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ME

검색결과 1,462건 처리시간 0.022초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의 특성 (The Properties of a Nonlinear Direct Spectrum Method for Estimating the Seismic Performance)

  • 강병두;김재웅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65-73
    • /
    • 2002
  • 성능에 기초한 설계법에서는 비선형 응답산정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비선형시각이력해석법, 비선형 정적해석법, 비선형 효과를 고려한 등가선형해석법 등이 있다. 일부 규준에서는 pushover곡선으로부터 작성한 성능스펙트럼과 선형 응답스펙트럼으로부터 작성한 요구스펙트럼으로 이루어진 능력스펙트럼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방법은 개념적으로는 간단하나 반복과정이 요구되며, 부정확한 결과를 산출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시행착오적인 등가선형 스펙트럼대신 비선형스펙트럼을 사용하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비선형 요구스펙트럼은 표준적 선형 설계스펙트럼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등가선형의 경우보다는 계산과정이 대폭 줄어들기는 하나 아직도 다소의 연산과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자유도계의 구조물에 대한 pushover곡선으로부터 구조물의 진동주기와 항복강도를 구한 다음, 일련의 계산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직접적으로 비선형 최대응답을 구할 수 있는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NDSM)을 제시하극 집중질량계의 MDF(다자유도계) 모델에 대해 다양한 지진기록과 제하강성저하지수를 변수로 하여 NDSM의 적용성과 신뢰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다자유도계 구조물에 대한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에 의한 최대변위 응답은 비선형 시각이력해석법에 의한 응답과 거의 일치하므로 실용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2) 비선형 직접스펙트럼법과 비선형 시각이력해석에 의해 산정된 죄상층 변위 결과를 비교하면, 항복후강성계수가 0.1, MAD(modal adaptive distribution)에 의한 수평정적하중분폰 그리고 제하강성저하지수가 0.2~O.3일 때 평균오차가 가장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토처리의 높이가 한국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opdressing Height on The Growth of Zoysiagrass (Zoysia japonica))

  • 배은지;이광수;박남창;허무룡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2호
    • /
    • pp.83-89
    • /
    • 2012
  • 본 연구는 배토작업에 따른 한국잔디의 적정 밀도와 질을 유지하기 위한 배토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배토를 하지 않은 처리구와 배토높이 2, 4, 8과 16 mm 처리구를 비교한 결과, 초장, 지상부, 포복경과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 포복경과 지상부의 개수는 배토높이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엽록소와 카로티노이드 함량 또한 증가하였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전량질소, 전량인산, 전량가리, 전량고토, 전량석회도 배토를 하지 않은 처리구보다 배토높이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토를 하지 않은 처리구보다 배토처리구에서 산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알칼리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기물 함량, 전질소, 치환성양이온($K^+$, $Na^+$, $Ca^{2+}$, $Mg^{2+}$)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효인산은 감소하였다. 배토처리를 하지 않은 처리구보다 배토처리구에서 잔디의 생육이 증가하고, 밀도율이 높았으며, 토양 화학성도 양호하게 변화하였다. 배토높이에 따른 효과는 8 mm에서 토양내 유기물 함량과 전질소가 가장 높았고, 생육이 향상되는 것으로 보아 한국잔디에 대한 적정 배토높이인 것으로 판단된다.

Characteristic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Abandoned Coal Mine Forest Rehabilitation Areas in Boryeong City, Chungcheongnam-do

  • Jung, Mun Ho;Shim, Yon Sik;Kim, Yoon Su;Park, Mi Jeong;Jung, Kang H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744-750
    • /
    • 201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for forest rehabilitation and suggest management in abandoned coal mine areas in Boryeong City, Chungcheongnam-do. Total study sites were seven sites, and soil properties analyzed were soil pH, total organic carbon (TOC), total-N, C/N ratio, and available $P_2O_5$ (A.v. P). Average soil pH (range) was 5.9 (4.5~7.0). Three study sites (Samgwang, Shinsung1, and Shimwon1) showed lower soil pH than standard (pH 5.6~7.3) of Korea Industrial Standards (KS) for abandoned coal mine forest rehabilitation. Average contents of TOC, and total-N were 1.5% (0.1~4.7%), and 0.10% (0.03~0.23%), respectively. Five study sites where the collapsed time was less than 10 years (Wangjashingang, Wonpoong, Samgwang, Shinsung1, and Shinsung2) showed lower TOC level than standard of KS (more than 1.2%). Wangjashingang, Wonpoong, Samgwang, and Shinsung1 showed lower level of total-N than standard of KS (more than 0.09%). C/N ratio of six study sites except Shimwon1 was out of proper range (15:1~30:1). Average A.v. P (range) was $20.7mgkg^{-1}$ (4.8~63.1), less than other abandoned coal mine fores rehabilitation areas in Mungyong City, and Hwasun-gun. TOC, total N and A.v. P increased with elapsed time from forest rehabilitation, while other soil properties did not show distinct pattern. Betula platyphylla was planted in Samkwang and Sinsung where soil pH was less than KS standard. Because the growth of Betula platyphylla can be limited in acid soil, it is necessary to neutralize soil pH to proper level with some soil amendment such as lime or shell of oyster. Furthermore, TOC, total-N and A.v. P in early stage of forest rehabilitation showed lower level than proper to vegetation growth. Therefore it needs continuous monitoring of soil characteristics and fertilization for vegetation growth and influx from surrounding forest in early stage of rehabilitation.

Long-term Assessment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Different Soil Texture Orchard Fields in Gyeongnam Province

  • Kim, Min Keun;Sonn, Yeon-Kyu;Kang, Seong-Soo;Heo, Jae-Young;Kim, Dae-Ho;Choi, Yong-Jo;Lee, Sang-Dae;Shin, Hyun-Yul;Ok, Yong Sik;Lee, Young Ha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40-245
    • /
    • 2015
  • The monitoring of soil fertility changes in orchard is very important for agricultural sustainability. Field monitoring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140 orchard (23 sites for sandy loam, 88 sites for loam, 28 sites for silt loam, and 1 site for loamy fine sand) in Gyeongnam province every 4 years from 2002 to 2014. Soil chemical properties such as pH, electrical conductivity, amount of organic matter (OM), available phosphate ($P_2O_5$), lime requirement (LR), exchangeable potassium (K), calcium (Ca), magnesium (Mg), and sodium were analyzed. The amount of OM, exchangeable K, Ca, and Mg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cultivation year increases. The frequency distribution within optimum range of subsoil chemical properties in 2014 was 34.3% for pH, 35.0% for OM, 17.1% for available $P_2O_5$, 22.9% for exchangeable K, 15.7% for exchangeable Ca, and 22.1% for exchangeable Mg. In addition, the available $P_2O_5$ and exchangeable calcium were excess level with portions of 69.3% and 48.6%, respectively.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in the topsoil and subsoil showed that soil p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andy loam soil than those from the loam and silt loam soils. The OM, exchangeable K, Mg, and LR of loam soil were higher than those from the sandy loam soi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 balanced management of soil chemical properties as affected by soil texture can improve the amount of fertilizer applied for sustainable agriculture in orchard field.

1996년과 2006년 IPCC 가이드라인별 경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Assessment of Greenhouse gases Emission of Agronomic Sector between 1996 and 2006 IPCC Guidelines)

  • 정현철;김건엽;이덕배;심교문;강기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214-1219
    • /
    • 2011
  • 본 연구는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에서 향후 적용될 2006 IPCC 신규 가이드라인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해외사례를 분석하고, 기존 가이드라인과의 방법론 및 배출계수 차이점을 분석하여 실제 배출량을 산정해 보고자 수행하였다. 해외 ANNEX I 국가들의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우리나라와 농업여건이 비슷한 일본의 경우 일부는 2006 IPCC 가이드라인의 방법론과 배출계수를 적용하고 있었으며, 미국의 경우는 대부분이 2006 IPCC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1996 IPCC와 2006 IPCC 가이드라인의 방법론과 기본계수를 적용하여 경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평가한 결과, 신규가이드라인을 적용했을 때 약 26~29%의 배출량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배출량 차이에 대한 주요 원인은 일부 배출원 항목에 대한 삭제 및 배출계수의 차이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료와 토양개량제가 장기 연용된 논토양에서의 유효규산 변동과 벼 수량 (Rice Yield and Changes of Available Silicate in Paddy Soils from Long-term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s and Soil Amendments)

  • 김명숙;김유학;현병근;양재의;장용선;윤홍배;손연규;이예진;하상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118-1123
    • /
    • 2011
  • 비료 및 토양개량제를 장기간 시용한 벼 재배포장에서 토양 중 유효규산 함량 분포 특성과 벼 생육량 차이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42년 동안의 실험에서 규산질 비료의 시용은 토양의 유효규산 함량을 최대 $333mg\;kg^{-1}$까지 증가시켰고, 표토뿐만 아니라 심토에까지 영향을 주어 규산이 축적되었다. 또한, 벼의 규산 흡수량은 3요소구에 비해 볏짚퇴비를 시용한 구에서는 64%, 볏짚퇴비와 규산질비료를 병용하여 시용한 구에서는 98%를 더 흡수하였다. 벼의 수량도 규산질비료를 시용한 구에서는 37~47% 정도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볼 때 무기질 비료와 더불어 유기질비료 및 규산질비료를 혼용하는 것은 토양비옥도를 향상시키고, 비료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중에 하나로 생각되었다.

중금속 안정화제의 반응 매개변수 결정 및 중금속 안정화 효율성 평가 (Determining Kinetic Parameters and Stabilization Efficiency of Heavy Metals with Various Chemical Amendment)

  • 오세진;김성철;김태희;연규훈;이진수;양재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063-1070
    • /
    • 2011
  • 본 연구는 수용액 내 존재하는 Cd, Pb을 다양한 화학적 안정화제를 이용하여 안정화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안정화제는 중금속 이온과의 반응특성 별로 석회물질, 광물질 등으로 구분하여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5종을 선정하여 사용했다. 안정화 효율성 평가방법은 용액 내 중금속 함량을 단계적으로 제조하여 안정화 효율성, 반감기 및 반응속도 산정 및 반응 후 안정화제의 반응생성물 확인의 순으로 진행했다. 안정화 효율성 평가결과 석회물질 ($CaCO_3$)을 다량 함유하여 기본적으로 pH를 8이상으로 교정하는 안정화제의 경우 처리량에 상관없이 대부분 불용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낮은 산도교정 물질은 50% 수준의 효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율성이 크게 나타난 물질을 대상으로 반응속도상수 (K)를 산출한 결과 Cd의 경우 처리량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Pb의 경우 초기에 반응속도가 빠르게 일어나 처리량에 따른 평가는 불가능 하였다. 다량의 중금속 이온과 반응시킨 안정화제의 표면관찰을 통한 생성물 검정 결과 SEM 사진으로 반응 전 후의 생성물 확인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SEM-EDS 분석결과 반응 후 물질 표면에서 Cd과 Pb의 성분 검출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XRD 분석을 통해 효율성이 좋았던 물질에서 Cd과 Pb 성분의 검출이 확인되어 수용액 상에 이온형태로 존재하는 중금속의 복원에 안정화제를 이용한 저감은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광산 인근 밭토양에서 중금속 안정화제 처리 및 복토층 처리에 의한 토양 중 중금속 식물유효도 변화 및 고추의 중금속 흡수 (Changes in Heavy Metal Phytoavailability by Application of Immobilizing Agents and Soil Cover in the Upland Soil Nearby Abandoned Mining Area and Subsequent Metal Uptake by Red Pepper)

  • 김권래;박정식;김민석;구남인;이상환;이진수;김성철;양재의;김정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64-871
    • /
    • 2010
  • At the current situation of continuous utiliz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upland for agricultural purpose in Korea, minimizing transport of heavy metals from soil to crops is important for securing safety of human health. The present study (in field scale) examined the efficiency of several soil amendments (dolomite, steel slag, lime, zeolite, and compost) on reduction of phytoavailable heavy metals (Cd, Cu, Pb, and Zn) in soil through comparison with no amendment treatment and clean soil cover treatment. For determination of the phytoavailability, 1 M $NH_4NO_3$ extraction and red pepper cultivation were introduced. Among the amendments, in general, dolomite and steel slag were the most effective in reduction of metal (Cd, Pb, and Zn) phytoavailability resulting in less accumulation of these metals in shoot and fruit of red pepper. However, dolomite and steel slag treatment was not as effective as clean soil cover treatment which showed the least metal accumulation in red pepper fruit. Nevertheless, with taking into account the cost, treatment of dolomite or steel slag can be competitive method because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dolomite or steel slag treatment reduced accumulated heavy metal concentration effectively in both shoot and fruit of red pepper compared to those from control soil and the concentration in fruit was within the standard value (<0.2 mg $kg^{-1}$ for both Cd and Pb).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체인을 활용한 시스템 복구 기법 (A System Recovery using Hyper-Ledger Fabric BlockChain)

  • 배수환;조선옥;신용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55-161
    • /
    • 2019
  • 오늘날 수많은 기업과 기관들은 인터넷을 사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한다. 정보시스템은 재해 또는 장애로 인해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기능을 손실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재해복구시스템을 활용하여 이를 대비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재해 복구시스템은 시스템 복구를 위한 파일이 손상되는 경우 정상적으로 복구를 수행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시스템 복구 파일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복구를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블록생성을 위하여 PBFT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리더 노드에 의해 수행된다. 장애 상황 발생 시 복구 대상의 복구 파일의 해시 값을 블록체인 내의 해시 값과 비교하는 검증 작업을 거쳐 복구 파일의 무결성을 확인하고 복구를 진행한다. 제안 기법의 평가를 위하여 기존의 시스템 복구기법과 데이터 정합성, 데이터 보존 여부, 복구 파일 무결성 검증, 제안 기법 사용 시 트래픽 발생량을 분석하여 실제 적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였다.

비금속 광산 폐분의 공학적 특성 및 활용 가능성 분석 (Evaluation of Engineering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Nonmetal Mining Waste Powder as Geo-Materials)

  • 조진우;이용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12호
    • /
    • pp.71-7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비금속 광산에서 원석을 채취하거나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분의 공학적 특성 및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폐분재료에 대한 기본적인 물리적, 역학적 특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원석의 차이에 따른 폐분의 물리 역학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석회석 폐분 2개, 백운석 폐분 1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첨가제로 시멘트와 벤토나이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지반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화강풍화토를 대체할 재료로 폐분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화강풍 화토와 폐분의 혼합비에 따른 다짐, 일축압축강도, 투수계수 특성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석회석 및 백운석 등의 비금속 광산폐분은 일반적인 쇄석골재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석분과 화학적 조성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산화마그네슘(MgO)의 함량이 높은 백운석 폐분이 석회석 폐분보다 공학적 특성이 뛰어난 재료로 평가되었다. 화강풍화토에 대한 폐분의 혼합비가 증가할수록 다짐, 일축압축강도, 투수계수 특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시험결과, 백운석 폐분은 물류비를 고려하여 현지의 화강풍화토와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한다면 매우 유용한 지반재료로 활용할 수 있는 재료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