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BS

검색결과 870건 처리시간 0.029초

U-LBS 기반의 eCRM 모바일 콜센터 개발

  • 강윤정;송행숙;최동운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공동추계학술대회
    • /
    • pp.234-238
    • /
    • 2005
  •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통해 새롭고 다양한 서비스가 창출되고 있다. 특히, 언제 어디서나 사람과 사물 같은 객체의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위치기반 서비스(Ubiquitous Location Based Services: u-LBS)가 중요한 서비스로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이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유용한 많은 응용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한 eCRM 모바일 콜센터는 기존에 기업들이 eCRM을 이용하여서 고객 마케팅하는데, 이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u-LBS 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eCRM 모바일 콜센터를 개발하였다.

  • PDF

W-PKI기반 인증 및 프로토콜을 이용한 LBS 보안 구조 연구 (A Study on LBS Security Structure using W-PKI based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protocol)

  • 박상덕;이동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131-134
    • /
    • 2004
  •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는 이동중인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타 정보와 결합해 사용자가 요청, 혹은 필요로 하는 부가적인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말한다. 현재의 개인 위주의 서비스에서 국가 전반적인 인프라 차원으로 급속히 확대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의 프라이버시(Privacy) 문제나 접근제어와 같은 인증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BS 기업체 동향 및 전반적인 사항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LBS 프라이버시(Privacy) 보호를 위한 접근제어 문제, 인증 문제 및 키 신규성 확인 기능을 제공하는 타원곡선 기반의 인증 및 키 교환 프로토콜 기술을 제시한다.

  • PDF

만성요통환자의 레이져 수술전과 수술6주후의 요부신전근력에 관한 비교 (The comparison about lumbar extensor strength between pre op group and post op(after 6 weeks) group in HIVD patient)

  • 박성광;석혜경;김명준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53-36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lumbar extensor strength between pre op patients group and after 6 weeks post op patients group. To evaluate lumbar extensor strength of total 273 patients with HIVD. Lumbar extensor strength was measured in 151 male patients and 122 female patients(Lumbar extensor strength was measured in 91 PELD patients group and 182 OLM group patients) by Medx lumbar extension machine. Maximum voluntary lumbar extension strength was appear $149.36{\pm}61.92ft$-lbs in pre op of PELD group, $158.47{\pm}54.67ft$-lbs in post op of PELD group and $135.54{\pm}54.24ft$-lbs in pre op of OLM group. $147.19{\pm}52.42ft$-lbs in post op of OLM group in male. Maximum voluntary lumbar extension strength was appear $83.85{\pm}30.22ft$-lbs in pre op of PELD group. $92.99{\pm}28.66ft$-lbs in post op of PELD group and $75.16{\pm}24.98ft$-lbs in pre op of OLM group, $79.88{\pm}25.25ft$-lbs in post op of OLM group in female. Male and female lumbar extension streng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Lumbar flexion/extension ratio of the two group was 2.14:1 pre op and 2.05:1 post op in lumbar flexion 72 and 0 degree. The ratio of post op group was lesser than pre op group.

  • PDF

모바일 LBS 시스템에서 동적 경로 계산 데이터베이스 모델 (A Dynamic Path Computation Database Model in Mobile LBS System)

  • 주용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43-52
    • /
    • 2011
  • 최근, 모바일 시스템에서 DBMS를 활용한 위치기반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향상된 차량항법 (in-vehicle navigation) 시스템에 있어 효과적인 저장, 트랜잭션 관리, 모델링과 공간 질의를 통해 현행 파일 기반 시스템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는 경로 탐색 시스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영역에 해당하며 효율적인 관리와 유지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모바일 LBS 시스템에서 위상적인 네트워크 데이터를 위한 그래프 기반 지오 데이터베이스 모델 개발과 휴리스틱 접근에 기반을 둔 동적 경로 계산 알고리즘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계층적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고, 모바일 LBS 시스템에서 수행 능력을 평가하기위한 경로 계산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계층 그래프 모델 기반 경로 계산 알고리듬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 개수를 줄여 탐색 속도와 효율적 메모리 사용에 기여할 수 있을 확인 할 수 있다.

완전동형암호기반 프라이버시 보호 Top-k 위치정보서비스 (Privacy Preserving Top-k Location-Based Service with Fully Homomorphic Encryption)

  • 허미영;이윤호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53-161
    • /
    • 2015
  • Top-k 위치정보서비스는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k개의 장소를 반환하는 서비스이다. 기존의 방법들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LBS Server에 그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훼손의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완전동형암호를 사용하여 Top-k 위치정보서비스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안을 연구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질의와 Database의 위치 데이터 정보를 암호화한다. LBS Server는 완전동형암호를 이용해 암호화된 질의 위치 정보와 암호화된 위치 데이터로 거리 계산을 수행한다. LBS Server는 계산 결과를 암호문 상태에서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가 저장되어 있는 k개의 암호문을 결과로서 도출한다. 결과는 LBS Server로부터 사용자에게 반환되며, 사용자는 이를 복호화하여 자신의 질의 결과를 확인한다. 본 방법에서는 Database의 위치 데이터와 사용자의 질의 정보가 모두 암호화된 상태로 Top-k 위치정보서비스를 제공하므로 LBS Server에 대해 사용자와 위치 데이터 정보의 프라이버시가 보존된다. 시뮬레이션에서는, 16개의 위치 정보에 대하여 질의와 거리 연산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질의로부터 가장 가까운 3개의 위치를 알아내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인 데스크탑 환경에서 약 270시간이 걸려 단기간 내의 실용화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나 이러한 성능 문제는 하드웨어의 발전과 함께 개선될 것이라 생각된다.

이동 클라우딩 환경에서 LBS 지원 핸드오프 기법 (Handoff Method Supporting LBS Information in Mobile Clouding Computing)

  • 김기영;김선집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89-9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이동 클라우딩 환경에서 LBS(Location Based Services)를 지원하는 핸드오프 기법을 제안한다. 이동 클라우딩 컴퓨팅은 핸드오프 지연과 함께 재인증 지연이 발생한다. 단말이 새로운 AP에 도착하면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다시 인증을 받는 절차가 필요하다. 하지만 위치정보를 이동 단말의 재인증에 사용하면 인증에 따른 지연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안하는 기법은 위성신호를 받지 못하는 실내에서 사용할 수 없는 GPS기반 기술을 보완할 수 있는 WiFi 기반의 위치정보 서버에 AP의 위치정보를 구축하고 핸드오프 수행 시에 위치정보를 수집하도록 하였다. 또한 핸드오프 시에 위치정보 요청을 분리하여 처리하도록 하여 핸드오프지연 시간의 증가 없이 LBS 처리를 가능하도록 하였다. 성능 분석은 핸드오프 지연시간과 위치정보 처리시간과 이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의 양을 기존의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핸드오프 기법과 비교 분석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핸드오프 시에 위치정보 서버를 통해 위치정보를 수신하도록 하여 LBS 처리에 따른 지연시간이 낮았으며 핸드오프 수행시간이 증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등국가 건설 위한 '첨병' 자부

  • 김종율
    • 정보화사회
    • /
    • 통권179호
    • /
    • pp.15-19
    • /
    • 2006
  • LBS 관련 국내 업체는 상당히 많다. 이들은 한결 같이 외산 기술을 넘어 국산 기술의 신화창조를 위해 매진하고 있다. 그들 중 대부분은 LBS산업협의회 회원사로 활동하고 있다. 회원사를 중심으로 그들의 활동상을 짚어봤다.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조했으며, 익히 잘 알려진 회사는 제외시켰다. 더불어 홈페이지에 LBS관련 내용이 부족했던 일부 업체 또한 누락시킬수밖에 없어 아쉬웠다.

  • PDF

LBS 성능 보장을 위한 모듈형 관리기 구현 (A Modular Type Manager Implementation for LBS Performance Guarantee)

  • 이종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5호
    • /
    • pp.275-28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LBS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모듈형 관리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시나리오 관리 모듈, 이동성 관리 모듈, 그리고 통계 관리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모듈은 시나리오 리스트에 따라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이동성을 제어한다. 그리고 통계 관리 모듈은 이동성 정보, 오류 해결, 그리고 여러 문제들을 기록하고 저장한다. 따라서 제안된 구현 시스템은 수작업을 통하여 시스템 성능을 체크하는 것에 비해서 관리 비용을 감소시키고, 관리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LBS 기술을 이용한 폐기물 운반차량 위치추적시스템 구축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uilding Method of Location Tracking System of Waste Vehicle Using LBS)

  • 장성현;우제윤;구지희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7-153
    • /
    • 2005
  • 폐기물의 처리과정을 발생부터 최종 처리까지 처리경로를 확인하여 적정하고 투명한 처리를 도모하기 위해 폐기물의 배출에서부터 최종처리까지의 과정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Web 기반의 폐기물 적법처리 입증정보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위치적으로 고정적인 폐기물 배출자 및 처리자와는 달리 양자간에 움직이며 폐기물을 실질적으로 이동하는 폐기물 운반차량의 관리에 대한 한계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 운반차량의 부실관리는 운반차량의 불법적인 투기 및 부실운반 사례로 이어져, 폐기물의 방치로 인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국내의 실정에 맞는 GPS를 이용한 위치추적시스템을 구축하여 폐기물운반차량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로데이터 구축현황, 시스템 구축방법 등 국내 실정에 맞는 폐기물 운반차량 위치추적시스템 구축에 대한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