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Galactose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21초

천년초에서 분리한 항전이 다당의 구조 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Anti-metastatic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Opuntia humifusa)

  • 최정호;신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14-222
    • /
    • 2011
  • 천년초에 존재하는 점질다당의 새로운 이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천년초로부터 다당을 분리하여 항전이 활성을 평가하고 구조 분석을 행하였다. B16BL6 종양세포를 이용한 폐암 전이모델에서 천년초 조다당 CNC-0는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항전이 활성을 나타냈다. 천년초 조다당 CNC-0는 DEAE-Sepharose FF 및 Sephadex G-75를 이용한 연속적 chromatography를 행하여 CNC-Ia으로 정제하고 이들의 구조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CNC-Ia는 분자량 약 700 kDa의 다당체로 구성당 조성을 확인한 결과, arabinose, galactose 및 xylose를 높은 비율로 함유하고 있었으며 rhamnose와 fucose를 미량 함유하고 있었다. 본 당쇄의 결합양식을 규명하기 위해 methylation analysis를 행한 결과 CNC-Ia은 terminal Araf, 5-linked Araf, 4-linked Galp, terminal Xylp와를 포함한 총 18종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full branched Araf, 3,4,6-branched Galp 및 full branched Galp 와 같은 3종의 CNC-Ia 고유의 특징적 결합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CNC-Ia의 미세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exo-${\alpha}$-Larabinofuranosidase와 endo-${\beta}$-1,4-D-galactanase를 이용한 연속 가수분해 및 해석도 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천년초 유래 다당 CNC-Ia는 ${\beta}$-($1{\rightarrow}4$)-galactan 주쇄에 arabinose oligo당이 측쇄로 분지된 Type I arabinogalactan으로 판단되었으며 주쇄 및 측쇄 모두 고도로 분지된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β-galactosidse 함유하는 재조합 대장균 세포를 이용한 1,2-hexanediol galactoside의 합성 (Enzymatic Synthesis of 1, 2-Hexanediol Galactoside by Whole Cells of β-Galactosidase-containing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 김이옥;정경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08-613
    • /
    • 2016
  • 최근 화장품에 쓰이는 방부제에 대한 피부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그 중에서 1,2-hexanediol (HD)는 방부기능과 보습기능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보다 안전한 화장품용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β-galactosidase (β-gal)을 함유하고 있는 대장균 세포를 이용한 transgalactosylation 반응을 통하여 1,2-hexanediol galactoside (HD-G)을 합성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반응은 높은 농도의 lactose (300 g/l)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수행되었으며, 반응 시간이 12시간 지난 후부터 새로운 spot이 TLC 분석으로 확인되었다. 이 spot을 잠정적으로 HD-G로 추정한 후, 이 물질을 silica gel chromatography로 정제한 후, mass spectrometry 분석을 통하여, 이 물질이 HD-G의 sodium adduct ion ([M+Na]+, m/z=303.1423)임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정제된 HD-G를 시판되는 β-gal을 이용하여 가수분해하고, 유리된 단당류를 TLC로 분석하여 보았다. 이 때, galactose 한 분자가 HD-G로부터 유리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재조합 대장균 β-gal을 이용하여 HD로부터 HD-G이 합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추가연구를 통하여 항균력의 변화와 피부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변화를 조사할 예정이며, 기능성에 변화가 없는 보다 안전한 화장품용 방부제가 개발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여러가지 탄소원에 의한 Hansenula polymoypha의 Alcohol-oxidase합성 (Synthesis lit Alcohol-oxidase in Hansenula polymoypha on Various Carbon Sources)

  • 이명숙;장동석;최위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61-467
    • /
    • 1989
  • Hansenula polymoypha의 배양조건과 배지의 탄소원에 따른 alcohol-oxidase의 생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H. polymorpha CBS 4732, H. polymorpha CBM 11, 그리고 H. polymorpha Cooney의 3균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배양조건에 따른 효소생성은 glucose를 탄소원으로 첨가한 mineral salt medium에서 균체를 정상기까지 배양하여 methanol이 함유된 배지에서 재배양하는 2단계 배양법의 경우가 균체를 직접 methanol 배지에 배양한 경우보다 효율적이었으며 생성된 총효소량은 전자의 경우가 후자에 비해 1.9배정도 많았다. 다음 탄소원에 따른 효소생성능을 비교하였다. 먼저 직쇄 alcohol을 탄소원으로 사용한 경우 mothanol을 제외한 ethanol, propanol, butanoL, 그리고 pentanol에서는 효소가 생성되지 않았고 또한 이 직쇄 alcohol을 methanol과 혼합한 경우에도 극미량의 생성에 그쳤다. 여러 가지 탄소화합물 (glucose, xylose, lactose, glycerol, galactose, saccharose, sorbose, tactic acid acetic acid)을 탄소원으로 사용하면 methanol에 의해 생성된 효소량의 1/10 정도 생성되었고 이들을 methanol과 혼합사용하면 효소생성량은 급격히 증가하였고, 특히 lactose와 tactic acid의 경 우는 methanol 단독사용시 보다 오히려 다량 생성되었다. 시험 3균주 중에서는 어떤 경우에서든지 H. polymorpha CBS 4732가 alcohol-oxldase 생성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Human Procarboxypeptidase B의 과발현 분비생산과 그 특성 (Secretory Over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Human Procarboxypeptidase B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 김미정;김미진;이재형;김연희;서진호;남수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9-54
    • /
    • 2008
  • 인간 췌장 유래 pro-carboxypeptidase B(CPB) 유전자를 클로닝한 후 GAL10 promoter 하류에 Saccharomyces cerevisiae mating factor alpha-1 secretion signal $(MF{\alpha}-1)$과 연결하여 $MF{\alpha}1$-pro-CPB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plasmid $pY{\alpha}$-hproCPB(7.72 kb)를 S. cerevisiae 2805에 형질 전환시켰다. 재조합 인간 proCPB(hproCPB)는 galactose 유도로 S. cerevisiae에서 성공적으로 발현되었고, 배양상등액으로 분비되었다. SDS-PAGE와 western blot 분석에 의해, 정제된 hproCPB 단백질이 약 45.9kDa임을 확인하였다 S. cerevisiae $2805/pY{\alpha}$-hproCPB의 발효조 회분배양 시 trypsin 처리에 의해 pro영역을 제거한 후 hCPB의 세포외 활성은 60시간째에 10.16 unit/mL이었다. 또한 재조합 hCPB의 Km 값은 약 0.43 mM 이었다.

체외에서 돼지 정자-난자의 상호작용시 투명대내 Lectin 결합 (Binding of Lectins to the Zona Pellucida on Sperm-oocytes Interaction in the Pig)

  • 황인선;김정익;정희태;양부근;박춘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9권3호
    • /
    • pp.179-186
    • /
    • 2002
  • Objective: Lectins are cell-agglutinating and sugar specific proteins or glycoproteins of non-immune origin that precipitate glycoconjugates having saccharides of appropriate complementarity. Because of these properties, plant lectins have been used to help characterize the carbohydrate moieties of glycoproteins in the zona pellucida (ZP) of several mammalian species including pigs. Treatment of oocytes with various lectins blocks sperm binding to the ZP in various mammalian speci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sugar residues in the ZP of pig oocytes matured in vitro and the ability of spermatozoa to bind to ZP and in vitro penetration in oocytes treated with fluorescein isothiocyanate (FITC)-labelled lectins. Materials and Methods: The lectins of Banderiaea simplicifolia (BS-II, bind to $\beta$-D-N-acetylglucosamine), Canavalin ensiformis (Con A, bind to $\alpha$-D-Mannose), Lens culinaris (LCA, bind to a-D-Mannose), Ricinus communis (RCA-I, bind to $\beta$-D-Galactose) and Ulex europaeus (UEA-I, bind to $\alpha$-L-Fucose) were examined for spermatozoa penetration, binding capacity to ZP and distribution of lectins. Results: The penetration rates were significantry (p<0.05) higher in control oocytes (63%) than those treated with all lectins, but penetration rates ($40{\sim}49%$) were simililar in group treated with lectins. The incidence of monospermy was similar in oocytes untreated and UEA-I, but it was higher in oocytes treated with BS-II, Con A, RCA-I and LCA. The porcine oocytes cultured for 48 h in TC-199 medium were freed from cumulus cells and treated for 30 min with fluorescein isothiocyanate-labelled lectins. When examined under fluorescein illumination, higher (p<0.001) proportions of oocytes showed fluorescein of zona pellucida after treatment with Con A (93%), LCA (93%) and RCA-I (100%) than BS-II (37%) and UEA-I (50%). All of the oocytes treated with RCA-I exhibited strong fluorescein in the outer region of the zona pellucida while those treated with LCA exhibited strong fluorescein throughout the zona pellucida. BS-II bounded mainly to the outer region and UEA-I bounded mainly to the inner region of the zona pellucida, with either strong or weak fluorescein. At 120 min after insemination in vitro, fewer spermatozoa were bound to the zona pellucida of the oocytes treated with BS-II, Con-A and RCA-I. Of the lectins, Con A most inhibited sperm binding.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ta$-D-Galactose residues in the porcine zona pellucida may act as primary sperm receptors and inducers of the sperm acrosome reaction and these sugar residues may be involved in the block to polyspermy.

Effects of Feeding Xylose on the Growth of Broilers and Nutrient Digestibility as well as Absorption of Xylose in the Portal-drained Viscera

  • Peng, Y.L.;Guo, Y.M.;Yuan, J.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8호
    • /
    • pp.1123-1130
    • /
    • 2004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etary inclusion of xylose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xylose absorption in the portal-drained viscera of broiler chicks. In Exp. 1, ninety male 14 day-old broilers were used to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 inclusion levels (0, 5, 10, 20 and 40%) of D-xylose in the semi-purified diets on the growth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broilers. In Exp. 2, One hundred and eight male broilers, fed by precision feeding at 22 day-old,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absorption and transportation of dietary xylose in the portal-drained viscera of broiler. The results of Exp. 1 indicated that the growth of broilers was gradually decreased as the xylose level increased (p<0.01). With the xylose supplementation increased, the moisture in broiler excreta was gradually elevated (p<0.01), AME and the digestibilities of crude protein and ether extract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digestibilities of xylose and arabinose were also decreased (p<0.01). The results of Exp. 2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ribose, xylose and galactose in serum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different dietary levels of xylose (p<0.01), but there's no apparent difference among rhamnose, glucose and arabinose (p>0.05). The xylose concentration in serum was highest in Vena Cava, middle in Portal Vein and lowest in Ulnar Vein within 6 h after precision feeding. And then the xylose concentration in Portal Vein and Ulnar Vein were higher than that of Vena Cava. The concentration of ribose, xylose and galactose in serum were also significantly changed with time prolongation (p<0.01). The concentration of xylose in serum was highest in the 40% xylose treatment, middle in the 20% xylose group and lowest in the control group. The glycogen contents in liver and muscle were linearly decreased as the level of xylose increased (p<0.01). The higher the dietary level of xylose was, the lower digestibility of dietary xylose was (p<0.10). 40% xylose markedly decreased the digestibility of dietary glucose (p<0.01). In conclusion, high levels of xylose in the diets inhibited the growth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broiler. The outputs of xylose from the hydrolyzation of wheat-based diet by xylanase should have no adverse effects on broiler performance.

잣버섯 인공(人工) 재배(栽培)에 관한 연구(硏究)(I) -균사(菌絲) 배양(培養) 조건(條件)에 관(關)하여- (Study on the Artificial Cultivation of Lentinus lepideus(Fr. ex Fr.) Fr. -Investigation of Mycelial Growth Conditions-)

  • 김한경;박정식;차동열;김양섭;문병주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5-152
    • /
    • 1994
  • 잣버섯 인공재배(人工栽培) 가능성(可能性) 검토시(檢討時) 균사배양(菌絲培養) 조건(條件)에 대한 실험(實驗)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잣버섯 액체배양시(液體培養時) 최적(最適) 배지(培地)는 G. P. B. 배지(培地)에서 균사생육(菌絲生育)이 196mg/21일(日)로 가장 양호(良好)하였으며, 최적(最適) 온도(溫度)는 $25^{\circ}C$, pH는 4.2 에서 균사생육(菌絲生育)이 가장 좋았다. 2. 액체(液體) 배양시(培養時) 최적(最適) 탄소원(炭素源)은 monosaccharide인 galactose에서 631mg/21 일(日)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Disaccharide인 Maltose에서 486mg/21일(日) 이였다. 3. 최적(最適) 질소원(窒素源)은 복합(複合) 질소원(窒素源)인 peptone에서 752mg/21일(日)으로 균체량(菌體量)이 가장 많았으며 그외 질소원(窒素源)에서는 균사생육(菌絲生育)이 정지(停止) 또는 억제(抑制)되는 경향(傾向)이였다. 4. 비타민류에서는 전체적(全體的)으로 균사생육(菌絲生育)이 양호(良好)하나 Pyridoxine에서 596mg/21일(日) 가장 좋았다. 5. 유기산류(有機酸類)에서는 Citric acid에서 506mg/21일(日)로 균체량(菌體量)이 가장 많았고 Acetic acid에서는 균사생육(菌絲生育)이 정지되었다.

  • PDF

표고버섯 균사체로부터 항암 단백다당체의 추출 및 정제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Antitumor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from Mycelia of Lentinus edodes)

  • 박기문;이병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236-1242
    • /
    • 1998
  • 한국산 표고버섯 산련 1호를 C/N비가 13.1인 버섯 완전액체배지에서 배양하여 균사체를 증식시킨 후 생리활성을 보이는 단백다당체를 추출하였다. 표고버섯 균사체 액체배양시 생성되는 단백다당체는 균사체 세포벽에 약 80%가 존재하고, 약 20%정도는 세포밖으로 분비하는 것으로 나타나 단백다당체의 추출은 균사체가 함유된 배양액 전체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균사체로부터 단백다당체의 추출방법으로 열수추출 및 glass bead mill로 세포벽을 파쇄한 후 열수추출, cellulase 처리 후 열수추출을 비교한 결과 물리적으로 세포벽을 파쇄한 후 60분간 열수추출하는 것이 배양액 100 mL당 약 930 mg의 조단백다당체가 추출되어 수율이 가장 높았다. 추출한 조단백다당체를 사용하여 protease 처리, 그리고 DEAE-cellulose 및 Sephadex G-100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단백다당체를 정제한 후 단계별 시료에 대한 mouse leukemic cell인 $P_{388}$의 증식억제는 53.7, 62.2, 93.7, 97.4%로 정제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ephadex G-100 column으로 처리한 정제 단백다당체를 TLC/FID로 분석한 결과 단일 peak로 나타나 순수물질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단백다당체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다당함량은 46.1%로 구성단당류는 glucose 및 galactose, xylose, mannose로 구성되어 있었고, 단백질은 약 7.3%로 주로 proline 및 glycine의 함량이 높았으며 methionine 및 leucine은 거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외에 무기질로서 Na, K, Zn, Ca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산(韓國産) 고등(高等) 균류(菌類)의 성분(成分) 연구(硏究)(제(第)47보(報)) -들버섯 배양(培養) 균사(菌絲)의 항암(抗癌) 성분(成分)- (Studies on Constituents of the Higher Fungi of Korea(XLVII) -Antitumor Constituents of the Cultured Mycelia of Agaricus campestris-)

  • 박희주;김하원;우명식;심미자;박완희;최응칠;김병각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31-139
    • /
    • 1985
  • 들버섯의 배양 균사체로부터 추출한 단백다당체는 마우스에 이식된 sarcoma 180에 대해서 유효한 항암력을 나타내었다. DEAE-Sephadex A-50을 이용하여 정제한 결과 4개의 분획을 얻었다. 이중 가장 항암효과가 큰 분획 C는 56.1 %의 종양저지율을 나타내었다. 분회 C는 45 %의 다당류와 18 %의 단백질로 되어있다. 그 다당류는 mannose(42.0 %), glucose(25.5 %), xylose(16.6 %), fucose(11.1 %)와 galactose(4.8 %)로 되어 있고 단백질은 17종의 아미노산으로 되어 있었다. 들버섯의 항암성분은 마우스 복강내에 있는 macrophage의 수를 현저히 증가시켰으며 비장내의 용혈반형성 세포수도 증가시킴으로써 면역 증강 작용이 있다.

  • PDF

자색감자 Anthocyanin 색소의 특성 및 안정성 (Characterictics and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Extracted from Purple-Fleshed Potato)

  • 임종환;김선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48-355
    • /
    • 1999
  • 자색감자의 anthocyanin 색소의 안정성에 대한 pH, 당, 유기산, 금속이온, ascorbic acid 및 광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색감자 색소는 pH가 낮을수록 anthocyanin 색소의 안정성이 증가하였으며 pH가 높아질수록 색소 용액의 최대흡수파장이 장파장 쪽으로 이동하는 bathochromic shift현상이 관찰되었다. 당류 첨가는 오히려 무첨가구에 비해서 저장 안정성을 저하시켰는데 maltose, sucrose, galactose, fructose, glucose 순으로 안정성이 저하되었다. 유기산은 anthocyanin 색소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그 순서로는 malic acid, tartar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 순으로 나타났고 malonic acid는 오히려 안정성을 떨어뜨렸다. 금속이온은 $Cu^{2+}$을 제외하고는 anthocyanin 색소의 안정화에 기여하였으며 특히 $Cd^{2+},\;Al^{3+}$이 효과적이었다. Ascorbic acid는 anthocyanin 색소의 파괴를 초래하여 안정성을 저하시켰으나 thiourea를 첨가하므로 색소파괴의 정도를 낮출 수 있었다. 일광에 의해 anthocyanin 색소의 파괴가 촉진된 반면 광을 차단할 경우 색소를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

  • PDF