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DA topic model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9초

무한 사전 온라인 LDA 토픽 모델에서 의미적 연관성을 사용한 토픽 확장 (Topic Expansion based on Infinite Vocabulary Online LDA Topic Model using Semantic Correlation Information)

  • 곽창욱;김선중;박성배;김권양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461-466
    • /
    • 2016
  • 토픽 확장은 학습된 토픽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외부 데이터를 반영하여 점진적으로 토픽을 확장하는 방법이다. 기존의 온라인 학습 토픽 모델에서는 외부 데이터를 확장에 사용될 경우, 새로운 단어가 기존의 학습된 모델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무한 사전 온라인 LDA 토픽 모델을 이용하여 외부 데이터를 반영한 토픽 모델 확장 방법을 연구하였다. 토픽 확장 학습에서는 기존에 형성된 토픽과 추가된 외부 데이터의 단어와 유사도를 반영하여 토픽을 확장한다. 실험에서는 기존의 토픽 확장 모델들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제안한 방법에서 외부 연관 문서 단어를 토픽 모델에 반영하기 때문에 대본 토픽이 다루지 못한 정보들을 토픽에 포함할 수 있었다. 또한, 일관성 평가에서도 비교 모델보다 뛰어난 성능을 나타냈다.

Hot Topic Discovery across Social Networks Based on Improved LDA Model

  • Liu, Chang;Hu, RuiL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11호
    • /
    • pp.3935-3949
    • /
    • 2021
  •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and big data technology, various online social network platforms have been established, producing massive information every day. Hot topic discovery aims to dig out meaningful content that users commonly concern about from the massiv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Most of the existing hot topic discovery methods focus on a single network data source, and can hardly grasp hot spots as a whole, nor meet the challenges of text sparsity and topic hotness evaluation in cross-network scenarios. This paper proposes a novel hot topic discovery method across social network based on an im-proved LDA model, which first integrates the text information from multiple social network platforms into a unified data set, then obtains the potential topic distribution in the text through the improved LDA model. Finally, it adopts a heat evaluation method based on the word frequency of topic label words to take the latent topic with the highest heat value as a hot topic. This paper obtains data from the online social networks and constructs a cross-network topic discovery data set.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compared to baseline methods.

KOSPI index prediction using topic modeling and LSTM

  • Jin-Hyeon Joo;Geun-Duk Par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7호
    • /
    • pp.73-80
    • /
    • 2024
  • 본 연구는 토픽 모델링과 장단기 기억(LSTM) 신경망을 결합하여 한국 종합주가지수(KOSPI)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기법을 이용해 금융 뉴스 데이터에서 금리 인상 및 인하와 관련된 10개의 주요 주제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제를 과거 KOSPI 지수와 함께 LSTM 모델에 입력하여 KOSPI 지수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은 과거 KOSPI 지수를 LSTM 모델에 입력하여 시계열 예측 방법과 뉴스 데이터를 입력하여 토픽 모델링하는 방법을 결합하여 KOSPI 지수를 예측하는 특성을 가진다. 제안된 모델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LSTM의 입력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4개의 모델(LSTM_K 모델, LSTM_KNS 모델, LDA_K 모델, LDA_KNS 모델)을 설계하고 각 모델의 예측 성능을 제시하였다. 예측 성능을 비교한 결과, 금융 뉴스 주제 데이터와 과거 KOSPI 지수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는 LSTM 모델(LDA_K 모델)이 가장 낮은 RMSE(Root Mean Square Error)를 기록하여 가장 좋은 예측 성능을 보였다.

Topic Extraction and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Comment Sets

  • Tan, Xiaodon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6권2호
    • /
    • pp.329-342
    • /
    • 2020
  • In recent years, emotional text classification is one of the essential research contents in the field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t has been widely used in the sentiment analysis of commodities like hotels, and other commentary corpus. This paper proposes an improved W-LDA (weighte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 to improve the shortcomings of traditional LDA topic models. In the process of the topic of word sampling and its word distribution expectation calculation of the Gibbs of the W-LDA topic model. An average weighted value is adopted to avoid topic-related words from being submerged by high-frequency words, to improve the distinction of the topic. It further integrates the highest classification of the algorithm of support vector machine based on the extracted high-quality document-topic distribution and topic-word vectors. Finally, an efficient integration method is constructed for the analysis and extraction of emotional words, topic distribution calculations, and sentiment classification. Through tests on real teaching evaluation data and test set of public comment set, the results show that the method proposed in the paper has distinct advantages compared with other two typical algorithms in terms of subject differentiation, classification precision, and F1-measure.

LDA, Top2Vec, BERTopic 모형의 토픽모델링 비교 연구 - 국외 문헌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opic Modeling of LDA, Top2Vec, and BERTopic Models Using LIS Journals in WoS)

  • 이용구;김선욱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5-30
    • /
    • 2024
  • 이 연구는 토픽모델링 모형인 LDA, Top2Vec, BERTopic을 대상으로 실험데이터에서 토픽을 추출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모형 간의 특성과 차이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데이터는 Web of Science(WoS)에 등재된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 85종에 게재된 논문 55,442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과정으로 우선 각 모형의 파라미터를 기본값 그대로 이용하여 1차 토픽모델링 결과를 얻었고, 최적의 토픽 수를 설정하여 각 모형의 2차 토픽모델링 결과를 얻었으며, 이들을 각 모형과 단계별로 비교분석하였다. 1차 토픽모델링 단계에서는 LDA, Top2Vec, BERTopic 모형이 각각 100개, 350개, 550개의 토픽을 생성하여 세 모형은 각각 매우 다른 크기의 토픽 개수를 가져왔으며, LDA 모형에 비해 Top2Vec이나 BERTopic 모형이 토픽을 3배, 5배 더 세분화하였다. 또한 세 모형은 토픽 당 문서 수의 평균이나 표준편차에서도 많은 차이가 났다. 구체적으로 LDA 모형은 비교적 적은 수의 토픽에 많은 문서를 부여하는 반면, BERTopic 모형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25개의 토픽 수를 생성하는 2차 토픽모델링 단계에서는 다른 모형에 비해 Top2Vec 모형이 평균적으로 토픽 당 많은 문서를 부여하고 토픽간에 고르게 문서를 할당하여 상대적으로 편차가 작았다. 또한 모형간의 유사 토픽의 생성여부를 비교하면, LDA와 Top2Vec 모형이 전체 25개 중에 18개(72%)의 공통된 토픽을 생성하여 BERTopic 모형에 비해 두 모형이 더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향후 토픽모델링 결과에서 각 토픽과 부여된 문서들이 주제적으로 올바르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보다 완전한 분석이 필요하다.

LDA2Vec 항목 모델을 기반으로 한 협업 필터링 권장 알고리즘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ation Algorithm Based on LDA2Vec Topic Model)

  • 장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385-386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ation algorithm based on the LDA2Vec topic model. By extracting and analyzing the article's content, calculate their semantic similarity then combine the traditional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to recommend. This approach may promote the system's recommend accuracy.

  • PDF

Language Model Adaptation Based on Topic Probability of Latent Dirichlet Allocation

  • Jeon, Hyung-Bae;Lee, Soo-Young
    • ETRI Journal
    • /
    • 제38권3호
    • /
    • pp.487-493
    • /
    • 2016
  • Two new methods are proposed for an unsupervised adaptation of a language model (LM) with a single sentence for automatic transcription tasks. At the training phase, training documents are clustered by a method known as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and then a domain-specific LM is trained for each cluster. At the test phase, an adapted LM is presented as a linear mixture of the now trained domain-specific LMs. Unlike previous adaptation methods, the proposed methods fully utilize a trained LDA model for the estimation of weight values, which are then to be assigned to the now trained domain-specific LMs; therefore, the clustering and weight-estimation algorithms of the trained LDA model are reliable. For the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benchmark tests, the proposed methods outperform other unsupervised LM adaptation methods based on latent semantic analysis,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and LDA with n-gram counting.

MeSH 기반의 LDA 토픽 모델을 이용한 검색어 확장 (The MeSH-Term Query Expansion Models using LDA Topic Models in Health Information Retrieval)

  • 유석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79-108
    • /
    • 2021
  • 헬스 분야에서 정보 검색의 어려움 중의 하나는 일반 사용자들이 전문적인 용어들을 이해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헬스와 관련된 전문 용어들은 일반 사용자들이 검색어로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전문 용어들이 자동적으로 검색어에 더해질 수 있다면 좀 더 검색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제안된 검색어 확장 모델은 전문 용어를 포함하는 MeSH(Medical Subject Headings)를 검색어 확장을 위한 단어 후보 군으로 이용하였다. 문서들은 MeSH용어들로 표현이 되고 이렇게 표현된 문서들의 집합에 대해서 LDA(Latent Dirichlet Analysis) 토픽들이 생성된 후, (검색어+초기 검색어에 의해 검색된 상위 k개 문서들)에 연관된 토픽 단어들이 원래의 검색어를 확장하는 데 쓰여졌다. MeSH로 구성된 토픽 단어들은 임의로 정해진 토픽 확률 임계값과 토픽을 구성하는 단어의 확률 임계값보다 높았을 때 초기의 검색어에 포함되었다. 특정수의 토픽을 갖는 LDA 모델에서 이러한 적절한 임계값의 설정을 통해 선택된 토픽 단어들은 검색어 확장에 이용되어 검색시에 infAP(inferred Average Precision)와 infNDCG(inferred Normalized Discounted Cumulative Gain)를 높이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토픽 확률값과 토픽 단어의 확률값을 곱하여 계산된 토픽 단어의 스코어가 높은 상위 k개의 단어를 검색어를 확장하는 데 이용하였을 때에도 검색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LDA를 이용한 온라인 리뷰의 다중 토픽별 감성분석 - TripAdvisor 사례를 중심으로 - (Multi-Topic Sentiment Analysis using LDA for Online Review)

  • 홍태호;니우한잉;임강;박지영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7권1호
    • /
    • pp.89-110
    • /
    • 2018
  • Purpose There is much information in customer reviews, but finding key information in many texts is not easy. Business decision makers need a model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study we propose a multi-topic sentiment analysis approach us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for user-generated contents (UGC).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this paper, we collected a total of 104,039 hotel reviews in seven of the world's top tourist destinations from TripAdvisor (www.tripadvisor.com) and extracted 30 topics related to the hotel from all customer reviews using the LDA model. Six major dimensions (value, cleanliness, rooms, service, location, and sleep quality) were selected from the 30 extracted topics. To analyze data, we employed R language. Findings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pose a lexicon-based sentiment analysis approach for the keywords-embedded sentences related to the six dimensions within a review.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sentiment analysis results of each topic with the real attribute ratings provided by the platform. The results show its outperformance, with a high ratio of accuracy and recall. Through our proposed model, it is expected to analyze the customers' sentiments over different topics for those reviews with an absence of the detailed attribute ratings.

BART 기반 문서 요약을 통한 토픽 모델링 성능 향상 (Performance Improvement of Topic Modeling using BART based Document Summarization)

  • 김은수;유현;정경용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27-33
    • /
    • 2024
  • 정보의 증가 속에서 학문 연구의 환경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량의 문서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연구에서는 BART(Bidirectional and Auto-Regressive Transformers) 기반의 문서 요약 모델을 사용하여 텍스트를 정제하여 핵심 내용을 추출하고, 이를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알고리즘을 통한 토픽 모델링의 성능 향상 방법을 제시한다. 이는 문서 요약을 통해 LDA 토픽 모델링의 성능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접근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실험 결과, 논문 데이터를 요약하는 BART 기반 모델은 Rouge-1, Rouge-2, Rouge-L 성능 평가에서 각각 0.5819, 0.4384, 0.5038의 F1-Score를 나타내어 원문의 중요 정보를 포착하고 있음을 보인다. 또한, 요약된 문서를 사용한 토픽 모델링은 Perplexity 지표를 통한 성능 비교에서 원문을 사용한 토픽 모델링의 경우보다 약 8.08% 더 높은 성능을 보인다. 이는 토픽 모델링 과정에서 데이터 처리량의 감소와 효율성 향상에 기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