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 Control

검색결과 2,122건 처리시간 0.044초

콜레마니진디벌에 대한 LED 광원의 유인효과 (The Attractant Effects of LED Lights on Aphidius colemani)

  • 함은혜;남윤복;전혜정;박영균;임언택;이영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615-622
    • /
    • 2022
  • 본 연구는 콜레마니진디벌의 품질확인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LED 광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4개의 LED 광원(385, 405, 450, 및 660 nm)을 대조구로 5,000k 백색 LED를 사용하여 Y자관 시험에서 선택시험을 수행한 결과, 385 nm LED 광원만 콜레마니진디벌에 대한 유인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3개의 LED 광원(385, 405, 및 450 nm)과 대조구로 5,000k 백색 LED를 사용하여 비선택시험을 수행한 결과, 450 nm > 385 nm > 405 nm 광원 순으로 유인효과가 높았으나 450 nm와 385 nm 광원간 유의차는 없었다. UV-A에 속하는 385 nm LED 광원은 피부질환을 초래할 수 있는 우려가 있어 제외하였고, 최종 450 nm LED 광원을 콜레마니진디벌 품질확인장치에 적용할 광원으로 선발하였다. 450 nm LED 광원을 콜레마니진디벌 우화기구에 적용한 결과, 87.4%의 높은 유인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천적 품질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사용자 정보상황 연계형 LED 절감제어기술에 관한 연구 (Study on LED Low-cost Control Technology Associated with User Information Situation)

  • 장태수;홍근빈;강은영;김용갑;김변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43-744
    • /
    • 2012
  • 다기능성 복합센서의 모듈로 구성된 신호처리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 및 상황을 실시간 인지하여 조명환경 및 생활환경을 분석할 수 있는 LED 디지털제어 융합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LED 조명은 고효율, 장수명, 친환경적 장점과 나아가 LED 조명과 통신의 융합이 가능하며, 백열등 및 형광등을 대체할 차세대 일반조명으로 각광받고 있다. 제안된 시스템은 태양광을 이용한 지능형 LED 제어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예측 정보/상황 연계형 조명제어 기술 및 이에 따른 절감기술에 관한 연구이다. 또한 방전 전류의 10%를 주위의 환경에 따라서 보조 유색 LED를 적절히 점등함으로서 감성조명을 구현하고자 한다.

  • PDF

BLE를 이용한 웨어러블 LED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설계 (Design of Wearable LED Display Control System Using BLE)

  • 황홍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99-106
    • /
    • 2016
  •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시장은 스마트 단말기의 형태와 사용이 더 용이하도록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분야이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보여 줄 수 있는 효율적인 장치이다. 본 논문에서는 LED를 이용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를 제작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이전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옥외용 LED 디스플레이는 전용 컨트롤러와 함께 전용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로 적용할 LED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개별사양에 적합한 드라이버 제작 및 별도의 통신방식을 구현해야만 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LED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 모듈과 통신을 위한 모듈을 분리하여, 독립성 및 확장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또한 최근 저전력 기술로 발전하고 있는 근거리 통신인 Bluetooth 4.0 을 채택함으로써, 스마트 폰을 활용한 제어 시스템 구성이 가능함을 보인다.

청색과 적색 LED 처리가 인삼의 생육 및 사포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ue and Red LED irradi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Saponin Contents in Panax Ginseng C. A. Meyer)

  • 김민정;이상국;한진수;이성은;최재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7-191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esponse of LED (Light-emitting diode) irradiation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saponin contents of Panax ginseng C. A. Meyer. LED irradia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for most of the parameters studied. The content of chlorophyll a in leaves was increased by 4.9$\sim$36.5%, under LED and fluorescent light condition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content of chlorophyll b was also increased by 44.4$\sim$55.6% under blue and red LED compared to the control except under the red plus blue LED condition. The shoot and root weight were increased by $20\sim60%$ and $14.8\sim59.3%$, respectively under LED and fluorescent light condition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total saponin content was increased by 1.8% under blue LED compared to the control, while total saponin content was decreased by 8.8$\sim$11.5% under red LED, red plus blue LED and fluorescent light conditions.

ASIC Design Controlling Brightness Compensation for Full Color LED Vision

  • Lee Jong Ha;Choi Kyu Hoon;Hwang Sang Moon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836-841
    • /
    • 2004
  • This paper describes ASIC design for brightness revision control, A LED Pixel Matrix (LPM) design and LPM in natural color LED vision. A designed chip has 256 levels of gradation correspond to each Red, Green, Blue LED pixel respectively, which have received 8bit image data. In order to maintain color uniformity by reducing the original rank error of LED, we adjusted the specific character value 'a' and brightness revision value 'b' to pixel unit, module unit and LED vision respectively by brightness characteristic function with 'Y=aX+b'. In this paper, if designed custom chip and brightness revision control method are applied to manufacturing of natural color LED vision, we can obtain good quality of image. Furthermore, it may decrease the cost for manufacturing LED vision or installing the plants.

  • PDF

LED BLU의 최적 소비전력을 위한 선형적 피드백 제어기능을 가지는 드라이버 설계 (Driver Design with Linear Feedback Function for the Optimum Power Consumption of LED BLU)

  • 이승우;유남희;조성익;신홍규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1권10호
    • /
    • pp.1513-1517
    • /
    • 2012
  • As demands for green industry increase, this paper proposes a power control technique that can substitute pre -existing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and optimize power consumption of LED BLU. This technique is designing LED driver circuit that make a DC-DC output voltage(VLED) to have a linear control function for a supply voltage of LED string. The proposed LED driver have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or decrease a DC-DC output voltage compared with conventional LED driver. The designed LED driver circuit was designed using 0.35um CMOS technology. And its operation was verified through simulation.

효율적인 고출력 LED 디밍 제어를 위한 회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ircuit for Efficient Power LED Dimming Control)

  • 김두현;최재호;조범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280-2288
    • /
    • 2014
  • 기존의 고출력 LED의 디밍(Dimming) 제어 방법에는 펄스폭변조, 주파수변조, 아날로그 제어 방법이 있으며, 아날로그 디밍은 순방향 고출력 LED 전류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0%~100%의 전 범위에서 선형 밝기 조절이 가능하나 순방향 전류를 변화시킴으로써 파장의 변화가 존재하고, 펄스폭변조 디밍 제어는 고출력 LED에 흐르는 정격 전류의 듀티를 가변하여 조도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저 레벨(0%~10%)에서 선형 밝기 조정이 어렵다. 그리고 주파수변조 디밍 또한 저 레벨의 디밍에서 빛이 깜박거리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디밍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저 레벨 디밍 제어 시 아날로그 방식을 적용하고, 10%~100%의 디밍 제어 시에 펄스폭변조 방식을 적용하는 효율적인 디밍 제어 회로의 설계 및 구현을 제안한다. 전 범위에 걸쳐 선형 밝기 조절이 가능하고, 다양한 디밍 레벨에서 일정한 파장의 출력이 가능한 디밍 제어 회로를 구현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의 우수성을 보여주고 있다.

수확 전 LED, 형광등, UV-C 조사가 로켓 샐러드 내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 Harvest Light Treatments (LEDs, Fluorescent Lamp, UV-C) on Glucosinolate Contents in Rocket Salad (Eruca sativa))

  • 이혜진;천진혁;김선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2호
    • /
    • pp.178-187
    • /
    • 2017
  • 인공 광원에 따른 rocketsalad(Eruca sativa L.) 내 GSL 함량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광원의 종류는 자연광(Control-1 또는 2), Red LED, Blue LED, Mix(R+B) LED(Red LED+Blue LED), White LED, Fluorescent Lamp(FL), Fluorescent Lamp+UV-C(FL+UV-C). 실험은 식물 생장기 대수 제한 때문에 [실험 I;Control-1, Red LED, Blue LED, Mix(R+B) LED]과 [실험 II;Control-2, White LED, FL, FL+UV-C]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Red LED와 FL에서 rocket salad의 잎의 길이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므로 Red LED와 FL이 rocketsalad의 성장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Rocketsalad로부터 총 7종류의 GSLs(glucoraphanin, diglucothiobeinin, glucoerucin, glucobrassicin, dimeric 4-mercaptobutyl GSL, 4-methoxy glucobrassicin, gluconasturtiin)를 분리 및 동정하였다. [실험 I]에서 총 GSL 함량은 Red LED(4.30)에서 가장 높고 Blue LED($0.17{\mu}mol{\cdot}g^{-1}\;DW$)에서 가장 낮았다. [실험 II]에서 총 GSL 함량은 FL(13.45)에서 가장 높고 FL+UV-C($0.39{\mu}mol{\cdot}g^{-1}\;DW$)에서 가장 낮았다. 특히 Rocket salad의 강한 향과 매운 맛을 돋아주는 dimeric 4-mercaptobutyl 함량은 [실험 II]에서 Control-2에 비해 FL과 White LED가 각각 14.9, 3.2배 증가했다. 따라서 Red LED, White LED, FL은 rocket salad의 GSL 축적에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Utilization Efficiencies of Electric Energy and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of Lettuce Grown under Red LED, Blue LED and Fluorescent Lamps with Different Photoperiods

  • Lee, Hye In;Kim, Yong Hyeo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8권4호
    • /
    • pp.279-286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utilization efficiencies of electric energy and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of lettuce grown under red LED, blue LED and fluorescent lamps with different photoperiods. Methods: Red LED with peak wavelength of 660 nm and blue LED with peak wavelength of 450 nm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ree levels of photoperiod (12/12 h, 16/8 h, 20/4 h) of LED illumination on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of lettuce grown hydroponically in a closed plant production system (CPPS). Cool-white fluorescent lamps (FL) were used as the control. Photosynthetic photon flux,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CPPS were maintained at 230 ${\mu}mol{\cdot}m^{-2}{\cdot}s^{-1}$, $22/18^{\circ}C$ (light/darkness), and 70%, respectively. Electric conductivity and pH were controlled at 1.5-1.8 $dS{\cdot}m^{-1}$ and 5.5-6.0, respectively.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based on the chemical energy converted by photosynthesis, the accumulated electric energy consumed by artificial lighting sources, and the accumulated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illuminated from artificial lighting sources were calculated. Results: As compared to the control, we found that the accumulated electric energy consumption decreased by 75.6% for red LED and by 70.7% for blue LED. The accumulated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illuminated from red LED and blue LED decreased by 43.8% and 33.5%,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electric energy utilization efficiency (EEUE) of lettuce at growth stage 2 was 1.29-2.06% for red LED, 0.76-1.53% for blue LED, and 0.25-0.41% for FL. The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utilization efficiency (PARUE) of lettuce was 6.25-9.95% for red LED, 3.75-7.49% for blue LED, and 2.77-4.62% for FL. EEUE and PARU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light period. Conclusions: From these results, illumination time of 16-20 h in a day was proposed to improve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of lettuce grown in a plant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