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BS

Search Result 87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위치정보와 GIS 고부가 컨텐츠 연계를 통한 LBS 고도화

  • Park, Gyeong-Eun;Do, Sun-Hu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0 no.4
    • /
    • pp.82-91
    • /
    • 2003
  • 체세대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대표 주자로 정부 및 관련 업계에서 한층 주목받고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s, 이하 LBS)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무선망 기술, 위치측위 기술, 서비스 플랫폼 기술,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관련 기술, 단말기 기술 등과 같은 정보통신 산업 전반에 걸침 광범위한 핵심 요소 기술과 GIS와 고부가 컨텐츠와의 연계 및 다양한 응용 서비스 발굴 노력 등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한다. 최근에 국내외 이동통신사들이 본격적인 LBS 기반 인프라 구축에 서두르고 있는 이유도 LBS를 무선인터넷 서비스 분야의 차세대 주자로 인식하고 위치 찾기 서비스 부터 고부가 서비스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LBS의 대중화 및 이를 통한 수익 극대화를 실현시키고자 하는 의지의 반영이라 하겠다. 이렇게 급변하는 시장환경을 이해하고 실제 서비스 환경에 맞는 적용 방향으로 GIS 고부가 컨텐츠를 위치정보와 연계하여 고도화된 LBS를 제공하는 필수적인 GIS 고부가 컨텐츠의 효율적인 관리 및 LBS 확대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LBS 프레임워크상의 GIS 플랫폼(GIS 컨텐츠 서버)의 구성 및 세부 기능과 컨텐츠 및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할 공통 인터페이스 등을 제안함으로써 LBS 활성화 및 고도화를 위한 구체적인 추진 방법을 기술한다.

Development of Mobile Poll System based on Open LBS Platform (개방형 LBS 기반 모바일 Poll 시스템 개발)

  • 김철민;박기창;김병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850-852
    • /
    • 2004
  •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과 휴대 단말기 등의 진화에 따라 위치기반 서비스(LBS)가 인터넷을 통해 가장 성장성이 높은 새로운 서비스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LBS 핵심 기반 기술의 성장에 비해 그와 관련된 응용 서비스 및 콘텐츠의 개발 사례는 미비한 상태여서 LBS 산업의 활성화와 균형 있는 발전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특화된 무선 설문을 제공하는 새로운 LBS 기반 응용 서비스를 제시하고, 응용 서비스의 이동통신사 간 다양한 휴대 단말기의 지원과 호환을 위하여 무선 인터넷 표준 플랫폼 WIPI를 활용한 시스템을 제안하다. 제안된 시스템은 설문양식과 사용자를 관리하는 서버와 사용자 단말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며 LBS와 연동하여 특정 지역에 맞는 특화된 설문을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the promotion of LBS Mobile Games (위치기반 모바일 게임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

  • Kim, Dae-Hee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4 no.3
    • /
    • pp.3-10
    • /
    • 2004
  • With 3.6 million user of mobile phone, there has been a rapid develop ment of advanced mobile game taking advantage of various mobile phone functions. Most of all, LBS(location-Based Service) mobile game is expected to make a new mobile game market which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The purpose of this paper, thus, is to review the present condition of LBS mobile game and possibilities. Furthermore, it is also to analyze the facing problems to solve and find the way to promote the LBS mobile game service.

  • PDF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s)

  • 최혜옥
    • TTA Journal
    • /
    • s.86
    • /
    • pp.59-69
    • /
    • 2003
  • 본 고에서는 차세대 정보통신 핵심기술과 서비스로 대두되고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 기술 및 표준화 동향에 대하여 서술한다. 통합기술로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기술과 국내외 서비스 현황, 관련 기술에 대한 국내외 표준화 동향을 소개하고, LBS 표준화포럼을 통하여 진행되고 있는 국내 LBS 표준화 활동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Personalization of LBS using Recommender Systems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협업 필터링 기반 추천 시스템을 이용한 LBS의 개인화)

  • Kwon, Hyeong-Joon;Hong, Kwang-Seok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1 no.6
    • /
    • pp.1-11
    • /
    • 2010
  • While a supply of GPS-enabled smartphone is increased, LBS which is studied and developed for special function is changed to personal solu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implement on personalized method of individual LBS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based recommend system. Proposed personalized LBS system recommends contents which is expected to be interest for individual user, by predicting location-based contents within a user's setting radius. To evaluate performance of proposed system, we observed prediction accuracy with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 using our prototype.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convergence of collaborative filtering and LBS is effective for personalized LBS.

Intention to Disclose Personal Information in LBS : Based on Privacy Calculus Perspective (스마트폰 위치기반서비스에서 정보제공의도 : 프라이버시 계산 관점을 중심으로)

  • Kim, Jong-Ki;Kim, Sang-Hee
    •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v.21 no.4
    • /
    • pp.55-79
    • /
    • 2012
  • LBS(Location-Based Service) is one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 services which has been receiving great attention recently. Various applications of smartphone use LBS to provide innovative services. However, use of LBS raises privacy concerns becau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users is constantly exposed. Privacy calculus perspective attemp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privacy. It is based on the risk-benefit analysis in the economics' perspective. That is, when the benefit expected through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is higher than risk, we are willing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This research suggeste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privacy calculus perspective to clarify the effect of information disclosure intention of smartphone LBS application users. Based on the main factors of privacy calculus, perception of privacy risk and privacy benefit, the relationship of the perceived value and the information disclosure intention was empirically analyzed by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all relation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except the relation between privacy concern and information disclosure intention. This study showed a strong evidence of antecedent factors based on privacy calculus of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in smartphone LBS applications.

The Design of Alert Engine Cartridge On Moving Object Database

  • Min, Kyoung-Wook;Park,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3.11a
    • /
    • pp.189-191
    • /
    • 2003
  • The types of ser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are being various and extending its domain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s developing and its application part is widespread, so it is prospected that LBS (Location-Based Services) will be killer application in wireless internet services. The MODB (Moving Object Database) stores and manages very large current/ past moving object data, so it is very important part in LBS platform. The performance of LBS platform is tightly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this MODB. The other important part is alerting engine in LBS platform, which is system to transmit various value-added information or notify emergency information to mobile phone after triggering specified events. This alert engine is supported as extended function of MODB, that is to say, the alerting function is closely related with MODB. So alert cartridge on MODB must provide not only moving point triggering about going into, going out specified geographical area but also batch alerting about nearest neighbor from specified geographical area. In this paper, we study of extended part on MODB to support the alert engine. And we design alert engine cartridge on MODB before implementing the system.

  • PDF

2세대 모바일 LBS 시대가 열린다

  • Im, Yeong-Mo
    • Digital Contents
    • /
    • no.9 s.148
    • /
    • pp.56-59
    • /
    • 2005
  • 요즘 한창 휴대폰의 도청 가능성 여부를 놓고 정국이 시끌벅적하지만, 이에 못지 않게 논란이 됐던 게 바로 휴대폰을 이용한 위치 추적 사건이었다. 모 대기업에서 근로자의 휴대폰을 불법적으로 위치 추적하면서 불거졌던 이 사건은 결국 무혐의로 상황 종료되긴 했지만 위치정보법에 대한 필요성을 부각시킨 사례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위치정보에 대한 법률적인 기반이 마련됐다. 지금까지 LBS(Location Based Service) 분야로 기반 환경 조성 차원의 투자 단계가 진행됐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법적인 제도화를 통해 안정적인 서비스 단계로의 전이가 일어나려는 수순이라 하겠다. 지난 달 디지털콘텐츠의‘이슈’코너에서도‘차세대 킬러 앱'LBS’뜨거운 감자’라는 내용으로 이에 대해 자세히 소개한 바 있기도 하다. 이번 모바일 핫토크에서는 이 LBS 관련 모바일 서비스들에 대한 전망에 대해 소개한다.

  • PDF

A Study of LBS Security Model in the Application Service using W-PKI (W-PKI를 이용한 LBS 응용서비스에서의 보안 모델 연구)

  • 이진우;황지온;김관연;박세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3.07a
    • /
    • pp.245-248
    • /
    • 2003
  • LBS는 이동통신망이나 위성신호등을 이용하여 Mobile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한 위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프라이버시(Privacy) 문제나 접근제어(Access Control)같은 인증(Authentication)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BS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LBS Privacy 문제점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모델은 차세대 LBS 시스템의 개인정보 및 Privacy 보호를 위한 기술적인 대안을 제시하였으며, 차세대 이동통신의 기반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Indoor LBS Model based on LED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LED 조명통신 기반 Indoor LBS 모델 연구)

  • Jeon, Jeong-U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1a
    • /
    • pp.567-570
    • /
    • 2008
  • 위치 및 지리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서비스(LBS)가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u-City/Town과 더불어 지하 실내 복합문화공간이 활발하게 건설되고 있다. 미래사회에서 얘기하는 물리적 공간의 지능화 유비쿼터스화를 위한 실내 환경에서의 위치기반서비스가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위치인식 기술과 더불어 국내 외 위치기반서비스 사업현황을 분석해보고, 실내 환경에 적용 가능한 u-복합문화공간 서비스 모델, 특히 실내 LED 인프라를 이용한 Indoor LBS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