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F

검색결과 930건 처리시간 0.024초

효모 Saccharomyces diastaticus YIY 345에서의 Human Lactoferrin 유전자 발현 및 분비 (Expression of Human Lactoferrin Gene and Secretion in Saccharomyces diastaticus YIY345)

  • 주윤정;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80-89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인간에게 유용한 여러 생리적 기능을 갖는 Human lactoferrin (hLf)을 대량생산할 목적으로 동물 세포의 단백질을 안정하게 생산 및 분비할 수 있는 진핵생물인 효모 sacduraromyces diastaticus YIY345에 hLf 유전자를 도입하여 hLf의 발현 및 분비를 시도하였다. 1. hLf의 발현 및 분비를 위하여 STA1 (S. diasticus glucoamylase) 유전자의 promoter 및 분비 신호와 hLf 전사 종결을 위한 GAL7(galactose utilizing gene) transcriptional terminator하에 재조합 plasmid pYEGLf를 제작하였다. 2. 제작한 plasmid를 선별하고 증폭하기 위하여 대장균에 형질 전환하였고 대장균 형질전환체로부터 plasmid를 분리하여 적당한 제한 효소로 처리하고 크기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선별된 plasmid는 효모 S. diastaticus YIY345에 형질 전환시켜 효모 형질전환체를 얻었다. 3. 효모 형질전환체를 Western hybridization으로 단백질 수준에서 분석한 결과 pYEGLf가 도입된 형질전환체에서 hLf가 생산되어 세포외로 분비되었다. 4. hLf가 발현된 효모 형질전환체의 배양상등액을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E.coli에 대한 항균 효과를 측정하였으나 관찰할 수 없었다. E.coli에 대한 hLf의 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는 약 $3000{\mu}g/m{\ell}$에 비해 효모에서 분비하는 hLf의 양은 상당히 적으므로 항균효과를 측정하기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정제 단계를 거쳐 더 높은 농도로 처리해야 할 것이다.

  • PDF

발효 조건과 저장기간에 따른 나박김치의 특성 변화 (Quality Changes of Nabak Kimchi During Storage with Different Levels of Fermentation)

  • 임수연;이혜란;이종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68-475
    • /
    • 2005
  • 본 연구는 나박김치를 초기 발효시킨 후 김치 냉장고에 저장하면서 먹을 경우 가장 적합한 초기 발효 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발효 온도는 $4^{\circ}C,\;15{\circ}C,\;25{\circ}C$로, 발효 시간은 12시간, 24시간으로 달리하여 초기 발효시킨 나박김치를 $4^{\circ}C$에서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24일 동안 SF25, LF25, LF15의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SF4, LF4, SF15의 pH는 초기에 상승하다가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적숙기의 pH $4.3{\sim}4.5$ 부근에 도달하는데 SF25는 저장 6일, LF15는 저장 21일 정도 소요되었다. 총산도는 초기 발효 직후 SF4, LF4, SF15의 세 처리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다른 처리군인 LF25의 총산도가 처리군 중에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SF25, LF15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환원당 함량은 모든 처리군에서 저장 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다가 최대치를 보이고 감소하였다. LF15, SF25 LF25의 용존 $CO_{2}$함량은 SF4, LF4, SF15의 용존 $CO_{2}$함량에 비하여 더 빠른 기간에 최대치에 달해 시원한 맛을 빠른 기일 내에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명도와 적색도는 모든 처리군에서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고,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젖산균수은 초기 발효 직후 LF25가 유의적으로 가장 많았으며 SF4와 LF4는 두 처리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SF4와 LF4는 처리군 중에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젖산균수의 변화는 용존 $CO_{2}$함량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SF4, LF4, SF15는 관능검사 결과 발효가 지연되어 풋내와 짠맛이 높게 평가되었고 탄산미는 낮게 평가되었다. LF25는 관능검사 결과 다른 처리군에 비해 신맛과 이취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15^{\circ}C$에서 24시간 발효시킨 나박김치 (LF15)와 $25^{\circ}C$에서 12시간 발효시킨 나박김치(SF25)는 탄산미와 관계가 있는 용존 $CO_{2}$함량이 저장 12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관능검사 결과 저장 기간 동안 다른 처리군에 비해 풋내와 이취가 적으면서 탄산미가 높게 평가되어 $15^{\circ}C$에서 24시간 발효(LF15)와 $25^{\circ}C$에서 12시간 발효(SF25)가 적합한 초기 발효 조건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물김치류인 동치미나 열무 물김치도 초기 발효 조건에 따라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많은 차이가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Yeast내에서 MEK1 융합 단백질 발현 및 Lethal Factor 활성 검증 (Expression of MEK1 Fusion Protein in Yeast for Developing Cell Based Assay System, a Major Substrate of LeTx)

  • 황혜현;김정목;최경재;박해철;한성환;정회일;구본성;박준식;윤문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5-198
    • /
    • 2006
  • Anthrax lethal toxin은 탄저병의 치사원인이 되는 독소이며, Lethal toxin은 두 종류의 단백질 PA (Protective antigen)과 LF (lethal factor)로 구성되어 진다. PA는 세포표면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LF를 세포질 안으로 이동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LF는 금속 이온$(Zn^{2+})$ 의존적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써 MKKs[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s] 집단 단백질의 아미노 말단 부분을 절단하여 대상 세포를 죽음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LF에 대한 특성 분석 및 억제제 개발에 과한 연구를 위해 cell-based high-throughtput screens 개발에 선행되어야 하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LF의 절단 대상이 되는 기질이 MEK1을 yeast내에서 동시 발현시켜 LF의 활성을 검증하였다. 먼저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숙주로 하여 LF의 기질인 MEK1 발현 vector를 구축하였고, 구축된 발현 system을 기본을 LF 활성을 검증하고자 yeast에 형질전환하여 plasmid의 안전성 및 MEK1 유전자의 발현 및 LF에 의한 MEK1 아미노말단의 절단 부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세포내 검증 system 도입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yeast내의 MEK1 발현은 탄저병의 저해제 선별 및 활성 측정 검증을 생체에서 고효율적이며,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냈다.

추적관찰을 통해 살펴본 한증 HRV지표 (Heart Rate Variability in Cold Pattern: 3-year Follow-up Study)

  • 배광호;박기현;장은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0-36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eart rate variability (HRV) characteristics of cold pattern with repeated measurement data. Participants were taken from a Daejeon University cohort study from 2015 to 2018. Forty-seven of the participants studied displayed cold pattern while 23 showed signs of non-cold pattern. HRV was measured in supine position for 5 minutes at each year, and an 8-item cold pattern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e diagnosis of cold pattern. SDNN (standard deviation of the NN intervals) and RMSSD (the square root of the mean squared differences of successive NN intervals) were used as time domain analysis, and TP (total power), VLF (power in very low frequency range), LF (power in low frequency range), HF (power in high frequency range), LF norm (LF power in normalized units), HF norm (HF power in normalized units) and LF/HF were used as frequency domain analysis. In the Mann-Whitney U test, LF norm, HF norm, and LF/HF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cold pattern group and non-cold pattern group at every measurement, and in the independent t-test, the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at three points except for the baseline (2015). In the repeated measures ANOVA, the interaction effects were not observed in all HRV parameters, but the time period effects were observed in SDNN, RMSSD, TP, VLF, LF and HF.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ose two groups in LF norm, HF norm and LF/HF. This study suggests that LF norm, HF norm and LF/HF might be a useful indicator of cold pattern properties.

Ladle내 잔류(殘留) 용융(熔融)슬래그의 LF 공정(工程)으로 재활용(再活用)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Recycling of Molten Ladle Slag Residue into LF Process)

  • 김영환;유정민;김동식;임종훈;양성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2권1호
    • /
    • pp.36-41
    • /
    • 2013
  • 전기로 제강공정 중 LF 공정에서 슬래그는 전기로(EAF)에서 이월된 슬래그와 출강 중에 조재제인 생석회, 돌로마이트 등이 용강 중에 투입되어 생성된다. LF 조업이 끝나면 ladle은 연속주조 공정(CCM)으로 이송되며, ladle 하부의 노즐을 통해 tundish로 용강을 내보내어 연속 주조조업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연속 주조공정 후 ladle에 남는 슬래그와 잔강(殘鋼)은 슬래그 포트(Pot)에 받아 슬래그 야적장으로 이송되어 파쇄 후 처리된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 주조공정 후 ladle에 잔류한 용융슬래그(잔강(殘鋼) 포함)를 전기로 출강 후에 ladle 상부에 직접 투입하여 LF 공정 초기의 슬래그를 형성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LF 공정 중에 사용되는 생석회의 원단위는 2.2 ~ 3.2 kg/steel-ton 저감되었으며, 용강의 생산회수율은 0.3 ~ 0.5% 증가되었다.

Iron-Saturated Lactoferrin Stimulates Cell Cycle Progression through PI3K/Akt Pathway

  • Lee, Shin-Hee;Pyo, Chul-Woong;Hahm, Dae Hyun;Kim, Jiyoung;Choi, Sang-Yu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8권1호
    • /
    • pp.37-42
    • /
    • 2009
  • Iron binding lactoferrin (Lf) is involved in the control of cell cycle progression. However, the molecular basis underlying the effects of Lf on cell cycle control, as well as its target genes, remains incomplete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have demonstrated that a relatively low level of ironsaturated Lf, Lf($Fe^{3+}$), can stimulate S phase cell cycle entry, and requires Akt activation in MCF-7 cells. Lf($Fe^{3+}$) immediately induced Akt phosphorylation at Ser473, which subsequently induced the phosphorylation of two G1-checkpoint Cdk inhibitors, $p21^{Cip/WAF1}$ and $p27^{kip1}$. The Lf($Fe^{3+}$)-induced phosphorylation of Cdk inhibitors impaired their nuclear import behavior, thereby inducing cell cycle progression. However, the treatment of cells with a PI3K inhibitor, LY294002, almost completely blocked Lf($Fe^{3+}$)-stimulated cell cycle progression. LY294002 treatment abrogated Lf($Fe^{3+}$)-induced Akt activation, and prevented the cytoplasmic localization of $p27^{kip1}$. Higher levels of $p21^{Cip/WAF1}$ were also detected in the cytoplasmic sub-cellular compartment as a measure of cellular response to Lf($Fe^{3+}$). Consequently, the degree of phosphorylation of retinoblastoma protein was enhanced in response to Lf($Fe^{3+}$). Therefore, we conclude that Lf($Fe^{3+}$), as a potential antagonist of Cdk inhibitors, can facilitate the functions of E2F during progression to S phase via the Akt signaling pathway.

External knowledge를 사용한 LFMMI 기반 음향 모델링 (LFMMI-based acoustic modeling by using external knowledge)

  • 박호성;강요셉;임민규;이동현;오준석;김지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07-613
    • /
    • 2019
  • 본 논문은 external knowledge를 사용한 lattice 없는 상호 정보 최대화(Lattice Free Maximum Mutual Information, LF-MMI) 기반 음향 모델링 방법을 제안한다. External knowledge란 음향 모델에서 사용하는 학습 데이터 이외의 문자열 데이터를 말한다. LF-MMI란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 학습의 최적화를 위한 목적 함수의 일종으로, 구별 학습에서 높은 성능을 보인다. LF-MMI에는 DNN의 사후 확률을 계산하기 위해 음소의 열을 사전 확률로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LF-MMI의 목적식의 사전 확률을 담당하는 음소 모델링에 external knowlege를 사용함으로써 과적합의 가능성을 낮추고, 음향 모델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External memory를 사용하여 사전 확률을 생성한 LF-MMI 모델을 사용했을 때 기존 LF-MMI와 비교하여 14 %의 상대적 성능 개선을 보였다.

Adipogenesis와 비만마우스에 대한 Lactoferrin의 효과

  • 남명수;배형철;조민철;윤도영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33차 춘계 학술대회
    • /
    • pp.362-364
    • /
    • 2004
  • 지방세포인 murine pre-adipocyte 3T3L1 cell에 분화호르몬 혼합물을 처리하여 mature adipocyte로 분화시켜서 bovine LF을 100 ug 처리하였다. Bovine LF을 처리한 mature adipocyte 3T3L1 cell은 대조구보다 지방세포의 지질방울들의 수와 크기가 작아진 것으로 관찰되었다. LF가 비만마우스의 체중감소에 미치는 영향은 매일 5mg의 LF을 투여구는 대조구와 같은 경향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중이 증가 되었으나 매일 10mg의 LF 투여구는 투여 후 10일부터 대조구보다 약 15${\sim}$25% 정도 체중이 감소되었다. Cholesterol은 대조구에서는 138mg/ml이었으나 LF 10mg 투여구에서는 130mg/ml로 감소되었고 혈당량은 대조구에 비해 LF 10mg 투여구에서 약 10% 정도 높았다.

  • PDF

Kidney protective potential of lactoferrin: pharmacological insights and therapeutic advances

  • Zahan, Md. Sarwar;Ahmed, Kazi Ahsan;Moni, Akhi;Sinopoli, Alessandra;Ha, Hunjoo;Uddin, Md Jama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6권1호
    • /
    • pp.1-13
    • /
    • 2022
  • Kidney disease is becoming a global public health issue. Acute kidney injury (AKI) and chronic kidney disease (CKD) have serious adverse health outcomes. However, there is no effective therapy to treat these diseases. Lactoferrin (LF), a multi-functional glycoprotein, is protective against various pathophysiological conditions in various disease models. LF shows protective effects against AKI and CKD. LF reduces markers related to inflammation, oxidative stress, apoptosis, and kidney fibrosis, and induces autophagy and mitochondrial biogenesis in the kidney. Although there are no clinical trials of LF to treat kidney disease, several clinical trials and studies on LF-based drug development are ongoing. In this review, we discussed the possible kidney protective mechanisms of LF, as well as the pharmacological and therapeutic advances. The evidence suggests that LF may become a potent pharmacological agent to treat kidney diseases.

토착미생물과 EM 활용 액비 처리가 방울토마토의 토양 화학성과 미생물상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tigation with Indigenous Microorganism and EM on Soil 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and Growth of Cherry Tomatoes)

  • 최현석;정지식;국용인;최인영;정석규
    • 유기물자원화
    • /
    • 제27권4호
    • /
    • pp.15-24
    • /
    • 2019
  • 본 실험은 방울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var. cerasiforme) 농가에서 자가제조한 토착미생물 액비를 3년 및 5년간 연용 처리하였을 때 토양 화학성 및 미생물상과 작물의 생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구는 3-year IM(토착미생물 3년 노지 처리구), 5-year IM(토착미생물 5년 노지 처리구), EM(effective microorganisms; EM 10년 온실 처리구)으로 분류하였고, 모두 1,000배로 희석하여 웃거름으로 관주하였다. IM과 EM 액비 자재의 pH 수준은 16주간 증가하였고 특히 EM의 pH는 1.2정도 상승하였다. IM 자재의 EC는 약간 높았지만 EM과 비슷한 수준인 0.2 dS/m으로 나타났다. 온실 내 포트 실험에서는 IM으로 처리된 토마토 뿌리의 건물중이 크게 증가하였다. 액비 처리에 따른 농가 현장 실험에서는 IM 액비 처리구의 pH는 7.5로 높았고 EC도 8.4 dS/m로 염류 과잉 수준을 보였다. EM 처리구의 유기물함량은 62 g/kg으로 가장 높았고 전질소 등 필수 무기성분 농도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IM 처리구에서도 토마토 생장을 위한 적절한 토양 화학성 수준이 관찰되었다. EM 처리구에서 세균수와 방선균수가 가장 증가하였다. EM으로 처리된 작물의 대량 무기성분 농도는 인산을 제외하고는 높게 나타났고 3-year IM과 5-year IM 처리구에서는 비슷한 무기성분 농도가 관찰되었다. 잎의 SPAD와 PSII 수준은 3-year IM 처리에서 낮게 나타났다. 토마토 작물의 엽폭, 엽장, 엽수, 수관면적, 초장, 경경은 생육 중기에는 EM 처리구에서 높은 수준이었으나 생육 후기에는 처리구 간에 비슷하였다. EM 처리로 잎 건물중은 IM 처리보다 2배 이상 높았지만 수확과수는 2배 이상 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