hallaisanensis), 잣나무(Pinus koraiensis), 바위말발도리(Deutzia prunifolia), 산앵도나무(Vaccinium koreanum), 엘레지(Erythronium japonicum), 땅비싸리(Indigofera kirilowii) (17종), 애기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var. humillis), 줄사철나무(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곱향나무(Juniperus communis var. nipponica), 송금나무(Callicarpa japonica var. taqiletti)(4변종)와 그리고 털생강나무(Lindera abtusiloba for. villosum)(1품종) 등을 추가 하였다. 2. 조계산식물상(曹溪山植物相)의 Raunkiaer의 Life form spectrum은 $CH-D_1-R_5-e$ type으로 분류(分類)되었으며 분포지(分布地)은 Nakai, 이(李), 임(任)의 남부형(南部型)에 일치(一致)하며 난대분자(暖帶分子)도 Lygodium, Cyrtomium, Torreya, Melia, Cayratia Thea, Bamboo등 7속(屬)이 분포(分布)한 것으로 나타냈다. 3. 삼림(森林) 식생(植生)의 Simpson 평균(平均) 종다양도(種多樣度) DS=0.9로 나타났고 Shannon-Wienner의 다양도(多樣度) 지수(指數) H1. 400로 다양(多樣)한 식생(植生) 군락(群落) 구성(構成)을 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4. Pte Q는 1.81로서 전국평균 1.68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귀화 식물에 대한 UI=28.75 외래수종(外來樹種)에 대한 UI=17.49로 백운산(白雲山), 내장산(內藏山)과 유사하였다. 5. 조계산(曹溪山) 삼림식생(森林植生)은 졸참나무, 서어나무, 굴참나무, 소나무, 신갈나무, 굴피나무, 상수리나무의 7개 자연군락(自然群落)과 때죽나무, 노각나무, 비목나무, 느티나무, 붉나무, 층층나무, 물푸레나무, 들메나무 등 8개(個)의 대상군락, 잣나무 편백, 일본잎갈나무, 밤나무, 리기다소나무, 일본목련, 삼나무 등 7개(個)의 인공식재군락(人工植栽群落)이 포함되어 자연식생, 대상식생, 인공식재림 등의 3개(個)의 식생형(植生型)이 분류(分類)되었다. 6.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방법(方法)에 의(依)하여 1/25000 지형도(地形圖)에 현존식생도(現存植生圖)와 계층구조도(階層構造圖)를 작성(作成)하였다. 7. 중요(重要)한 종(種) 또는 특이(特異) 군락(群落)으로는 이(李) 김(金)과 박(朴)이 보고(報告)한 털조장나무(Lindera sericea) 새이삭여뀌(Persicaria tilitorme), 대팻집나무(flex macrophda), 민대팻집나무(I. macropoda for. pseudo-macropoda),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진퍼리잔대(Aden ophora), 히어리(Corylopsis coreana)등은 일치(一致)하였고, 산앵도나무(Vaccinium coreanum), 약난초(Cremastra appendiculinium), 곱향나무(Juniper communis var. nipponica), 금난초(Cephalanthera falcata), 애기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var. humilis), 큰꽃으아리(Clematis patens), 산작약(Paeonia obovata), 바위말발도리(Deatzia prunifolia), 백선(Dictmnus dasyarpus), 참당귀(Angelica gigics), 시호(Bupleurum falcatum)등의 종(種)이 추가(追加)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