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2 Trigger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6초

딥인코더-디코더 기반의 인공지능 포토 스토리텔러 (AI photo storyteller based on deep encoder-decoder architecture)

  • 민경복;;이수진;문현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31-934
    • /
    • 2019
  • Research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generate captions for an image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However, these systems are unable to create creative stories that include more than one sentence based on image content. A story is a better way that humans use to foster social cooperation and develop social norms. This paper proposes a framework that can generate a relatively short story to describe based on the context of an image.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paper are (1) An unsupervised framework which uses recurrent neural network structure and encoder-decoder model to construct a short story for an image. (2) A huge English novel dataset, including horror and romantic themes that are manually collected and validated. By investigating the short stories, the proposed model proves that it can generate more creative contents compared to existing intelligent systems which can produce only one concise sentence. Therefore, the framework demonstrated in this work will trigger the research of a more robust AI story writer and encourages the application of the proposed model in helping story writer find a new idea.

체외수정 시술시 과배란 유도에서 Luteal Phase Support에 Human Chorionic Gonadotropin과 Progesterone의 효용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linical Effectiveness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and Progesterone on Luteal Support in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an far IVF)

  • 나오순;이상훈;배도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1권3호
    • /
    • pp.233-240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ndocrine milieu, and pregnancy rates in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IVF-ET) program employing combined with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gonist(GnRH-a) and pergonal(LH 75lU+FSH 75lU) when either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 or progesterone were used for luteal phase support. A total number of 40 IVF-ET treatment cycles were prospectively studied. Ovarian hyperstimulation method was modified ultrashort protocol using GnRH-a. All patients started Decapeptyl at menstrual cycle day # 2, and HMG was started at # 3 days. When leading follicle was ${\geqq}$18mm or at least two follicles were ${\geqq}$14mm in diameter, HCG 10000lU intramuscularly was injected. After 36 hours HCG administration, oocytes were retrieved as usual guided by transvaginal ultrasound. Embryo were transfered 36-48 hours later. The patient's cycles were prospectively randomized to receive HCG(20cycles) or Progesterone (20cycles) for luteal support. The progesterone group received 25mg 1M starting from the day of ET. The HCG group received 1500IU 1M. on days 0, +2, +5 after ET. Estadiol($E_2$) and Progesterone($P_4$) were measured on the day of oocyte aspiration, ET day, and every 6 days thereafter. Results were follows as; 1. Estradiol, progesterone and LH levels on the day of HCG trigger, retrieved oocytes and number of transfered embryo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groups. 2. On the day of aspiration and embryo transfered day, $E_2$, $P_4$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rogesterone group than HCG group(p<0.01). 3. $E_2$, $P_4$ level on 6 days after E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rogesterone group than HCG group(p<0.01). But, $P_4/E_2$ ratio was not different in both groups. 4. $E_2$, $P_4$ level 12 days after ET were decreased abruptly in both groups and higher hormonal level appeared in HCG group(P<0.01). 5. The total pregnancy rate in the HCG group was 40% (8/20) and in the progesterone group 15%(3/20). 6. Comparing the pregnant and nonpregnant cases progesterone group was not different the hormonal status. In HCG group, pregnant cases appeared in higher $P_4$, $P_4/E_2$ ratio than nonpregnanct cases(P<0.01).

  • PDF

BcN 환경에서 유선망과 무선망간의 끊김없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핸드오버 절차 (A Handover Scheme for Seamless Service Support between Wired and Wireless Networks over BcN)

  • 양옥식;최성곤;최준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6호
    • /
    • pp.799-808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유선망과 무선망간의 끊김없는 연결과 QoS 지원을 위해 Mobile-Assisted 및 Server-Initiated 핸드오버 방법을 이용하는 Low Latency 핸드오버 절차를 제안한다. 주 기능은 서버와 단말로 구성되며, 서버는 네트웍의 상황과 사용자의 선호도들을 고려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최선의 타겟 네트웍을 미리 평가하고 결정하여 두며, 단말은 서버에 의해 결정된 무선망과 링크 연결뿐만 아니라 CoA로 사용할 IP 주소를 미리 받아두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만약 유선망에서 예고없이 연결이 해제되는 등의 원인에 의해 핸드오버가 요구되면 서버는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 방법을 이용하여 물리계층의 핸드오버 트리거를 서버로 전송하고 이를 받은 서버는 직접 게이트웨이로 바인딩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핸드오버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유선망과 무선망간의 끊김없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핸드오버 절차 (A Handover Procedure for Seamless Service Support between Wired and Wireless Networks)

  • 양옥식;최성곤;최준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12호
    • /
    • pp.45-5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유선망과 무선망간의 끊김없는 연결과 QoS 지원을 위해 네트웍 기반의 Low Latency 핸드오버 절차를 제안한다. 주 기능은 서버와 단말로 구성되며, 서버는 네트웍의 상황과 사용자의 선호도들을 고려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최선의 타겟 네트웍을 미리 평가하고 결정하여 두며, 단말은 서버에 의해 결정된 무선망과 링크 연결 뿐만 아니라 CoA로 사용할 IP 주소를 미리 받아두는 역할을 수행한다. 만약 유선망에서 예고없이 연결이 해제되는 등의 원인에 의해 핸드오버가 요구되면 서버는 MIH (media independent handover) 방법을 이용하여 물리계층의 핸드오버 트리거를 서버로 전송하고 이를 받은 서버는 직접 게이트웨이로 바인딩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핸드오버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후지마비견(後肢痲痺犬)에 대한 봉독(蜂毒) 약침(藥鍼) 및 봉독(蜂毒) 약침(藥鍼)과 한약제(漢藥劑)의 병용치료(倂用治療) : 증례보고(症例報告) (Treatment by Injection-Acupuncture with Apitoxin and Apitoxin Combined by Chinese Herbal Medicine in Patients with Canine Bind Limb Paralysis : Case Report)

  • 전형규;박세근;김덕환;김문호;서금원;서청령;요진재;궐호연;정한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5-228
    • /
    • 2007
  • 개 추간판 디스크 2 증례(症例)를 대상으로 봉독약침 및 봉독약침과 한약제로 각각 치료하였다. 증례(症例) 1은 흉-요추부 추간판탈출증(T11-T12, T12-T13, L3-L4 및 L4-L5)으로 진단(診斷)된 증례이었으며. 증례 2는 흉추부 추간판탈출증(T10-T11 및 T12-T13)으로 진단(診斷)된 증례이었다. 이들 증례에 대하여 봉독약침(0.1 ml/혈위, 총$200{\mu}g$)을 실시(實施)하였으며, 운동요법과 수영요법도 병용하였다. 봉독약침에 사용한 혈위는 GV20-Bai Hui, GB30-Huan Tiao, ST36-Zu San Li, GB34-Yang Ling Quan, ST40-Feng Long, ST41-Jie Xi 및 BL40-Wei Zhong, 병변부 및 압통점이었다. 또한 증례 2에 대하여는 봉독약침과 더불어 Zheng Gu Zi Jin Dan(정골자금단(正骨紫金丹) : 1 g), Shiuh Duann(속단(續斷) .0.2 g), Du Zhong(두중(杜仲) : 0.2 g), Mo Yao(몰약(沒藥 : 0.2 g), Ru Xiang(유향(乳香) : 0.2 g) 및 Pyrite(자연동(自然銅) : 0.2 g)를 각각 총 9일간 경구투여(2회/1일)하였다. 증례 1은 총 4주간 11회 치료, 증례(症例) 2는 총 2주간 6회 치료 후 각각 보행이 가능하였다.

이동망에서 트리거를 이용한 향상된 핸드오프 메커니즘 및 자원예약 방안 (An Improved Handoff and Resource Reservation Scheme Using Triggers in Wireless Network)

  • 이돈수;민상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0B호
    • /
    • pp.630-63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Mobile IPv6 메커니즘을 개선한 방식으로서 이동단말의 정보 공유를 통한 주소 중복 검사 생략과 2 계층에서의 이벤트를 이용한 예상된 핸드오프 기법 그리고 패킷 지연을 줄이기 위해 터널링 기법을 이용하는 방법과 효과적인 자원예약을 위해 2 계층에서의 이벤트를 이용한 anticipated-reservation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핸드오프 메커니즘은 기존의 방식에 비해 핸드오프 시 데이터 수신 지연을 줄이고 터널링 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라우터 간의 데이터 트래픽 양을 줄인다. 또한 anticipated-reservation 메커니즘은 자원예약을 수행하기 위해 자원을 미리 예약한다. 제안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프 메커니즘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였고 anticipated-reservation 메커니즘은 새로운 에이전트의 도입과 메시지 흐름을 이용하여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변량제어 스프레이어 (Ultrasonic Sensor Controlled Sprayer for Variable Rate Liner Applications)

  • 전홍영;주허핑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6권1호
    • /
    • pp.15-22
    • /
    • 2011
  • An experimental variable rate nursery sprayer was developed to adjust application rates for canopy volume in real time. The sprayer consisted of two vertical booms integrated with ultrasonic sensors, and variable rate nozzles coupled with pulse width modulation (PMW) based solenoid valves. A custom-designed microcontroller instructed the sensors to detect canopy size and occurrence and then controlled nozzles to achieve variable application rates. A spray delivery system, which consisted of diaphragm pump, pressure regulator and 4-cycle gasoline engine, offered the spray discharge function. Spray delay time, time adjustment in spray trigger for the leading distance of the sensor, was measured with a high-speed camera, and it was from 50 to 140 ms earlier than the desired time (398 ms) at 3.2 km/h under indoor conditions. Consequently, the sprayer triggered 4.5 to 12.5 cm prior to detected targets. Duty cycles of the sprayer were from 20 to 34 ms for senor-to-canopy (STC) distance from 0.30 to 0.76 m. Outdoor test confirmed that the nozzles were triggered from 290 to 380 ms after detecting tree canopy at 3.2 km/h. The spray rate of the new sprayer was 58.4 to 85.2% of the constant application rate (935 L/ha). Spray coverage was collected at four areas of evergreen canopy by water sensitive papers (WSP), and ranged from 1.9 to 41.1% and 1.8 to 34.7% for variable and constant rate applications, respectively. One WSP area had significant (P < 0.05) difference in mean spray coverage between two application conditions.

울릉도와 독도 근해해역의 이ㆍ화학적 특성과 광합성색소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Variation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toplanktonic Pigments in Coastal Sea Water from Ullungdo and Dokdo Islands)

  • 정지안;조은영;차재훈;김미경;김기태
    • 환경생물
    • /
    • 제18권4호
    • /
    • pp.425-440
    • /
    • 2000
  • 울릉도와 독도 근해 해수의 이화학적 특성과 광합성 색소의 변화를 5월, 6월, 8월과 11월에 울릉도 5개 정점, 6월, 8월과 11월에 독도의 3개 정점에서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수온은 수심에 따른 변화가 적었으며, 8월에는 수온 약층의 형성이 두드러졌고, 특징적으로 울릉도에서 11월의 표층수온(20.5$^{\circ}C$)이 기상의 기온(9.9$^{\circ}C$)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계절적 변화는 염분에서도 나타났으며, 5월에는 저온 고염 (15.4$^{\circ}C$, 34.4 psu), 11월에는 고온 저염(20.5$^{\circ}C$, 32.8 psu)의 표층수가 울릉도와 독도 근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소이온농도(pH)의 경우 전체적으로 변화가 없고(울릉도, 독도 : 7.7-8.4), 안정적이어서 육지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염류의 농도는 울릉도에서 질산염(울릉도 최고치 : 0.10-11.50$\mu\textrm{g}$/l, 8월; 독도 최고치: 2.92-8.10$\mu\textrm{g}$/l, 8월)과 암모늄 농도(울릉도 최고치 : 14.18-20.69$\mu\textrm{g}$/l, 11월 : 독도 최고치: 0-1.78$\mu\textrm{g}$/l, 6월)가 독도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엽록소 a의 농도는 8월에는 저층에서 높은 농도(울릉도 30m: 0.85$\mu\textrm{g}$/l : 독도 50m: 1.02$\mu\textrm{g}$/l) 를 보였으며, 5월, 6월과 11월에는 전층에서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보면 8월의 수온 약층의 형성으로 인하여 식물플랑크톤의 개체군이 유광층내의 저층에서 높았고, 그 외의 계절에서는 복잡한 해류특성과 수층혼합으로 식물플랑크톤이 표층과 심수층에 고르게 분포한다고 간주된다.

  • PDF

Genistein과 TRAIL의 복합처리에 의한 U937 인체 혈구암 세포의 Apoptosis 유도 (Induction of Apoptosis by Combined-treatment with Genistein and TRAIL in U937 Human Leukemia Cells)

  • 최영현;한민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201-1207
    • /
    • 2011
  • TRAIL은 최근 암세포의 apoptosis 유도를 위한 효율적인 도구로 제시되었으나 많은 암세포들이 TRAIL 저항성을 획득한 것으로 알려져 TRAIL 저항성 극복을 위한 새로운 방법론의 제시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Genistein은 대두의 대표적인 생리활성 물질인 isoflavonoid의 일종으로 많은 암세포에서 G2/M arrest를 유발하면서 apoptosis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U937 인체백혈병세포를 대상으로 genistein에 의한 TRAIL 유도 apoptosis의 감수성 증대 여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U937 세포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범위의 genistein 처리는 TRAIL에 의한 apoptosis 유도를 매우 증진시켰으며, 이는 tBid의 발현 증가와 cFLIPL의 발현 감소와 연계된 caspase의 활성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caspase의 활성 저해제는 genistein과 TRAIL의 복합처리에 의한 apoptosis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복합 처리에 의한 apoptosis의 유도에 caspase의 활성 증대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genistein은 TRAIL 저항성을 획득한 암세포의 효율적인 combined therapy approach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NDIR 검출기를 이용하는 대기오염 측정시스템을 위한 미세신호 검출 알고리즘 (Minute Signal Detection Algorithm for Air-pollution Measurement System with The NDIR Detector)

  • 최훈;김현호;황병한;임용석;류근택;배현덕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5권3호
    • /
    • pp.27-35
    • /
    • 2008
  • 본 논문은 다중 가스 필터 휠 (multi gas filter correlation wheel: multi GFC wheel)을 갖는 비분산 적외선법(NDIR method : non-dispersive infrared method)을 이용하여 대기 중 다종환경오염물질(CO, $SO_2$, NOx 등)을 동시에 실시간 측정할 수 있는 광학분석장치 개발을 위한 미세신호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MCT(mercury cadmium telluride)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각각의 환경오염물질의 미세신호는 고유한 NDIR 흡수 특성을 갖는다. 제안한 방법은 임계값과 하나의 외부 동기신호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측정된 신호로부터 각각의 오염물질 특정농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분리 검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