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lactic acid

검색결과 1,643건 처리시간 0.032초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Inoculant on Fermentation Quality and in vitro Rumen Fermentation of Total Mixed Ration

  • Choi, Yeon Jae;Lee, Sang Suk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32-140
    • /
    • 2019
  • Fermented total mixed ration (TMR) is a novel feed for ruminants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on the quality of TMR and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Strains of three LAB spp. (Lactobacillus plantarum, L. brevis, L. mucosae) were used in fermentation of TMR. Inoculations with the three LAB spp. lowered pH and increased concentrations of lactic acid, acet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compared to non-LAB inoculated control (only addition of an equivalent amount of water) (p<0.05). Bacterial composition indicated that aerobic bacteria and LAB were higher. However, E. coli were lower in the fermented TMR than those in the control treatment (p<0.05). Among the treatments, L. brevis treatment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otal organic acid without fungus detection. Gas production, pH, and ammonia-nitrogen during ruminal in vitro incubation did not differ throughout incubation. However, ruminal total VFA concentration was higher (p<0.05) in the LAB spp. treatments than the control treatment at 48 hours. Overall, the use of L. brevis as an inoculant for fermentation of high moisture. TMR could inhibit fungi growth and promote lactic fermentation, and enhance digestion in the rumen.

전처리된 섬유소계 바이오매스로부터 Lactic acid생산 (Lactic acid Production from Hydrolysate of Pretreated Cellulosic Biomass by Lactobacillus rhamnosus)

  • 안수진;;김태현;김준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1호
    • /
    • pp.1-5
    • /
    • 2015
  • Lactic acid(젖산)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Hydroxy-carboxylic acid로서 일반적으로 식품, 화장품, 의약품 및 화학산업의 원료로 사용된다. 하지만 다양한 분야의 적용과 대량생산의 광범위한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원재료의 높은 가격으로 인하여 Lactic acid 생산의 주된 문제가 된다. Lactic acid는 발효 또는 화학적 합성에 의하여 얻어진다. 최근, 자연적으로 생산되는 Lactic acid의 시장 수요가 증가하여 미생물 발효 방법에 의한 Lactic acid 생산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Lactic acid 생산의 원재료는 순수한 전분 또는 글루코오스를 이용한다. 이의 경제적인 원재료의 대안으로,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재생가능 자원인 바이오매스를 가수분해물로 전환하여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Lactobacillus rhamnosus ATCC 10863을 이용하여 전처리 된 가수분해물로부터 발효 방법에 의해 L(+)-Lactic acid를 생산하였다. 전처리 된 가수분해물은 암모니아 침출 공정(AP) 후 효소 당화에 의하여 얻었다. 효과적으로 Lactic acid 생산 수율과 전환율을 높이기 위하여 순수 글루코오스 조건에서 배지, 온도, 글루코오스 농도를 조절하여 수행하였다. 발효 최적조건에서 순수 글루코오스와 가수분해물의 Lactic acid 생산을 비교하였다.

산에 대한 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의 스트레스 반응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Acid Stress Response in 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

  • 강경희;김지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1-24
    • /
    • 2007
  • 본 실험에서는 S. mutans KCTC 3065을 이용하여 lactic acid를 첨가하였을 때 일어나는 스트레스 반응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배지에 lactic acid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농도에 따른 생육저해현상을 조사한 결과, 배 지에 첨가 된 lactic acid의 함량에 비례하여 S. mutans의 성장이 완만해지며, 지수증식기일 때 lactic acid를 첨가 하였을 경우 유도기일 때 lactic acid를 첨가한 경우보다 균의 성장이 활발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 대수증식기의 균주를 취하여 0, 60, 70, 80 mM 농도의 lactic acid를 처리한 후 colony의 생성으로 균주의 생존유무를 관찰한 결과, 70 mM의 농도로 lactic acid를 처 리하고 90분후부터는 colony의 밀도가 급격히 낮아지며생존에 영향을 받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lactic acid의 농도가 80 mM이상 에서는 생존이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3. Acid stress 동안에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C_{18:1}$은 30.92%에서 33.89%로 증가하였으며 $C_{14:0}$은 5.02%에서 2.62%로 $C_{16:0}$은 39.16%에서 33.69%로 감소하였다. 4. Acid stress 동안에 단백질 패턴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약 70 kDa, 60 kDa, 45 kDa, 40 kDa 그리고 23 kDa의 단 백질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Assessment of Biodegradability of Polymeric Microspheres in vivo: Poly(DL-lactic acid), poly(L-lactic acid) and poly(DL-lactide-co-glycolid) microspheres

  • Oh, In-Joon;Oh, Jhin-Yee;Lee, Kang-Cho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6권4호
    • /
    • pp.312-317
    • /
    • 1993
  • To confirm a new evaluation tedhnique for biodegradability of biopolymer microsphers in vivo condition, magnetic microsphere sytem was adopted for tracing the microspheres injected and lodged in micr. Microsphers of poly(DL-lactic acid), poly(L-alctic acid) and poly(DL-lactide-coglycolide)(PLGA) were prepared by solvent-extraction method and their organ distribution and biodegradation in mice was examined. Magnetic microspheres lodged in mice organs were recollected from the homogenates of mice organs with a constant flow magnetic separation apparatus. Recollected microspheres were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also were assayed for their magnetite ocntent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to evaluate the biodegradability of polymeric microspheres. This method seems to be practical and simple to estimate the biodegradability of biopolymers over the conventional methods.

  • PDF

생분해성 Poly(L-lactic acid)/Poly($\beta$-hydroxynonanoate) 블렌드의 열적 성질 및 결정화거동 (Thermal Properties and Crystallization of Biodegradable Poly(L-lactic acid) and Poly($\beta$-hydroxynonanoate) Blend)

  • 박상혁;김영백;이두성
    • 폴리머
    • /
    • 제24권4호
    • /
    • pp.477-487
    • /
    • 2000
  • Poly(L-lactic acid) (PLLA)/poly($\beta$-hydroxynonanoate) (PHN) 블렌드의 흔화도와 결정화거동을 연구하기 위해 여러 중량 흔합비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DSC, XRD 및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여 PLLA/PHN 블렌드의 열적 성질 및 특성을 연구하였다. PLLA와 PHN은 무정형 영역에서 부분적인 상용성을 가졌으며 PLLA의 결정화도는 PHN이 첨가됨으로 인하여 증가되었다. 그리고 PHN이 첨가됨으로써 PLLA의 T$_{g}$, T$_{c}$, T$_{m}$ 의 이동이 있었다. 편광현미경 분석을 통하여 PLLA 구정의 수는 PHN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PHN은 PLLA에 대하여 기핵제의 역할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 PD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nofibrous Membranes of Poly(D,L-lactic acid)/Chitin Blend for Guided Tissue Regenerative Barrier

  • Kim, Hong-Sung;Kim, Jong-Tae;Jung, Young-Jin;Hwang, Dae-Youn;Son, Hong-Joo;Lee, Jae-Beom;Ryu, Su-Chak;Shin, Sang-Hu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7권9호
    • /
    • pp.682-687
    • /
    • 2009
  • Nanofibrous membranes of poly(D,L-lactic acid)/chitin blend were prepared by electro spinning for a barrier of guided tissue regeneration. A miscible solution was obtained by the blending chitin-salt complex into 1-methyl-2-pyrrolidone solution of poly(D,L-lactic acid). The properties of the blend were examined for nanofibrous fabrication. The viscosity of the blend solut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chain entanglement despite the low ratio of chitin to poly(D,L-lactic acid). An interaction between two polymeric compositions was confirm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X-ray diffraction detected an appreciably ordered microstructure in the nanofiber of the blend. A membrane of thinner nanofibers was fabricated by electro spinning the chitin blend. The permeability of the membranes was examined using bioactive model compounds.

젖산발효한 연근, 도라지 당추출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과 음료기호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Beverage Preferences Relating to Fermented Lotus Root and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s with Sugar through Lactic Acid Fermentation)

  • 이경수;김주남;정현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83-192
    • /
    • 2015
  • 본 연구는 가정에서 즐겨 먹는 대표적인 근채류인 연근과 도라지의 당추출 발효액을 제조하고, 이를 젖산발효시켜 발효액을 제조한 후 생리활성과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 관능 검사를 통해 기능성 음료 제조 가능성을 대한 기초 자료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최종 당 농도는 도라지가 $48.1^{\circ}brix$, 연근이 $52.0^{\circ}brix$로 나타났다. 당추출 발효액을 $12^{\circ}brix$로 희석한 후 젖산발효하는 동안 변화하는 당 농도는 도라지가 $11.5{\sim}12.1^{\circ}brix$, 연근이 $11.9{\sim}12.4^{\circ}brix$ 범위로 나타났다. 젖산 발효기간 동안 초기 젖산균은 $10^{9{\sim}10}CFU/mL$ 수준이었으나, 연근 및 도라지 젖산발효액 둘 다 발효기간이 늘어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을 조사한 결과, 젖산발효하지 않은 control인 경우 연근이 도라지보다 3배 이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젖산발효시 도라지인 경우 control보다 각각 L. acidophilus(77%), L. brevis(90%), L. delbrueckii(177%) 정도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함량 역시 연근이 도라지보다 함량이 많았으며, control과 비슷하게 나타난 L. delbrueckii 발효액을 제외하고는 젖산발효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라지인 경우 CUPRAC 측정시 L. brevis에서, FRAP 측정시는 L. delbrueckii로 젖산발효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원력은 도라지에서 L. brevis로 젖산발효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근과 도라지 젖산발효액의 관능검사 결과, 두 발효액 모두 control이나 L. acidophilus 보다 L. brevis, L. delbrueckii로 젖산발효한 액의 관능검사 결과가 모든 면에서 좋게 나타났다. 이상의 관능검사 결과, 연근이나 도라지를 이용한 당추출 젖산발효 음료로써의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특히 L. delbrueckii와 L. brevis 같은 일부 젖산균은 전반적으로 활성이 좋게 나타나, 기능성 젖산발효 음료로 제조하는데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lprazolam함유 poly(D,L-lactic acid) Microsphere의 제조 및 평가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D,L-lactic acid) Microspheres Containing Alprazolam)

  • 용철순;권미라;박새해;오두만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6권1호
    • /
    • pp.13-22
    • /
    • 1996
  • Poly(D,L-lactic acid) (PLA) microspheres containing alprazolam(APZ) were prepared by a solvent-emulsion evaporation method and their release patterns were investigated in vitro. Various batches of microspheres with different size and drug content were obtained by changing the ratio of APZ to PLA, PLA concentration in the dispersed phase and stirring rate. Rod-like APZ crystals on microsphere surface, which were released rapidly and could act as a loading dose, were observed with increasing drug content. The release rate was increased with increase in drug contents and decrease in the molecular weight of PLA. The release rate of APZ for long-acting injectable delivery system in vitro, which would aid in predicting in vitro release profile, could be controlled by properly optimizing various factors affecting characteristics of microspheres.

  • PDF

Loperamide로 유도된 변비 증상에 유산균 제제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Powder on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Rat)

  • 김은영;조경애;안소현;박성선;손흥수;한성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56-964
    • /
    • 2015
  • Loperamide를 통해 변비가 유발된 실험동물에 유산균 투여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4일 동안 저농도($10^7CFU/mL$ per kg of body weight)의 유산균과 고농도($10^9CFU/mL$ per kg of body weight)의 유산균을 투여한 후, 변비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변비 유발 후 유산균을 투여한 실험군들의 경우, 대조군(CON)에 비하여 변의 개수, 변 중량 및 수분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소화관 이동률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CON)에 비하여 변비 유발 후 유산균을 투여한 군에서 정상대조군(NOR)인 군과 유사한 이동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변비가 유발된 실험동물의 혈청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함량, HDL-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유산균 투여 유무 및 유산균의 농도에 대한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고농도의 유산균을 섭취시킨 실험동물군(HIG)의 경우, 분변으로 유도된 아세트산과 프로피온산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염색을 통한 장내 상피세포 관찰을 통해 유산균 분말 투여시 장 점막의 길이와 넓이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메타지노믹스 유전자 분석을 통한 미생물 분포의 상동성을 비교해 본 결과, 고농도의 유산균 투여군(HIG)이 정상대조군(NOR)과 가장 흡사한 분포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유산균 제제는 변비 개선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재조합 대장균의 세포성장에 대한 인산암모늄 농도의 영향 (Effect of Ammonium Phosphate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Recombinant E. coli)

  • 김종수;석근영차월석
    • KSBB Journal
    • /
    • 제11권4호
    • /
    • pp.389-397
    • /
    • 1996
  • 인산암모늄의 첨가에 따른 재조합 대장균의 성장과 그 부산물 생성 관계를 알기 위하여 인산암모늄의 청가 상태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였다. 인산암모 늄은 세포 성장에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배양 실시후 8시간에서 12시간 전후에서 인산 암모늄이 거의 흡수되었고 탄소원이 세포에 흡수되는 속도와 인산암모늄이 세포에 흉수되는 속도가 거의 비슷한 현 상으로 진행되었다. 인산 암모늄의 초기농도를 O.5g/ L로 사용할 때 세포 최대 농도는 4.2g/L로 최고를 보였다. 그러으로 세포 성장에 펼요한 인산 암모늄 의 첨가를 초기 인산암모늄 농도 O.5g/L 전후로 첨가함이 적당하다. 그리고 인산암모늄에 trypton을 첨가하지 않는 LB 배지와 trypton을 첨가할 LB 배지에서 세포 성장은 비슷한 결과로 성장되었으며 부산물들의 생성은 acetic acid의 경우는 Trypton을 첨가하지 않으면 많이 생성되고 lactic acid의 경우 는 trypton을 첨가할 때 매우 높게 축적되어졌다. 그러므로 trypton은 세포성장에 그렇게 중요하지 않 는 결과를 보였으며 저해제인 부산물을 적게 나오게 하려면 trypton을 첨가함이 좋고 lactic acid 생성 관계는 더욱 연구되어져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