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U

검색결과 682건 처리시간 0.028초

Structure and Activity of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Derived from Alaskan Pollack Skin

  • Byun, Hee-Guk;Kim, Se-Kwon
    • BMB Reports
    • /
    • 제35권2호
    • /
    • pp.239-243
    • /
    • 2002
  • Angiotensin I that converts the enzyme (ACE) inhibitory peptide, Gly-Pro-Leu, previously purified and identified from the Alaskan pollack skin gelatin hydrolysate, were synthesized. In addition, the peptides Gly-Leu-Pro, Leu-Gly-Pro, Leu-Pro-Gly, Pro-Gly-Leu, Pro-Leu-Gly, Gly-Pro, and Pro-Leu, which consisted of glycine, proline, and leucine, were synthesized by the solid-phase method. The $IC_{50}$ values of each tripeptide - namely Leu-Gly-Pro, Gly-Leu-Pro, Gly-Pro-Leu, Pro-Leu-Gly, Leu-Pro-Gly, and Pro-Gly-Leu - were 0.72, 1.62, 2.65, 4.74, 5.73, and $13.93{\mu}M$, respectively. The ACE inhibitory activity of these tripeptides was higher than that of dipeptides, such as Gly-Pro and Pro-Leu with $IC_{50}$ values of 252.6 and $337.3\;{\mu}M$, respectively. Among the tripeptides, Leu-Gly-Pro and Gly-Leu-Pro had higher inhibitory activity than Gly-Pro-Leu that was isolated from the Alaskan pollack skin gelatin hydrolysate.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tripeptides that were examined, the highest ACE inhibitory activity was observed for Leu-Gly-Pro. It had the leucine residue at the N-terminal and proline residue at the C-terminal.

Oral Administration of Glycine and Leucine Dipeptides Improves Skin Hydration and Elasticity in UVB-Irradiated Hairless Mice

  • Park, Jong Il;Lee, Ji Eun;Shin, Hyun Jun;Song, Soonran;Lee, Won Kyung;Hwang, Jae S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5권5호
    • /
    • pp.528-534
    • /
    • 2017
  • Placenta is a special organ that contains many nutrients such as growth factors, minerals, and bioactive peptides. Dipeptides of glycine and leucine are major components of porcine placenta extracts (PPE) that has been used as an alternative of human placenta extra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major peptides of PPE, Glycyl-L-Leucine (Gly-Leu), L-Leucyl-Glycine (Leu-Gly), and L-Leucyl-L-Leucine (Leu-Leu), affect skin hydration and elasticity in vitro and in vivo. We found that Gly-Leu and Leu-Gly dipeptides induced the expression of transglutaminase 1 in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NHEKs) whereas Leu-Leu dipeptides did not. Treatment with Gly-Leu or Leu-Gly significantly increased hyaluronan (HA) synthesis in NHEKs and the upregulation of hyaluronan synthase 2 (HAS2) mRNA level was confirmed. In addition, elastase activity was inhibited in NHEKs treated with Gly-Leu or Leu-Gly dipeptides. Oral administration of Gly-Leu or Leu-Gly dipeptides increased skin hydration and elasticity in UVB-irradiated hairless mice. The significant upregulation of HA in UVB-irradiated hairless mice was observed in response to oral administration of Gly-Leu or Leu-G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ajor dipeptides of porcine placenta, Gly-Leu and Leu-Gly, are potentially active ingredients for skin moisturization formulations.

발효 돈태반과 그 주요 다이펩타이드 섭취가 UVB 조사에 의한 무모 생쥐의 피부 주름생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rally Administered Fermented Porcine Placenta and Its Major Dipeptides on UVB-induced Wrinkle Formation in the Hairless Mice)

  • 이지은;박종일;김종배;정혜인;황재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229-24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발효 돈태반 (fermented porcine placenta, FPP)과 그의 주요 다이펩타이드인 L-Leucyl-Glycine (Leu-Gly), Glycyl-L-Leucine (Gly-Leu)의 섭취가 UVB 조사에 의한 무모 쥐의 피부 주름 생성에 미치는 효능을 알아보았다. Human Primary Dermal fibroblasts-Neonatal (HDF-N) 세포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를 설정하여 평가하였을 때, FPP, Leu-Gly, Gly-Leu 처리 시 procollagen의 증가 및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또한 무모 생쥐에 주 3회 UVB를 조사하여 광노화를 유도하였고, FPP 10, 100 mg/kg, Leu-Gly 10 mg/kg, Gly-Leu 10 mg/kg을 매일 총 8주간 경구투여 한 후, 주름생성, 홍반및 MMPs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8주간 진행된 동물 실험 결과 UVB만 조사한 군과 비교하여 UVB를 조사하고 FPP, Leu-Gly, Gly-Leu을 섭취시킨 군에서 주름생성과 홍반이 감소하였고 피부 수분함량과 콜라겐 생합성이 증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FPP, Leu-Gly, Gly-Leu 섭취군에서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3, MMP-13의 mRNA 발현량이 감소하였고, MMP-2와 MMP-9의 활성이 감소하였다.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FPP의 주요 다이펩타이드인 Leu-Gly과 Gly-Leu은 자외선에 의한 주름 생성을 억제하고, 피부 손상을 회복시키는 효능을 갖는 피부미용식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사료된다.

2배체 대장균의 제조와 그 특성 (Constr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eterozygous diploid Escherichia coli)

  • 정혜임;임동빈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06-414
    • /
    • 2016
  • 대장균에서 6개의 Leu 코돈중 가장 흔한 코돈은 CUG이다. 이 코돈을 인식하는 tRNA는 4개의 유전자에 의해 합성되는데, leuPQV와 leuT 2개의 locus로 나누어져 있다. 이 CUG를 인식하는 모든 tRNA가 결핍된 균주를 만들기 위해, 우선 leuPQV가 삭제된 균주(${\Delta}leuPQV$)와, leuT의 anticodon CAG를 GAG로 돌연변이시킨 균주[$Km^R$, $leuT^*$(GAG)]를 각각 만들었다. 이 두 돌연변이 유전자를 모으기 위해 ${\Delta}leuPQV$ 균주를 recipient로, $leuT^*$(GAG) 균주를 donor로하는 transduction을 수행한 결과, 콜로니 크기가 큰 것과 작은 것 두 종류의 transductant를 얻었다. PCR 후 염기서열 분석 결과 큰 콜로니는 예측한 recombinant로 판명됐으나, 작은 콜로니는 donor와 recipient 염색체 간의 상호교환재조합(reciprocal recombination)으로는 설명이 되지 않는, 돌연변이 유전자[$leuT^*$(GAG)]와 야생형 유전자(leuT(CAG)]를 모두 가진 균주로 밝혀졌다. 이 heterozygous diploid는 광학현미경으로 관찰시 세포의 형태와 크기에서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영양배지에서 야생형에 비해 생장이 한참 느리면서, 선형생장곡선(linear growth curve)이라는 예측하지 못한 생장특성을 보였다. 이 2배체 균주는 선택배지에서는 항상 작은 균일한 콜로니를 형성하였으나, 배지에 선택항생제 없을 경우, $leuT^*$(GAG) 유전자형 세포와 leuT(CAG) 유전자형 세포로 분리가 일어났다. 우리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이 2배체 균주는, $leuT^*$(GAG)와 leuT(CAG) 부분만 2배체로 갖는 부분이배체(merodiploid)라기 보다는, $leuT^*$(GAG)와 leuT(CAG)가 서로 다른 염색체에 있는 완전이배체라는 모델을 지지했다. 우리는 이러한 2배체가 어떻게 생성되었으며, 어떻게 분리되는지, 또 이 균주는 왜 선형생장곡선을 보이는지 등에 대한 모델을 토론하였다.

벼(Oryza sativa L.)의 leuD 유전자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of leuD Gene in Rice (Oryza sativa L.))

  • 이은탁;강상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6호통권86호
    • /
    • pp.772-777
    • /
    • 2007
  • 식물의 루이신 생합성에 관여하는 3-isopropylmalate isomerase (IPMI) (EC 4.2.1.33) 효소의 소단편을 암호화는 Leucine D유전자를 벼로부터 분리하고 OsLeuD유전자로 명명하였다. OsLeuD유전자는 257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고 있으며 cyanobacteria의 IPMI 단백질과는 약58% 그리고 green sulfur bacteria들의 IPMI 단백질과는 약48%의 상동성을 갖고 있었다. 벼의 OsLeuD 유전자는 japonica벼 (Oryza sativa L.)의 2번 염색체의 26.45 Mb의 위치로서 109.3 cM 거리에 좌위하고 있었다. OsLeuD유전자는 잎과 성숙하는 종자에 많이 발현이 되었으므로 대사가 급증하는 발생단계 에 발현이 조절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OsLeuD유전자와 단백질은 균류와 yeast 보다 광합성 박테리아의 유전자와 높은 동질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OsLeuD유전자는 식물의 엽록체 유전자 genome 에서 기원하여 핵 genome으로 이동 진화된 유전자로 추측된다.

김치로부터 Exopolysaccharide 생성 유산균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 김효주;장해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6-203
    • /
    • 2006
  • 김치로부터 3종의 EPS 생성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주는 Leuconostoc kimchii, Leuconostoc citreum,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으며, 각각 Leuconostoc kimchii GJ2, Leuconostoc citreum C3, Leuconostoc mesenteroides C11로 명명하였다. EPS생성 김치유산균의 장내 정착성 여부 확인 결과 pH 3.0의 0.05 M sodium phosphate buffer와 인공위액에서 2시간 처리한 후에도 3균주 모두 초기균수($10^8\;CFU/ml$)를 유지하였으며 인공담즙에서 24시간 처리한 후에도 3균주 모두 초기균수($10^8\;CFU/ml$)를 유지하며 3종의 EPS생성 김치유산균 Leu. kimchii GJ2, Leu. citreum C3, Leu. mesenteroides C11이 장내 정착하면서 probiotics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대조군으로서 분리균주가 EPS를 생성하지 않았을 때의 경우에는 내산성, 인공위액, 인공담즙에서 처리 후 생균수가 $10^{1-2}\;CFU/ml$ 감소현상을 보여 균체의 EPS생성 여부가 probiotics로서 기능할 수 있는데 결정적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특히 Leu. kimchii GJ2의 경우 E. coli, Pseudomonas, Listeria, Micrococcus, Salmonella, Staphylococcus, Streptococcus속 등의 유해 균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생산 항균물질은 단백질성 물질로 확인되었다. 김치유산균 Leu. kimchii GJ2, Leu. citreum C3, Leu. mesenteroides C11로부터의 EPS 생성량은 sucrose(5%) 배지에서 각각 21.49 g/l, 16.46 g/l, 22.98 g/l 였으며, 정제 시에도 각각 14.61 g/l, 7.73 g/l, 4.77 g/l로 기존의 EPS 생성 유산균에서의 생산량에 비해 10배 이상의 높은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TLC 및 HPLC를 이용한 EPS 구성 당 확인 결과 3균주 모두 glucose로만 구성된 homopolysaccharides로 확인되었다. EPS 생성량이 가장 좋은 Leu. kimchii GJ2의 평균 분자량은 360,606 Da이었으며, 나머지 두 균주에 대해서는 생성 EPS 형태와 점도의 차이로 미루어 보아 생성 EPS의 분자구조와 분자량이 서로 다른 것으로 판단하였다.

Myomodulin A 및 유도체들의 합성 및 생리활성 (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Myomodulin A and Its Analogs)

  • 박남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87-397
    • /
    • 2012
  • 군소인 Aplysia kurodai의 중추신경절로부터 정제된 myomodulin A (MMA)가 정제되었다. MMA의 일차구조는 Pro-Met-Ser-Met-Leu-Arg-Leu-$NH_2$이며, 이 펩타이드는 다른 연체동물에서 발견된 myomodulin 계열의 펩타이드와 같은 구조를 지닌다. 정제된 MMA는 Mytilus edulis의 anterior byssus retractor muscle (ABRM)에서 phasic contraction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MA의 구조와 활성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MMA, Des[$Pro^1$]-MMA, Des[$Pro^1,Met^2$]-MMA, Des[$Pro^1,Met^2,Ser^3$]-MMA 및 MME를 합성하였다. Des[$Pro^1$]-MMA, Des[$Pro^1,Met^2$]-MMA 및 Des[$Pro^1,Met^2,Ser^3$]-MMA의 일차구조는 각각 Met-Ser-Met-Leu-Arg-Leu-$NH_2$, Ser-Met-Leu-Arg-Leu-$NH_2$ 및 Met-Leu-Arg-Leu-$NH_2$이다. MMA 및 합성 물질들을 사용하여 ABRM 및 Achatinafulica의 소낭과 penial retractor muscle에 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MMA는 $1{\times}10^{-8}$ M 또는 더 낮은 농도에서 ABRM의 수축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1{\times}10^{-8}$ M 또는 고농도에서는 phasic contraction을 억제하였다. MMA와 유도체들은 소낭에 대해서는 수축반응을 보였지만, penial retractor muscle에 대해서는 이완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MMA의 C-말단부위에 있는 Met-Leu-Arg-Leu-$NH_2$가 ABRM의 수축반응뿐만 아니라 연체동물의 생식기능 및 소화 활성을 조절하기 필요한 최소한의 구조라는 것을 나타낸다.

콩고오지 제조중(製造中)의 peptide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3보(第三報) 콩고오지 제조중(製造中)에 생성(生成)되는 저급(低級) peptide의 구조(構造)- (Studies on peptide during soybean-koji preparation -Part III Amino acid sequence of oligopeptides formed during soybean-koji preparation-)

  • 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권
    • /
    • pp.107-117
    • /
    • 1965
  • (1) 콩고오지 제조중(製造中) 생성(生成)되는 저급(低級) peptde의 종류(種類)를 구명(究明)하는 동시(同時)에 겸(兼)하여 Aspergillus soya protease의 작용(作用) specificity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콩고오지 제조중(製造中) 생성(生成)되는 저급(低級) peptide의 N-terminal 및 C-terminal을 동정(同定)하고 dipeptide 및 tripeptide에 대(對)하여서는 amino acid sequence를 결정(決定)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Gly, Glu. Ala. Ser. Glu. Ser. Ala. Val (Cys, Glu, Ser, Ala, Arg, Try, Leu or Ileu) Asp. Phe (His, Arg, Cys, Asp, Ser, Ala, Leu or Ileu) Glu. Ala (Cys, Gly, Met) Glu. Ala (Asp, Glu,) Gly. Met (Asp, Glu, Ala, Tyr, Leu or Ileu, Lys,) Gly. Leu or Ileu (His, Asp, Glu, Gly, Ser, Lys, Thr, Phe,) Cys. Gly (Asp, Tyr,) Glu. Pro (Asp, Glu, Ser, Gly, Thr, Ala, Val, Leu or Ileu) Try. Ser (Gly, Glu, Arg, Ala, Met, Leu or Ileu,) Asp. Met (Asp, Glu, Ala, Try, Pro, Leu or Ileu,) His Thr (Ser, Gly, Tyr, Pro, Leu or Ileu,) Glu. Gly (Asp, Ala, Ser, Glu,) Leu or Ileu (2) Aspergillus soya protease의 작용(作用) specificity는 비교적(比較的) 광범위(廣範圍)하며 carboxyl기(基)를 가진 amino acid가 acidic amino acid일 때 잘 작용(作用)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가물치(Channa argus)로부터 평활근 수축활성 펩타이드의 정제 (Isolation of a Novel Neuropeptide with Contractile Activity on the Smooth Muscle from the Snakehead Channa argus)

  • 고혜진;박남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4-121
    • /
    • 2012
  • A novel neuropeptide was isolated from the skin of the snakehead Channa argus using the dorsal retractor muscle (DRM) of a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as a bioassay system.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purified peptide was analyzed using automated sequencing and MALDI-TOF mass spectrophotometry. The primary structure of the purified peptide was determined to be Pro-Ala-Leu-Ala-Leu. To investigate the complete primary structure of this peptide, Pro- Ala-Leu-Ala-Leu-OH and Pro-Ala-Leu-Ala-Leu-NH2 were synthesized. The 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the synthetic peptid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native peptide. Both the native peptide and synthetic Pro-Ala- Leu-Ala-Leu-OH had identical behaviors on the reverse-phase and cation-exchange HPLC chromatograms. Synthetic Pro-Ala-Leu-Ala-Leu-OH showed contractile activity on the DRM, and the threshold concentration of this peptide was approximately $10^{-8}$ M. The maximal contractile effect ($E_{max}$) of this peptide was $294{\pm}45.4$% at $10^{-5}$ M.

배양온도가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의 증식속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Cultural Temperature on Growth Rat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소명환;이영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0-116
    • /
    • 1997
  • 여과제균한 배추즙에 김치에서 분리한 7주의 젖산균을 단독 접종하고 1$0^{\circ}C$, 2$0^{\circ}C$, 3$0^{\circ}C$ 및 4$0^{\circ}C$에서 배양하면서 각각의 증식곡선을 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배양온도에서의 유도시간과 세대시간을 구하였다. 3$0^{\circ}C$에서 배양할 때의 유도시간은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은 168분,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는 204분, Leu. paramesenteroides는 612분, Lac. bavaricus는 258분, Lac. homohiochii는 228분, Lac. plantarum은 270분 그리고 Lac. brevis는 264분이었고, 세대시간은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및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는 36분, Lac. bavaricus는 33분, Lac. homohiochii는 39분, Lac. plantarum은 66분, Lac. brevis는 42분 그리고 Leu. paramesenteroides는 162분이었다. 배양온도를 3$0^{\circ}C$에서 1$0^{\circ}C$로 낮출 때 모든 균주들의 유도시간과 세대시간이 크게 연장되었는데, 이러한 연장은 Lac. plantarum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1$0^{\circ}C$, 2$0^{\circ}C$ 및 3$0^{\circ}C$에서는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의 유도시간과 세대시간이 Lac. plantarum의 그것보다 더 짧았다. 그러나 4$0^{\circ}C$에서는 이러한 양상이 완전히 전도되었다. 전반적으로 보아 배양온도가 낮아질수록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의 증식에 상대적으로 더 유리하였고, 배양온도가 높아질수록 Lac. plantarum의 증식에 상대적으로 더 유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