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검사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45초

운동부하 검사의 보험의학적 이해와 의의 (Overview of Exercise electrocardiogram in terms of insurance medicine)

  • 현혜연
    • 보험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20
    • /
    • 2013
  • The exercise ECG test is a well-established, inexpensive, and non-invasive procedure for answering important clinical questions related to heart problems. The heart disease is directly led to mortality and serious issue to insurance medicine. Here is some evidence for interpretation of exercise ECG test results can determine prognosis of the heart disease.

  • PDF

현미경검사를 위한 요침사 표본제작에 따른 차이 연구 (Study on the Difference of Urine Sediment Preparation for Microscopic Examination)

  • 이혁재;박철;서민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66-373
    • /
    • 2017
  • 소변검사는 다른 검사에 비해 쉽고 간편하면서도 환자에게 부담이 없는 검사로 신장 및 요로계 질환의 진단, 치료 및 예후 결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요 침전물은 일반적으로 원심분리된 소변을 검사자가 현미경을 통한 검경에 의해 이루어진다. 대한임상검사정도관리협회에서 제안한 가이드라인과 실제로 의료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내용이 다르고 임상병리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서적에 제시된 내용도 서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요 침전물 표본제작에 따른 차이가 검사결과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요시험지봉검사에서 잠혈반응과 백혈구 에스터라아제 검사 결과 양성으로 확인된 검체를 무작위로 선별하여 현미경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요 침전물 표본제작 차이는 요 농축 배수에 영향을 주어 cell grade나 시야 당 평균 세포 수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침전물의 농도를 결정짓는 첫 번째 요소는 원심력이다. 그러나 많은 의료기관에서 원심분리기 반경을 고려하지 않는 채 1,500 rpm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는 400 G라는 정확한 원심력을 얻을 수 없었다. 결과적으로 요 농축에 있어 차이가 발생하여 결과에도 영향을 미쳤다. 두 번째 요소는 요 침사물의 양이다. 제거하고 남은 요의 상청액의 양은 요 침사물의 농축 계수에 영향을 주어 다른 결과를 초래하였다. 뿐만 아니라 피펫을 사용하여 제시된 정확한 용량을 취하지 않고 대략적으로 한 방울을 떨어뜨린 후 경검했을 때도 결과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일관성 있고 보다 정확한 검사결과를 위해 반드시 표본제작 과정이 표준화가 되어야 할 것이다.

고속 라인 스캔 방식을 이용한 CFRP 가공 홀 표면 및 내부 결함 검사 (Measurements of Defects after Machining CFRP Holes Using High Speed Line Scan)

  • 김택겸;경대수;손운철;박선영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59-467
    • /
    • 2016
  • Using a line scan camera and a Galvano mirror, we constructed a high-speed line-scanning microscope that can generate 2D images ($8000{\times}8000pixels$) without any moving parts. The line scanner consists of a Galvano mirror and a cylindrical lens, which creates a line focus that sweeps over the sample. The measured resolutions in the x (perpendicular to line focus) and y (parallel to line focus) directions are both $2{\mu}m$, with a 2X scan lens and a 3X relay lens. This optical system is useful for measuring defects, such as spalling, chipping, delamination, etc., on the surface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holes after machining in conjunction with adjustments in the angle of LED lighting. Defects on the inner wall of holes are measured by line confocal laser scanning. This confocal method will be useful for analyzing defects after CFRP machining and for fast 3D image reconstruction.

시각과 운동의 뇌기능영상 : 자극에 따른 총활성화의 차이 (fMRI of Visual and Motor Stimuli : Difference of Total Activation Depends on Stimulation Paradigm)

  • 정순철;송인찬;장기현;유병기;문치웅;조장희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3권1호
    • /
    • pp.41-46
    • /
    • 1999
  • 목적 : 뇌기능 영상을 이용하여 자극에 따른 시각영역, 운동영역 및 소뇌에서의 총활성화의 차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건강한 5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EP 기법을 이용하여 시각자극과 운동자극에 의한 피질활성화 검사를 시행하였다. 시각피질 활성화를 위해서는 LED 자극과 Checker-Board 자극을 각각 행하였고, 운동피질과 소뇌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엄지손가락 운동과 네 손가락을 엄지 손가락과 순서대로 마주치게 하는 운동을 시행하였다. 각각의 자극은 60초의 휴식기, 120초의 자극기 및 운동기, 다시 60초의 휴식기로서 시행하였다. 데이터 처리는 cros-correlation 방법으로 통게처리 하였고, 적절한 문턱 값 이상을 가지는 화소를 활성화 화소로 정의하였다. 이 활성화 화소의 수와 신호변화율의 곱으로서 총활성화의 시간축 데이타를 완성하였다. 결과 : 시각피질에서의 총활성화는 Checker-Board 자극에 비해 LED 자극을 가했을 때 100% 이상 증가하였다. 엄지 손가락 운동에 비해 손가락 마주치기 운동을 시행했을 때 총활서와는 운동피질에서 100% 이상 증가하였고, 소뇌에서는 150% 이상 증가하였다. 결론 : 시각 및 운동자극의 변화에 따라 시각영역, 운동영역 및 소뇌에서의 총활성화가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LED 디스플레이용 유연 보드의 자동 펀칭 시스템 연구 (Study on an Automatic Punching System for a LED Display using Flexible Plates)

  • 최형식;강진일;허재관;한종석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5호
    • /
    • pp.711-71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플라스틱 평판에 핀 홀을 생성하여 문자나 이미지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보드를 자동으로 제작하는 펀칭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핀 홀을 생성한 평판은 가장자리에 설치한 다양한 색상의 발광다이오드 빛을 반사하여 미려한 디스플레이 보드에 사용된다. 펀칭시스템은 정밀한 위치 및 깊이 생성을 위해 총 4개의 엑추에이터를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보드 상의 글자나 이미지의 반사효과와 빠른 생산성을 위하여 정밀한 구동 기구부를 개발하고 PID 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사용자가 반사되는 글자의 모양이나 이미지를 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GUI 프로그램과 PC기반의 제어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또한 펀칭속도와 생성된 핀 홀의 깊이를 검사하여 본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Antimicrobial Effects of Photodynamic Therapy Using Blue Light Emitting Diode with Photofrin and Radachlorine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 Kwon, Pil-Seung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6-10
    • /
    • 2015
  • Photodynamic therapy (PDT) apply photosensitizers and ligh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 vitro efficacy of PDT using blue LED (light emitting diode) with photofrin and radachlorin for Propionibacterium acnes. The colony forming units method was used to assess the antibacterial activity. Suspension (1 mL) containing P. acnes at $1{\times}10^5CFU/mL$ were prepared and then 2 fold serial diluted to $12.5{\mu}g/mL$ from $50{\mu}g/mL$ concentration of photofrin and radachlorin. After 60 minutes incubation, light was irradiated for 10 to 30 minutes using the following light source of wavelength 460 nm, each energy density 36, 72 and $108J/cm^2$. Bacterial growth was evaluated after 72 hours incubation in a Phenylethanol Blood Agar (PEBA) culture. In addition, flow cytometric analysis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live cell after PDT. Also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athogens by PDT. The PDT Group was perfectly killed to all kind of photosensitizers dose of $12.5{\mu}g/mL$ with irradiation of 10 minutes. Also other Groups were killed to all kind of photosensitizers dose of $6.25{\mu}g/mL$ with irradiation time of 20 and 30 minutes. The flow cytometry showed a lower number of viable bacteria in the PD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images of the TEM results were showed in cytoplasmic membrane damage and partially deformed to cell morpholog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adachlorin and photofrin combine blue LED PDT can be effectively treated when was proved treatment for acnes therapy.

매트릭스형 피에조센서를 이용한 복합재료 AE신호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E Signal Analysis of Composite Materials Using Matrix Piezo Electric Sensor)

  • 유연호;최진호;권진회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7
    • /
    • 2007
  • 섬유강화 복합재료가 항공기, 우주 구조물, 로봇 팔 등에 널리 사용됨에 따라 복합재료의 신뢰도와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에 대한 비파괴검사법은 매우 중요한 연구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AE법은 복합재의 균열, 섬유 또는 수지재의 파손, 층간분리 등의 발생 및 성장과정에서 발생되는 탄성파로 인한 스트레인 에너지를 검출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8{\times}8$ 매트릭스형 피에조 센서를 사용하여 인장시험 하에서 발생되는 AE신호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AE신호의 전달거리를 제어할 수 있는 전용회로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또한 64채널의 AE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광학 저장장치를 구성하였다. 실험결과, $8{\times}8$ 매트릭스형 피에조 센서를 이용하여 복합재료에서 발생되는 AE신호의 발생지점과 전파경로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다.

LED 조명의 조도와 과제난이도가 장기기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D Illuminance and Task Difficulty on Long-term Memory)

  • 이충원;김진호
    • 감성과학
    • /
    • 제21권4호
    • /
    • pp.37-42
    • /
    • 2018
  • 본 연구는 LED 조명의 조도와 과제 난이도가 장기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도는 400 lx와 1,000 lx 조건으로 처치하였으며, 과제 난이도는 4단어 학습(쉬운 과제)과 7단어 학습(어려운 과제)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학습한 과제의 기억률을 종속변인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실험참가자는 총 64명이며, 각 조건 당 16명의 참가자가 할당되었다. 연구결과 상대적으로 어두운 400 lx 조건이 68.49%로 1,000 lx 조건의 56.03% 보다 기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쉬운 과제 조건이 67.97%의 기억률을 보여 56.55%의 어려운 과제에 비해 기억률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도와 과제 난이도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상대적으로 어두운 조건에서 장기기억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재검증하였고, 아울러 장기기억은 요커스-도드슨 법칙을 따르지 않을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탐색하였다.

베이스 커브에 의한 콘택트렌즈 피팅 효과 (Effects of Base Curve on Fitting with the current Soft Contact Lenses)

  • 최오목;강명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5-72
    • /
    • 2000
  • 콘택트렌즈 피팅후 기초검사와 베이스커브의 무작위 피팅검사, 그리고 베이스커브의 의도적인 변화에 따른 재피팅검사율 이용하여 중함수의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피팅과 베이스커브의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시험렌즈 피팅후 렌즈의 위치, 순목후 렌즈의 움직임, 자각적 착용감을 평가하여 적합한 베이스커브를 평가한 결과 본 연구에 사용한 소재의 소프트 콘택트렌즈에서는 베이스커브가 8.4mm의 경우 최상의 피팅 효과를 보였다. 베이스커브를 8.4mm보다 큰 경우 순목후 렌즈 움직임보다 피팅후 렌즈의 중심이탈정도가 심하고 자각적 검사결과 의도적인 재피팅을 시도하였다. 다른 제조회사렌즈는 정교한 디자인과 제조상의 차이 때문에 언제나 같은 방법으로 피팅 결과가 나오는 것은 아니다. 본 실험에 사용한 중함수율 소프트콘택트렌즈는 대다수의 눈에 최적의 피팅을 제공해 주는 것은 8.4mm 베이스커브렌즈가 효과적이었다.

  • PDF

항만건설작업선의 선박안전법 제10조제3항(임시변경) 적용범위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Range of "Temporary Alteration" in the Article 10 of Ship Safety Act)

  • 손영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7-187
    • /
    • 2023
  • 「선박안전법」은 선박의 감항성(堪航性, Seaworthiness) 유지 및 안전운항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 이 법 제10조에서는 선박소유자가 선박검사를 받은 후 해당 선박의 선박검사증서에 적혀 있는 내용을 일시적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임시검사를 받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치는 이 법 제15조에 따른 선박검사 후 선박의 상태유지에 따른 것으로 여기에는 「항만법」 제39조제1항에 따른 "항만건설작업선"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항만건설작업선은 본래 부선(艀船)과 동일한 운용체계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박안전법」을 적용받지 아니하고 「건설기계관리법」에 따른 등록 및 검사·점검을 받아오다 2012년 12월 14일 울산항만 내에서 작업 중 발생한 "석정36호" 침몰사고를 발단으로 2016년 「항만법」이 개정되면서 「선박안전법」에 추가해서 적용받게 된 점 등을 고려할 때 항만건설작업선을 「선박안전법」에서 정하고 있는 모든 규정을 따르도록 적용하는 것은 현실적 한계가 있다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항만건설작업선의 개념, 등록, 작업구역, 검사규정, 임시변경 적용사례 등을 통한 작업특성 및 실제 항만건설작업선의 「선박안전법」 적용범위와 관련해서 논란이 되고 있는 사항 등에 대해 살펴보고, 또한 「항만법」의 개정에 따라 항만건설작업선을 「선박안전법」의 검사대상으로 편입하게 된 입법취지 등을 통해 「선박안전법」 제10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임시검사 중 "임시변경"에 관한 사항을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그 적정범위를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