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FG(Landfill Ga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6초

대구 방천리 위생 매립장 매립가스 예측 발생량과 실포집량과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Estimated LFG Emission Rate and Actual LFG Extraction Rate for Daegu Bangcheon-ri Landfill Site)

  • 이석형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21-724
    • /
    • 2007
  • Estimating of LFG emission rate has been well established. But, relatively short history of LFG extraction in Korea, the data and the formular have not been well compared and analyzed. Here, even though the operation period of extraction for Daegu Bangcheon-ri is short, the relevant correlation between estimated and the actual has been tried to find. Hopefully, this will be a guideline for the future LFG forecasting.

  • PDF

흡착제를 이용한 매립지가스 내 $CO_2$ 분리 특성 (Characterization of $CO_2$ Separation in Landfill Gas by Using Adsorbent)

  • 허려화;유영돈;김문현;김형택;최익환
    • 신재생에너지
    • /
    • 제5권4호
    • /
    • pp.46-5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lective adsorption of $CO_2$ from LFG (Landfill gas) by using commercialized NaX-type zeolite adsorbent under the ambient temperature and pressure. The experiment of $CO_2$ adsorption was carried out by using simulated LFG. The $CO_2$ adsorption capacity and separation efficiency of NaX-type adsorbent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gas flow rate and gas composition at inlet and outlet of the adsorption reactor. The adsorbed $CO_2$ were desorbed under decompression condition which 0.5 Torr or by air purge. Through the result to use simulated LFG, when the method of VSA was used, 73.2~75.3 mg of $CO_2$ was adsorbed per 1 g commercial adsorbent, when the method of air purge was used, 78.4~83.2 mg of $CO_2$ was adsorbed per 1 g of commercial adsorbent.

  • PDF

도심지역 매립장의 VOC 성분 조성과 배출 특성에 대한 연구 (The emission of VOCs as landfill gas (LFG) from an urban landfill site)

  • 김기현;최규훈;오상인;최여진;선우영;전의찬;주도원
    • 분석과학
    • /
    • 제16권5호
    • /
    • pp.407-41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중형 규모의 매립장지역을 중심으로 환경대기 및 배출가스 중의 VOC농도를 관측하였다. 특히 배출가스에 대해 15가지 VOC성분을 GC-PID방식으로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15가지 성분의 탄소성분의 조성에 미치는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배출가스 중의 VOC는 수 십 ppm 수준으로 일반 대기 중의 농도와 1천배 가까운 차이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배출가스와 환경대기 중의 VOC 농도에는 상당한 수준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자료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한 결과 15가지 VOC성분과 전체 비메탄계 탄화수소 (NMHC)의 배출량은 연간 8.6과 103 ton으로 계산되었다. 특히 이들 15개 VOC성분 중에서 BTEX의 기여도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ffects of Hydrogen Sulfide and Siloxane on Landfill Gas Utility Facilities

  • Nam, Sang-Chul;Hur, Kwang-Beom;Lee, Nam-Hoo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159-164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impure gas-like hydrogen sulfide and siloxane contained in landfill gas (LFG)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impure gas on LFG utility facilities. As a result of an LFG component analysis from eight landfills in the same environment, hydrogen sulfide averaged 436 ppmv (22-1,211 ppmv), and the concentration of total siloxane averaged 7.95 mg/$m^3$ (1.85-21.18 mg/$m^3$). In case of siloxane concentration by component, the ratio of D4 (average 3.79 mg/$m^3$) and D5 (average 2.64 mg/$m^3$) indicated the highest level. Different kinds of scales were found on the gas air heater (GAH) and inside the boiler. The major component of scale from the GAH was $Fe_2O_3$ of 38.5%, and it was caused by hydrogen sulfide. Other scale was found on the bottom and the wall of the boiler and the scale was silicon dioxide of 92.8% and 98.9%. The silicon dioxide scale was caused by combustion of siloxane. As a result of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the structure of the silicon dioxide scale from the boiler was an immediate filamentous type. Consequently, as silicon dioxide scale is bulky, such bad effects were worsening, as an interruption in heat conduction, increase in fuel consumption, damage to the boiler by overheating, and clogged emission pipeline could occur in LFG utility facilities.

Applying methane and carbon flow balances for determination of first-order landfill gas model parameters

  • Park, Jin-Kyu;Chong, Yong-Gil;Tameda, Kazuo;Lee, Nam-Hoo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374-383
    • /
    • 2020
  • Landfill gas (LFG) emissions from a given amount of landfill waste depend on the carbon flows in the wast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ore accurately estimate the first-order decay parameters through methane (CH4) and carbon flow balances based on the analysis of a full-scale landfill with long-term data and detailed field records on LFG and leachate. The carbon storage factor for the case-study landfill was 0.055 g-degradable organic carbon (DOC) stored per g-wet waste and the amounts of DOC lost with the leachate were less than 1.3%. The appropriate CH4 generation rate constant (k) for bulk waste was 0.24 y-1. The the CH4 generation potential (L0) values ranged 33.7-46.7 m3-CH4 Mg-1, based on the fraction of DOC that can decompose (DOCf) value of 0.40. Results show that CH4 and carbon flow balance methods can be used to estimate model parameters appropriately and to predict long-term carbon emissions from landfills.

LFG-Hydrate를 통한 매립가스 에너지화 공정 개발 (Development of process for energy recovery from landfill gas using LFG-Hydrate)

  • 문동현;신형준;한규원;이재정;윤지호;이강우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52.2-152.2
    • /
    • 2010
  • LFG는 매립된 폐기물 중 유기성분이 혐기성조건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되면서 발생하며, 이러한 매립지가스는 주변 지역의 자연 및 생활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소각 등의 방법으로 LFG를 처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매립지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량은 폐기물 1톤 당 $150{\sim}250m^3$로서 매립 후 2~3년 후에 최대량이 발생하며 매립 후 20~30년 후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함으로 안정적인 LFG의 공급이 가능하며, 메탄함량이 50%인 경우 약 $5,000kcal/m^3$의 높은 발열량을 가지므로 대체에너지원으로 이용할 경우 환경적인 문제 해결 및 신재생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LFG 자원화 할 경우 가장 안정적인 방안으로 발전 및 중질가스로 활용하는 것이나, 발전의 경우 최소 200만톤 이상의 매립용량을 갖추어야 경제적인 사업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중질가스로 활용하는 경우 인근에 가스 수요처를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만약 중 소규모의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LFG를 안전하고 경제적인 조건으로 저장 및 수송할 수 있다면 중 소규모의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LFG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안전하고 경제적인 저장과 수송기술을 통하여 발전이 아닌 중질가스로의 활용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여러 곳의 매립장에서 발생한 LFG를 한 곳으로 집중시켜 고질가스로 전환하는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정제된 고질가스를 이용하여 발전보다 경제적인 자동차 연료나 도시가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LFG의 저장과 수송기술 중 GTS 기술을 통하여 저장과 수송에 제약이 크고 많은 비용이 소비되는 기체 상태의 에너지원을 하이드레이트화 시킴으로서 중 소규모 매립지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가스저장과 지상수송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LFG 에너지화 실증화 플랜트를 설계/제작 하였으며, 메탄+이산화탄소+물 하이드레이트 형성 실험 결과 4.56 Mpa, 277.2 K 조건에서 3시간을 한 사이클로 하는 공정운전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생성된 슬러리상의 하이드레이트를 고압으로 배출하여 펠릿으로 형성시켰으며, 형성된 하이드레이트 펠릿의 경우 92.27%의 메탄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매립지 배출가스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계절간 조성차에 대한 연구 (Studies of Seasonal Variations in Emission Patterns of Landfill Gas VOC)

  • 김기현;오상인;선우영;최여진;전의찬;사재환;임지영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59-268
    • /
    • 2005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easonal variations in the composition and emission patterns of VOC ventilated as landfill gas (LFG) from an urban municipal landfill site during the winter (2002) and summer (2003) period. The results of our study, when examined using the major aromatic VOC components as BTEX, indicated the existence of diverse characteristics in the LFG emissions of VOC. It was found that the relative extent of benzene emission showed most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ummer season, while most species underwent notable reductions. Despite the presence of certain patterns in the seasonal emissions of BTEX, the gross picture of their emission between summer and winter was not different distinctively so that the wintertime emissions exceed their summer counterparts by about three times. The observations of moderate enhancement in wintertime LFG emissions of BTEX appeared to reflect such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winter season as favorable conditions for LFG ventilation with reduced surface emissions due to frozen soil layers.

매립가스의 에너지 회수 및 표면발산을 고려한 매립장 온실가스 배출 평가 (Assessmen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Landfills Based on Energy Recovery and Surface Emissions of Landfill Gas)

  • 이용현;권용재;천승규
    • 신재생에너지
    • /
    • 제16권3호
    • /
    • pp.27-34
    • /
    • 2020
  • This study involved a total budget analysis on the greenhouse gas (GHGs) emissions of landfills, focusing on surface emissions and the effect on emissions reductions of generating landfill gas (LFG) electricity from March 7, 2007 to December 31, 2018. The GHGs reduction effect from the electricity generation using 536.6 × 103 tCO2 of CH4 was only 5.8% of the GHGs from surface emissions of 9,191 × 103 tCO2. In the total budget, the collection ratio should be over 95% if the reduction effect is greater than the surface emission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FG collection ratio and GHGs reduction was -0.89. An additional effect of lowering CH4 content may occur if the surface emitting flux of LFG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collection ratio. The unit reduction effect of GHGs by suppressing surface emissions was 4174 tCO2/TJ. This was far greater than that of LFG power generated (54.3 tCO2/TJ), demonstrating that surface emission control is the most important measure by which to mitigate GHGs emission.

질소 분리용 막을 이용한 매립가스내 메탄 회수 연구 (Research on the Methane Recovery from Landfill Gas by Applying Nitrogen Gas Separator Membrane)

  • 천승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586-591
    • /
    • 2013
  • 정제 질소가스 생산용 기체 분리막을 매립가스의 $CH_4$ 순도를 높이는데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단과 2단 분리막 모듈의 면적비는 1:6인 경우가 $CH_4$ 회수를 위해서 적절하였다. 분리막 장치 설치 후 총 249회에 걸쳐 실험을 하였으며, 투과율은 평균 $CH_4$ 28.4%, $CO_2$ 94.3%로서, 매립가스로부터 $CH_4$를 회수하는데 $N_2$ 분리막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N_2$ 투과율 역시 16.5%에 불과하였으며, 이에 따라 최종 정제된 LFG의 농도는 $CH_4$ 69.7%, $CO_2$ 4.3%, $N_2$ 26.0%이었다. 따라서 $CH_4$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매립장내 외기유입 억제를 통해 $N_2$ 농도를 적어도 2.0% 이내로 제한할 필요가 있었다.

매립장의 발생가스특성을 이용한 매립장 침하예측 (Prediction of Landfill Settlement Using Gas Generation Characteristics)

  • 안태봉;박대효;공인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8호
    • /
    • pp.29-39
    • /
    • 2004
  • 폐기물 매립지의 침하량을 예측하는 것은 우리나라와 같은 좁은 국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매립장내 유기물이 장기간에 걸쳐 생화학적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압밀이론으로 해석하기 곤란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모델실험을 통하여 매립가스의 발생특성을 분석하였다. 두개의 시험매립조를 만들었는데 하나는 침출수를 재순환한 것과 다른 하나는 재순환하지 않은 것이다. 시간의 변화에 따른 가스발생량과 매립조의 침하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수학적 침하량예측모델을 제안하여 장기침하량을 예측하여 실험계측치와 비교하고 수정계수를 사용하도록 제안하였다. 침출수 재순환이 침하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스모델의 수정계수가 침출수순환을 하지 않은 경우는 1.4, 재순환한 경우는 1.7으로서 약 22%의 촉진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