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AND COVER

검색결과 1,421건 처리시간 0.031초

행정중심복합도시 재해경감대책을 위한 토지피복분류 (Land Cover Classification of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for Hazard Mitigation Precaution)

  • 한승희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5호
    • /
    • pp.77-8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정부차원에서 충남 연기군 일대에 추진되고 있는 행정중심복합도시 대상지역($132\;km^2$)에 대하여 재해대책을 위한 토지피복 분류 및 식생활력도(NDVI) 평가를 시도하였다. 활용한 영상은 아리랑 2호, LANDSAT, Aster 영상이며 해상도에 따른 분류의 한계를 비교, 평가하였다. 대상지역은 주로 산지와 논과 밭 등의 경작지이므로 특히 논과 밭의 분류에 주의를 기울였다. 아리랑2호 영상의 분류에 있어서는 고해상영상 분류를 위한 세그먼테이션 기법을 적용하였다. 분류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표본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검사하였으며 국가 토지이용도 및 토지대장의 지목과 비교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shape file의 형태로 주제도를 완성하였으며 이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미래지향적 개발계획을 위한 정책결정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녹지주변의 토지이용형태가 녹지내의 기온저감효과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How Different Types of Land Use Around Green Belts Influence on the Effects of Temperature Decrease within Green Belts)

  • 윤용한;조계현;백승엽;김승태;김원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5-51
    • /
    • 2003
  • 본 연구는 녹지주변의 토지이용형태의 차이가 녹지내의 기온저감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녹지내외의 기온분포를 관측하였다.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녹지내의 토지피복현황과 기온, 녹지주변의 기온저감효과와 그 영향범위 및 수목그루와 기온저감효과와의 관련성을 회귀분석 등에 의해 해석하였다. 그 결과 녹지내의 고온역은 포장면, 나지 주변에서 저온역은 수림지, 수면 주변에서 형성되었다. 또한 녹지를 중심으로 풍하 쪽의 관측치는 최저기온보다 최고기온이 편차가 크지만, 전체적으로는 녹지에 가까워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토지피복비율과 기온과의 관계를 보면, 수림지, 초지 및 수면은 기온저감에 효과적이고, 그 토지피복비율의 증감에 따라 기온저감효과가 서로 달랐다. 녹지주변의 토지이용형태의 차이가 녹지내의 기온저감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Shakuzi park(주거전용지역)보다 Ageomaruyama Park (시가화조정구역) 상대적으로 효과가 컸다.

수정된 KGE 방법을 활용한 지점, 인공위성, 재분석 자료 기반 증발산 융합 기술 (Merging technique for evapotranspiration based on in-situ, satellite, and reanalysis data using modifed KGE fusion method)

  • 백종진;정재환;박종민;최민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1호
    • /
    • pp.61-70
    • /
    • 2019
  • 실제증발산 자료를 융합하기 위한 Modified Kling-Gupta efficiency Fusion (KGF)방법을 제시하였고, 인공위성 및 재분석 증발산 자료인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GLDAS), Global Land Evaporation Amsterdam Model (GLEAM), MODIS Global Evapotranspiration Project (MOD16)를 활용하여 Simple Taylor skill's Score (STS)와 비교하였다. 한반도와 중국의 세가지 land cover type(i.e., cropland, grassland, forest)을 가진 flux tower에서 비교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제증발산의 융합 방법인 STS와 KGF로 계산된 가중치의 결과를 확인하면, cropland와 grassland에서 재분석 자료(GLDAS, GLEAM)가 높은 가중치 영향을 나타내지만, forest에서 융합 방법에 따라 가중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실제증발산 융합 방법 적용 결과의 비교에서는 cropland에서는 융합에 사용된 자료에 비하여 높은 개선이 이뤄지지 않았지만, grassland와 forest 에서는 개선이 이뤄졌다. 두 방법 중 KGF의 결과가 STS의 결과에 비하여 약간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훈련지역의 취득방법 및 규모에 따른 JERS-1위성영상의 토지피복분류 정확도 평가 (Estimation of Classification Accuracy of JERS-1 Satellite Imagery according to the Acquisition Method and Size of Training Reference Data)

  • 하성룡;경천구;박상영;박대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7-37
    • /
    • 2002
  • 정량적인 토지피복도의 확보는 유역에 분포하는 비점오염원의 규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 과정에 있어서, 훈련지역의 취득방법 및 규모가 분류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JERS-1 OPS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평가하였다. 전체 연구대상지역 중에서 0.3%, 0.5%, 1.0%를 훈련지역으로 추출함에 있어서 두 가지 기법을 제안하였다. 첫번째 기법은 해당지역에 대한 사전 지식을 갖춘 연구자가 훈련지역을 추출하였으며, 두번째 기법은 기하학적 보정을 행한 항공사진과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훈련지역을 추출하였다. 영상의 토지피복 분류는 최대우도분류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사용자에 의한 훈련지역 취득기법보다 항공사진과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훈련지역을 추출하여 최대우도분류법을 적용할 경우 전체정확도가 최대 18% 정도 향상하였다. 우리나라와 같이 복잡하고 다양한 토지이용을 가진 지형에서 JERS-1 영상을 이용하여 95%의 신뢰도를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훈련지역을 전체지역의 약 1% 이상 추출하여야 만족할 만한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할 수 있었다.

  • PDF

IKONOS 영상을 이용한 고해상도 토지피복도 작성 (High-resolution Land Cover Mapping of Rural Area Using IKONOS Imagery)

  • 정인균;홍성민;김성준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71-7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agriculture-related information from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ies. Calendar of cropping pattern for crops detected on the image was diagrammed, and field investigation was done to check crop status, agricultural facilities and structures. As a result, high-resolution agricultural land cover map from IKONOS imageries was made out.

  • PDF

Landsat TM과 KOMPSAT-1 EOC 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 및 SCS-CN 직접유출량 산정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Landsat TM with KOMPSAT-1 EOC and SCS-CN Direct Runoff Estimation)

  • 권형중;김성준;고덕구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66-7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land cover classification map by using remotely sensed data : Landsat TM and KOMPSAT-1 EOC, and to estimate SCS-CN direct runoff by using point rainfall(Thiessen network) and spatial rainfall(surface interpolation) f

  • PDF

Flood Hazard Map in Kumagaya City

  • Tanaka, Seiichiro;Ogawa, Susumu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763-765
    • /
    • 2003
  • We made a hazard map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for he greatest inundation damage that happened for the 20th century. We calculated the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Landsat from 1983 to 2000. We calculated it from a damage report and an aerial photo for a flood. We considered relation of both land cover classification and the damage. We expected the inundation damage in the future and made a hazard map.

  • PDF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경산시의 토지잠재력 분석 (A Land Capability Analysis in Kyungsan, Korea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오정학;정성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4-44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land use in the future, which result from analyzing land use, obtained after studying on the natural environment by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Remote Sen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land-cover, agricultural land use is relatively prominent except for overall natural covering. According to the average value of Green Vegetation Index class, the average value of GVI is 3.0, and 45% of the regions have relatively good condition of floral state. ·With a view to natural environment, the survey shows that the altitude of 90% of the total areas is below 400m, and most of them are flattened or moderately-inclined area. Therefore, this region has a good condition to be used for development. · The area for the first class in preservation degree of natural scenery of Namcheon-Myun is 2.3% of the total areas. According to the results about unstable areas on all sides, unstable districs are distributed in so small-scale units that they will be safe from some damages drawn by developing activity. But we have to consider every aspect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m. In this study, the natural environment-variables are regarded firstly, and effective designation of the land with natural environment is researched too. However, to establish more practical developing plan, ecological and human variables should be regarded.

  • PDF

도농통합지역의 녹지환경정비모델에 관한 연구 I - 위성데이타를 이용한 천안시 토지이용 변화 - (A Study on the Urban Fringe Landscape Environment Model -The Analysis of Change in Land Uses of Chonan City using Landsat TM Data-)

  • 심우경;이진희;김훈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7-248
    • /
    • 1998
  • Landcover has been largely influenced by human activities, especially in recent days. The analysis of the change of land use by urbanized development is useful for determining development plan hereafter. This study aimed to the quantitative analysis about the urban sprawl within 12 years from 1985 to 1996, at Chonan, and for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land cover classifications using Landsat TM data . A hybrid classification method was used to classify satellite images into seven types of land cover. Road network digitied from 1:25,000 topographic map was rasterized and overlaid on the landcover map. A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area of forest and paddy decreased due to urban sprawl. Especially from 1993 to 1996, the change of land use progressed rapidly because of merging a city and a country in Chonan. The size of patch in forest had been smaller and irregular form. It is a general progress that size of patch in forest had been smaller and irregular form. It is a general progress that the forest have changed the paddy and bare land paddy and bare land have changed low-density urban or high-density urban. This explained how urbanized Chonan was and applied the suggeston of plan in landuse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 PDF

L-THIA모형을 이용한 수질오염총량관리제 토지계 T-P 발생부하량 산정방식의 개선 (Enhancement of Estimation Method on the Land T-P Pollutant Load in TMDLs Using L-THIA)

  • 류지철;김은정;한미덕;김용석;금동혁;임경재;박배경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62-17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총량제의 토지계 발생부하량 산정 방식에서의 지목 단순화로 인한 불확실성을 분석하고, 23 개 중분류 토지피복도를 기존 산정방식에 적용하여 지목 확장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으며 이를 L-THIA 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진위천 유역에 대하여 지목이 단순화된 기존 방식(시나리오 1)과 23개 중분류 토지피복도를 이용한 방식(시나리 오 2)으로 산정된 TP 부하량을 비교한 결과 기존 방식의 불확실성이 높다는 것이 나타났으며, 시나리오 2에 의한 분석 결과 같은 대지 분류에 속하는 토지피복들에서 T-P 발생부하량의 편차가 3.45 kg/day~56.69 kg/day로 약 16배의 차이를 보였다. 시 나리오 2를 수질오염총량제에 적용할 수 있도록 23개 중분류 토지피복을 지적도 기반 지목으로 매칭하여 TP 발생부하량을 산정하였다(시나리오 3). 개선된 방식(시나리오 3)의 토지계 T-P 발생부하량 산정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 L-THIA 모형의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모형 예측 대비 약 10% 정도로 차이가 매우 적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수질오염총량제의 토 지계 발생부하량 산정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